(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10월07일
(11) 등록번호 10-1448405
(24) 등록일자 2014년09월30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G07F 11/36 (2006.01) G07F 11/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3-0115003
(22) 출원일자 2013년09월27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09월2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159080 Y1
JP04250677 B2
(73) 특허권자
이채현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로 143, 304동 1201호 (민락
동, 산들마을현대아파트)
(72) 발명자
이채현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로 143, 304동 1201호 (민락
동, 산들마을현대아파트)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배성주
(54) 발명의 명칭 식품공급기
(57) 요 약
본 발명은, 식품보관부와 결합되어 식품보관부 내부에 보관된 식품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본체를 구비한 식
품공급기에 있어서, 본체는, 배출부(70)가 마련되고, 공급량조절스위치(92)가 마련된 공급부(10); 상기 공급부
(10)의 상면을 덮고, 개구부(22)가 형성된 결합부(21)를 상면 중앙에 구비한 커버(20); 및 상기 공급부(10)와 상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448405
기 커버(20) 사이에 마련되되, 상면에는 공급량조절부(50)가 배치되는 체결홈(3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동력전
달부(60)가 마련되는 내부커버(3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량조절부(50)는, 상기 개구부(22)와 연통되도록 상면
이 개구된 가이드유입구(511)를 구비한 연결부(51); 상기 연결부(51)와 연통되게 형성된 상부가이드(52); 상기
상부가이드(52)와 결합되고 저면에 식품이 배출되도록 개구된 가이드배출구(541)를 구비한 하부가이드(54); 및
상기 상부가이드(52)와 상기 하부가이드(54)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류어셈블리(53);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어셈
블리(53)는, 상기 하부가이드(54) 외부에서 회전축(533) 일단에 마련되어 동력전달부(60)의 모터(6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전달기어(63)와 치합되는 스크류기어(531); 및 회전축(533)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된 나선형
날개(532);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31)은, 상기 가이드배출구(5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식품이 배출되도록 개구
된 체결홈개구부(311);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63)가 관통되어 상기 스크류기어(531)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동
력전달기어(6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게 형성된 동력전달개구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70)는 상기
체결홈개구부(311)와 연통되는 배출유입구(71)를 통해 공급되는 식품을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73); 및 물
체의 접근을 감지해 동력전달부(60)의 모터(61)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센서(722)를 포함하는 센서부(72);를 포함
하고, 상기 연결부(51)는,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51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가이드유입구(511)를 개폐할
수 있는 유입조절판(513)을 구비하는 식품공급기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식품공급기를 구동함으로써 동전을 넣고 레
버를 돌려 내용물을 배출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다종의 식품을 식품보관부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자의 목적에 맞게 임의로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식품공급기가 제공될 수 있다.
등록특허 10-1448405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식품보관부와 결합되어 식품보관부 내부에 보관된 식품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본체를 구비한 식품공급기에
있어서,
본체는,
배출부(70)가 마련되고, 공급량조절스위치(92)가 마련된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의 상면을 덮고, 개구부(22)가 형성된 결합부(21)를 상면 중앙에 구비한 커버(20); 및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커버(20) 사이에 마련되되, 상면에는 공급량조절부(50)가 배치되는 체결홈(31)이 형성
되고, 저면에는 동력전달부(60)가 마련되는 내부커버(3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량조절부(50)는,
상기 개구부(22)와 연통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가이드유입구(511)를 구비한 연결부(51);
상기 연결부(51)와 연통되게 형성된 상부가이드(52);
상기 상부가이드(52)와 결합되고 저면에 식품이 배출되도록 개구된 가이드배출구(541)를 구비한 하부가이드
(54); 및
상기 상부가이드(52)와 상기 하부가이드(54)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류어셈블리(53);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어셈블리(53)는,
상기 하부가이드(54) 외부에서 회전축(533) 일단에 마련되어 동력전달부(60)의 모터(6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
는 동력전달기어(63)와 치합되는 스크류기어(531); 및
회전축(533)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된 나선형날개(532);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31)은,
상기 가이드배출구(5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식품이 배출되도록 개구된 체결홈개구부(311);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63)가 관통되어 상기 스크류기어(531)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기어(63)와 대응되
는 위치에 개구되게 형성된 동력전달개구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70)는
상기 체결홈개구부(311)와 연통되는 배출유입구(71)를 통해 공급되는 식품을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73);
및
물체의 접근을 감지해 동력전달부(60)의 모터(61)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센서(722)를 포함하는 센서부(72);를 포
함하고,
상기 연결부(51)는,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51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가이드유입구(511)를 개폐할 수 있는 유입조절판(513)
을 구비하는 식품공급기.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음성모드선택스위치(93)와 스피커(80)를 포함하여, 음성모드선택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음성안내가 이루어지는 식품공급기.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보관부(40)는 상기 결합부(21)에서 상기 커버(20)와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부(21)는 저면이 오목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식품공급기.
등록특허 10-1448405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어셈블리(53)는 회전축(533) 타단에 방충부재(534)가 구비된 식품공급기.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식품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재료보관부에 보관된 식품의[0001]
공급량을 조절하고, 센서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재료보관부에 보관된 식품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식품공
급기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동전을 넣고 레버를 회전시키면, 식품보관부에 보관된 식품, 즉, 껌, 사탕 등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식품공[0002]
급기에 대해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0943189호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의 전면 일측[0003]
에 구비되는 동전투입구(11)로 동전을 투입한 뒤, 상기 동전투입구(11)의 일측에 구비되는 레버(8)를 회전시킴
에 따라, 상기 본체(7)의 상단에 결합된 재료통(3) 내부의 알갱이(2)가, 상기 본체(7)의 전면 하단에 형성된 배
출구(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디저트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7)의 상단에 함몰 형성되는 회전삽입공
간(22); 상기 회전삽입공간(22)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재료통(3)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축
(12); 상기 레버(8)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삽입공간(22)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축(12)에 축결합
되는 경사회전판(5'); 및 상기 회전삽입공간(22)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재료통(3)이
안착되도록 재료통설치홈(21)이 형성되는 경사회전판커버(6');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회전판(5')은 원뿔형태로
경사를 이루고,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관통공(10')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회전판(5')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관통공
(10')과 상기 배출구(9)가 연통됨으로써, 상기 알갱이(2)가 상기 배출구(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경사회전판이 구비된 디저트자동판매기에 대해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는 반드시 동전을 투입하고 레버를 돌려야 한다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레버를 빠르[0004]
게 회전시키는 경우 내용물이 낙하하기 전에 경사회전판커버와 관통공에 끼임 현상이 발생해 고장의 원인이 된
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되는 식품의 내용물이 1개 내지 2개로 한정되어 있어 배출량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0005]
제점이 있고, 경사회전판커버의 관통공의 크기에 따라 투입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가 극히 한정적이어서 다양한
식품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식품공급기를 자동으로 구동하며,[0006]
공급량을 조절하여 여러 종류의 식품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공급할 수 있는 식품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품보관부와 결합되어 식품보관부 내부에 보관된 식품이 배출구를 통[0007]
해 배출되는 본체를 구비한 식품공급기에 있어서, 본체는, 배출부(70)가 마련되고, 공급량조절스위치(92)가 마
련된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의 상면을 덮고, 개구부(22)가 형성된 결합부(21)를 상면 중앙에 구비한 커버
(20); 및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커버(20) 사이에 마련되되, 상면에는 공급량조절부(50)가 배치되는 체결홈
(3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동력전달부(60)가 마련되는 내부커버(3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량조절부(50)는,
상기 개구부(22)와 연통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가이드유입구(511)를 구비한 연결부(51); 상기 연결부(51)와 연통
되게 형성된 상부가이드(52); 상기 상부가이드(52)와 결합되고 저면에 식품이 배출되도록 개구된 가이드배출구
(541)를 구비한 하부가이드(54); 및 상기 상부가이드(52)와 상기 하부가이드(54)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류어셈블
리(53);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어셈블리(53)는, 상기 하부가이드(54) 외부에서 회전축(533) 일단에 마련되어
등록특허 10-1448405
동력전달부(60)의 모터(6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전달기어(63)와 치합되는 스크류기어(531); 및 회전축
(533)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된 나선형날개(532);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31)은, 상기 가이드배출구(5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식품이 배출되도록 개구된 체결홈개구부(311);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63)가 관통되어 상기 스
크류기어(531)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기어(6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게 형성된 동력전달개구부
(312);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70)는 상기 체결홈개구부(311)와 연통되는 배출유입구(71)를 통해 공급되는 식
품을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73); 및 물체의 접근을 감지해 동력전달부(60)의 모터(61)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센서(722)를 포함하는 센서부(7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51)는,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51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가이드유입구(511)를 개폐할 수 있는 유입조절판(513)을 구비하는 식품공급기를 특징으로 한
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음성모드선택스위치(93)와 스피커(80)를 포함하여, 음성모드선택스위치의[0008]
동작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음성안내가 이루어지는 식품공급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보관부(40)는 상기 결합부(21)에서 상기 커버(20)와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0009]
기 결합부(21)는 저면이 오목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식품공급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어셈블리(53)는 회전축(533) 타단에 방충부재(534)가 구비된 식품공급기를[0010]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식품공급기를 구동함으로써 동전을 넣고 레버를 돌[0011]
려 내용물을 배출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해 사용자의 편의성 증진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종의 식품을 식품보관부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임의로[0012]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식품공급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어셈블리를 통해 식품이 배출되는 과정 중 끼이거나 깨지는 현상을 해결함으로[0013]
써 고장발생 우려를 제거한 식품공급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공급기를 도시한 도면이다.[0014]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공급기의 본체 중 공급량조절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공급기의 본체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디저트자동판매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디저트자동판매기의 사시도, 도 4b는 경사회전판
과 경사회전판커버가 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공급기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기로[0015]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공급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0016]
따른 식품공급기의 본체 중 공급량조절부를 분해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공
급기의 본체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뚜껑(41)에 의해 개폐가능하고 식품을 보관하도록 내부가 빈 식품보관부[0017]
(40)와 상기 식품보관부(40)와 결합되어 식품보관부(40)로부터의 식품이 배출부(70)의 배출구(73)롤 통해 외부
로 배출되는 본체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배출부(70)가 마련되고, 공급량조절스위치(92)가 마련된 공급부(10)와, 상기 공[0018]
급부(10)의 상면을 덮고, 개구부(22)가 형성된 결합부(21)를 상면 중앙에 구비한 커버(20)와, 상기 공급부(10)
와 상기 커버(20) 사이에 마련되되, 상면에는 공급량조절부(50)가 배치되는 체결홈(3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동력전달부(60)가 마련되는 내부커버(30)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60)는 모터(61)와 감속기(62)와 동력전달기어(63)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61)의 빠른 회전력은[0019]
등록특허 10-1448405
감속기(62)를 통해 중, 저속회전으로 변환되어 동력전달기어(63)를 회전시키고, 동력전달개구부(312)를 통해 체
결홈(31) 내에 위치한 스크류기어(531)에 전달되어 스크류어셈블리(53)가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식품은 스크류어셈블리(53)가 회전함으로써 유입된 순서대로 가이드[0020]
배출구(541)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배출구(541)와 연통된 배출부(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식품보관부(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1)에서 상기 커버(20)와 나사결합될 수 있고,[0021]
상기 결합부(21)는 저면이 오목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식품보관부로부터 배출된 식품이 개구부(22)로 원활하게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량조절부(50)는, 상기 개구부(22)와 연통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가이드유입구(511)를 구비한 연[0022]
결부(51)와, 상기 연결부(51)와 연통되게 형성된 상부가이드(52)와, 상기 상부가이드(52)와 결합되고 저면에 식
품이 배출되도록 개구된 가이드배출구(541)를 구비한 하부가이드(54)와, 상기 상부가이드(52)와 상기 하부가이
드(54)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류어셈블리(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어셈블리(53)는, 상기 하부가이드(54) 외부에서 회전축(533) 일단에 마련되어 동력전달부(6[0023]
0)의 모터(6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전달기어(63)와 치합되는 스크류기어(531)와 회전축(533)을 따라 나
선형으로 결합된 나선형날개(5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어셈블리(53)는 회전축(533)의 타단에 방충부재(5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충부재[0024]
(534)는 외부로부터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미세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홈(31)은, 상기 가이드배출구(5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식품이 배출되도록 개구된 체결홈개구부[0025]
(311)와 상기 동력전달기어(63)가 관통되어 상기 스크류기어(531)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기어(6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게 형성된 동력전달개구부(3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70)는, 상기 체결홈개구부(311)와 연통되는 배출유입구(71)를 통해 공급되는 식품을 본체[0026]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73)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해 동력전달부(60)의 모터(61)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센서
(722)를 포함하는 센서부(72)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72)는 상기 배출유입구(71)와 상기 배출구(73) 사이에서 배출부(7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0027]
직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721은 센서기판, 723은 LED를 나타낸다. 상기 LED(723)는 식품공급기의 작동시 점등되며, 작[0028]
동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소등된다.
상기 연결부(51)는,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51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가이드유입구(511)를 개폐할 수 있[0029]
는 유입조절판(513)을 구비한다.
상기 유입조절판(513)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유입구(511)에 대해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식품보관[0030]
부(40)에 보관된 식품의 배출양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음성모드선택스위치(93)와 스피커(80)를 포함하여, 음성모드선택스위치[0031]
(93)의 동작에 따라 스피커(80)를 통해 음성안내가 이루어진다.
한편, 공급부(10)의 저면(14) 상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3), 충전지함(11), 및 충전단자(1[0032]
2)가 마련된다.
도면부호 91은 전원스위치이고, 92는 공급량조절스위치, 93은 음성모드스위치이다.[0033]
여기서, 공급량조절스위치(92)는 스크류어셈블리(53)의 회전을 "1/2"회전, "1"회전, "2"회전, "3"회전, "자동"[0034]
과 같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급량조절스위치(92)로 "자동"을 선택할 경우에는 센서에 의해 식품공급기로
사용자의 손이나 용기가 감지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량조절스위치(92)로 스크류어셈블리(53)의 회전수를 선택함으로써 배출되는 식품의 양을 조절할 수[0035]
있게 된다.
한편, 음성모드스위치(93)는 "가정", "업소", "무음"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작동시마다, 예컨대, "가정"모[0036]
드일 경우, 식품공급기의 작동시에 "내용물이 배출됩니다", 종료시에 "내용물이 배출되었습니다"라는 음성안내
가 제공될 수 있다.
등록특허 10-1448405
또한, "업소"모드일 경우, 식품공급기의 작동시에 "내용물이 배출됩니다", 종료시에 "이용해 주셔서[0037]
감사합니다"라는 음성안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무음"모드일 경우, 음성안내가 제공되지 않는다.[003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공급기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0039]
먼저, 사용자는 식품공급기를 구동하기에 앞서, 식품의 종류에 따라 유입조절판(513)으로 가이드유입구(511)의[0040]
개구정도를 조절한다.
이후, 식품이 보관된 식품보관부(40)를 공급부(10)와 결합시키고, 전원스위치를 ON으로 하여 식품공급기의 구동[0041]
을 준비하고, 공급량조절스위치(92) 및 음성모드스위치(93)를 일정 상태로 조정한다.
이후, 공급부(10)의 배출부(70)에 사용자의 손이나 용기를 접근시키게 되면, 상기 배출부(70)에 마련된 센서부[0042]
(72)의 센서(722)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61)를 구동시키게 된다.
모터(61)가 구동되면, 동력전달기어(63)의 회전에 의해 동력전달기어(63)와 치합된 스크류기어(531)가 회전하게[0043]
되고, 가이드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식품은 회전하는 스크류기어(531)에 의해 안내되어 가이드배출구(541)
를 통해 배출부(70)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의 종류, 크기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공급기에 적용할 수 있고, 사용[0044]
자의 필요에 따라 공급되는 식품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에 의해 식품공급기를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이점이[0045]
있다.
부호의 설명
10 : 공급부 20 : 커버[0046]
30 : 내부커버 40 : 식품보관부
50 : 공급량조절부 51 : 연결부
52 : 상부가이드 53 : 스크류어셈블리
54 : 하부가이드 60 : 동력전달부
61 : 모터 62 : 감속기
63 : 동력전달기어 70 : 배출부
71 : 배출유입구 72 : 센서부
73 : 배출구 80 : 스피커
등록특허 10-1448405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448405
도면2
등록특허 10-1448405
도면3
도면4a
등록특허 10-1448405
도면4b
등록특허 10-1448405
식품공급기(Food supply device)
2018. 3. 20. 2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