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11월26일
(11) 등록번호 10-1204407
(24) 등록일자 2012년11월1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2G 15/08 (2006.01) H02G 3/04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101400
(22) 출원일자 2012년09월13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09월13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904384 B1
KR100846136 B1
KR100777263 B1
(73) 특허권자
(주)성화이엔지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길 45-4 (국우동)
(72) 발명자
홍성택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길 45-4
(74) 대리인
이춘희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이은혁
(54) 발명의 명칭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
(57) 요 약
본 발명은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
(120)가 상호 겹침 되어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양측 면에 다수개의 결합홈(102)이 형성되는 본체부
(100)와, 원통의 형상으로 일 측면에 다수개의 제1연결홈(202)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1중공부(201)가 형성되되,
내측에 고정되는 제1조임부재(211)와 상기 제1조임부재(211)와 대응되며 유동하는 제2조임부재(212)로 구성되는
제1조임부(210)와, 외부 일 측에 돌출되며 제1걸림홈(221)이 형성되고 돌출되는 상측 중앙부에 상기 제1중공부
(201)와 연결되는 제1관통 홈(222)이 형성되는 제1돌출부(220)와, 상기 제1관통 홈(222)의 내부로 삽입되며 일
측에 제1걸림턱(231)이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홈(221)에 걸림 되는 제1가압부재(230)와, 상기 제1가압부재(230)
의 하부와 상기 제2조임부재(212)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며 완충작용을 하는 제1탄성부재(240)와, 상기 제1가압부
재(230)의 상부를 덮는 보호커버(250)로 구성되는 제1결합부(200)와, 상기 제1결합부(20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100)의 타 측에 대칭되어 구성되는 제2결합부(300)와, 상기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의 제
1, 2연결홈(202, 302)과 상기 본체부(100)의 결합홈(102)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400)로 구성되어 악천후 시
에 누수 발생으로 인해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락된 부분을 이음 연결 하되 연결된
부분에 힘이 가해지지 않아 재차 단락될 걱정이 전혀 없으며 무엇보다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우
수한 발명이라 하겠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204407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가 상호 겹침 되어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양측 면에 다수개의
결합홈(102)이 형성되는 본체부(100);
원통의 형상으로 일 측면에 다수개의 제1연결홈(202)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1중공부(201)가 형성되되,
내측에 고정되는 제1조임부재(211)와 상기 제1조임부재(211)와 대응되며 유동하는 제2조임부재(212)로 구성되는
제1조임부(210)와,
외부 일 측에 돌출되며 제1걸림홈(221)이 형성되고 돌출되는 상측 중앙부에 상기 제1중공부(201)와 연
결되는 제1관통 홈(222)이 형성되는 제1돌출부(220)와,
상기 제1관통 홈(222)의 내부로 삽입되며 일 측에 제1걸림턱(231)이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홈(221)에
걸림 되는 제1가압부재(230)와,
상기 제1가압부재(230)의 하부와 상기 제2조임부재(212)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며 완충작용을 하는 제1
탄성부재(240)와, 상기 제1가압부재(230)의 상부를 덮는 보호커버(250)로 구성되는 제1결합부(200);
상기 제1결합부(20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100)의 타 측에 대칭되어 구성되는 제2결합부
(300);
상기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의 제1, 2연결홈(202, 302)과 상기 본체부(100)의 결합홈(102)
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4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작업자가 단락 연결된 부분의 상태 및 변형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일부분 또는 전체
적으로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음 연결되는 케이블을 보호[0001]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악천후 시 누수 발생을 방지 할 수 있어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음은
물론, 단락된 부분을 이음 연결 한 후 이음 연결되는 부분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며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 할 수
있는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로부터 제공[0002]
되고 있다. 즉,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에게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변전소는 154KV, 23KV용
현장설비로 나눠지며, 23KV 변전소를 통해 각 부하(소비자)로 전기가 공급된다.
한편, 변전소는 통상 지상 구조를 갖고 있으나,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위험성이 대두되면[0003]
서 현재에는 집단 민원과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하게 되면, 고압케이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지형에 따라 절단[0004]
한 후 다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초에 설계한 고압케이블의 길이가 현장
여건에 따라 더 소요되므로, 고압케이블을 더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또한 자주 발생하고 있다. 단락된 부분은
등록특허 10-1204407
- 2 -
현재의 기술들로 단락된 부분을 이음 시킨 후 테이프 등으로 누수를 방지 할 수 있도록 하고, 이음 된 부분에
힘이 가해지지 않게 하기 위해 꼬아 묶어 사용하였다.
[0005]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0006]
등록번호 10-0904384 (특) 내부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개방되고, 일측에 수 나사선부가 연장형[0007]
성된 제 1이음관과,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고압케이블이 수용되는 수용홀
이 형성된 고압케이블 관로와, 상기 고압케이블 관로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방수제 충진부가
형성된 방수제 커버부와, 상기 방수제 커버부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제 2앵카 체결홀이 등간격
으로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2이음관 및, 양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이단절곡된 몸체로 이루어
진 앵카볼트와, 상기 앵카볼트의 나사선과 맞물리는 나사선이 내주연에 형성된 앵카너트로 이루어져 상기 제
1,2이음관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록번호 10-0846136 (특) 고압케이블이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좌우측관로공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밀폐[0008]
돌부가 형성되고, 중심측에 고압케이블이 관통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맨홀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원판을 갖
는 고무재질의 좌우측밀폐링과;
양측단에는 상기 좌우측밀폐링의 밀착원판을 각각 감싸 고정되고 유입공 연장선상에 유입통공을 갖는[0009]
고정원판이 형성되되, 고정원판 외측면 전후방측에는 좌우측수평지지바 일단의 걸림판이 각각 축회동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회동걸림턱을 갖는 전후방측지지돌부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고정원판 외측면 후방측에는 회동걸림
턱을 갖는 하측지지돌부가 형성되며, 좌우측수평지지바 타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좌우측수평지지바 사이
에 위치되어 양측단은 나사부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역나사부를 갖고 중심측에는 상측으로 체결볼트가 기립
되는 고정바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좌우측수평지지바의 타단 나사부가 나사결합되고 타측에는 고정바의 역나사
부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정회동되면 간격을 벌리고 역회동되면 간격을 좁하는 좌우측양방향너트가 각각 형성되
는 전후방측밀폐지지바와;
일단은 상기 밀착원판의 하측지지돌부 내측에 위치되어 회동걸림턱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0010]
걸림판을갖고, 타단부에는 나사부를 갖는 좌우측회동볼트바가 각각 형성되되, 직육면체로 좌우측에는 상기 좌우
측회동볼트바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좌우측나사홀을 각각 갖고, 좌우측 상면에는 중심측으로 좌우
측안착요부를 각각 갖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 상측에 위치되어 고압케이블의 통전이 이루어지는 직육면체로 하단에는 상기 하부받침[0011]
대 좌우측안착요부에 대응되어 원형을 이루는 반원요부를 갖는 밀착돌부가 형성되고, 하단 전후방측 중간에는
상기 고정바 체결볼트가 하측에서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하
단에서내측으로는 상기 좌우측밀폐링의 유입공과 상기 고정원판의 유입통공을 통해 유입된 고압케이블이 하부에
서 수직삽입되는 좌우측수직공이 각각 형성되되 좌우측수직공 상단에는 좌우측수직공으로 삽입된 고압케이블의
선단이 외피가 박피된 상태로 삽입되어 접촉됨으로써 통전이 이루어지는 좌우측통전요홈을 갖는 도체인 통전대
가 위치되어 좌우측에서 각각 볼트공을 통해 삽입된 고정볼트 선단의 고무봉에 의해 통전되지 않게 고정지지되
는 상부컨넥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0012]
등록번호 10-0777263 (특) 지중에 매설된 박스형 맨홀의 측벽에 관통되면서 양측단부가 상기 맨홀의 내[0013]
외부에 각각 지지되며 내부에 고압케이블이 각각 관통되는 케이블 삽입유도구와; 상기케이블 삽입유도구의 내부
측에 고정되며 내부에 지수재가 충진되어 상기 케이블 삽입유도구와 상기 고압케이블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누
수차단링과; 상기 고압케이블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결합되면서 서로 끼워 연
결됨과 아울러 지수재가 충진되어 상기 고압케이블을 이음하는 커넥터와; 상기 맨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고압[0014]
케이블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는 기술을 중심적으로 기재 하고 있다. 하지만 그[0015]
구성에 복잡함은 물론이거니와, 일반적인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등록특허 10-1204407
- 3 -
다른 형태의 기술을 살펴보면 지하에 매설되는 케이블이 이음 연결한 부분에 지하수가 침투하지 못하며[0016]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지하에 매설된 케이블의 경우에는 그 무게하중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구성인 것이다.
또 다른 형태의 기술을 보면, 앞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과 흡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구성으로써 내부로[0017]
지하수 또는 누수가 발생되어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긴 하지만 그 구성을 함에 있어 구체적으
로 언급하고 있지 않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을 종합해보면 케이블이 단락이 되면 효과적으로 단락된 케이블을 보수를 할 수[0018]
있는 것이 아니며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기본적은 케이블을 이음 연결하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불
과하다.
이에 따라 단락된 케이블을 이음 연결 하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누구나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0019]
는 제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천재지변 등의 이유로 케이[0020]
블이 단락 되었을 때 케이블 전체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단락된 부분만을 이음 연결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으며, 단락된 부분을 이음 연결 한 후 이음 연결된 부분에서 양 측
방향으로 케이블 외측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와 누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으
며 외관상 미려함을 더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창안해낸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에 본 발명은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가 상호 겹침 되어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양측[0021]
면에 다수개의 결합홈(102)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원통의 형상으로 일 측면에 다수개의 제1연결홈(202)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1중공부(201)가 형성되되, 내측에 고정되는 제1조임부재(211)와 상기 제1조임부재(211)와 대
응되며 유동하는 제2조임부재(212)로 구성되는 제1조임부(210)와, 외부 일 측에 돌출되며 제1걸림홈(221)이 형
성되고 돌출되는 상측 중앙부에 상기 제1중공부(201)와 연결되는 제1관통 홈(222)이 형성되는
제1돌출부(220)와, 상기 제1관통 홈(222)의 내부로 삽입되며 일 측에 제1걸림턱(231)이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
홈(221)에 걸림 되는 제1가압부재(230)와, 상기 제1가압부재(230)의 하부와 상기 제2조임부재(212)의 상부를 상
호 연결하며 완충작용을 하는 제1탄성부재(240)와, 상기 제1가압부재(230)의 상부를 덮는 보호커버(250)로 구성
되는 제1결합부(200)와, 상기 제1결합부(20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100)의 타 측에 대칭되어 구성
되는 제2결합부(300)와, 상기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의 제1, 2연결홈(202, 302)과 상기 본체부(10
0)의 결합홈(102)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400)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에 의하면, 그 구조가 간단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천재지[0022]
변으로 인해 단락된 케이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지상 또는 매설되는 케이블에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
능함은 물론, 단락된 케이블을 이음 연결할 시 이음 연결된 케이블에 누수방지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음
된 부분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재차 단락되는 경우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경제적 효율성이 우수
하며 누전사고를 방지 하며 외관상 미려함을 더하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0023]
등록특허 10-1204407
- 4 -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결합부와 제1가압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도 5의 A-A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일반적으로 케이블(c)을 설치 시에 다수개로 설치된 전신주를 지나 설치되는데 이는 끝부분을 상호 연[0024]
결 가능토록 구성되어 나오는 케이블은 설치가 용이하지만,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단락된 케이블과 같은 경우에
는 고전적인 방법을 통하여 재차 단락될 수밖에 없는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심지어는 새로운 케이블로 교
체하여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일들이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락된 부분을 이음 연[0025]
결 한 후, 이음 연결된 부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악천후 시 누수 발생을 방지 할 수 있어 누전사
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음은 물론, 이음 연결되는 부분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며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 할 수
있는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0026]
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0027]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가 상호 겹침 되어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양측 면에 다수개의[0028]
결합홈(102)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원통의 형상으로 일 측면에 다수개의 제1연결홈(202)이 형성되며 내부
에 제1중공부(201)가 형성되되, 내측에 고정되는 제1조임부재(211)와 상기 제1조임부재(211)와 대응되며 유동하
는 제2조임부재(212)로 구성되는 제1조임부(210)와, 외부 일 측에 돌출되며 제1걸림홈(221)이 형성되고 돌출되
는 상측 중앙부에 상기 제1중공부(201)와 연결되는 제1관통 홈(222)이 형성되는 제1돌출부(220)와, 상기 제1관
통 홈(222)의 내부로 삽입되며 일 측에 제1걸림턱(231)이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홈(221)에 걸림 되는 제1가압부
재(230)와, 상기 제1가압부재(230)의 하부와 상기 제2조임부재(212)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며 완충작용을 하는
제1탄성부재(240)와, 상기 제1가압부재(230)의 상부를 덮는 보호커버(250)로 구성되는 제1결합부(200)와, 상기
제1결합부(20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100)의 타 측에 대칭되어 구성되는 제2결합부(300)와, 상기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의 제1, 2연결홈(202, 302)과 상기 본체부(100)의 결합홈(102)을 상호 결합하
는 결합부재(4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단락 연결된 부분의 상태 및 변형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투[0029]
명재질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내지 3에[0030]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가 상호 겹침 되어 본체부(100)가 구성되되, 겹침됨에 따라 내
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101)는 단락된 케이블(c)을 이음 연결 한 후, 이음 연결되는 케이블(c)의 끝부가 안전하게[0031]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c)에 닿지 않을 정도의 크기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양 측이 개방된 형태에서 상기 공간부(101)와 연결되어 케[0032]
등록특허 10-1204407
- 5 -
이블(c)의 개방된 양측으로 이동 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의 결합홈(102)이 형성되어 제1, 2결합부(200, 300)와 결합 시에 고정 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400)로 연
결하기 위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는 악천 후 시를 대비하여 종래에 전기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감싸던
것보다 탁월한 효과와 누수가 전혀 발생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결합부(200)는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원통의 형상[0033]
으로 내부에 제1중공부(201)가 형성되되, 내측에 고정되는 제1조임부재(211)와 상기 제1조임부재(211)와 대응토
록 구성되되 유동하는 제2조임부재(212)로 구성되는 제1조임부(210)가 구성된다.
상기 제1조임부(21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하부가 제[0034]
1조임부재(211)에 안착 되고, 상기 케이블(c)이 고정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2조임부재(212)가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조임부재(212)는 하기될 제1탄성부재(240)가 중공부(201)에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240)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구
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조임부(210)는 우레탄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더욱 견고하게 방지 할 수[0035]
있으며 마모가 적게 되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 단락된 부분을 이음 연결한 후 꼬아 이음 연결된 부분에 힘이 가해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었[0036]
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자칫 꼬임 된 부분이 케이블(c)의 무게 하중으로 인해 재차 단락되거나 배전을 함
에 있어 전력을 손실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조임부(210)에 따라 전력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재차 단락되는 문제점[0037]
을 완전하게 해소 하게 될 수 있어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외관상 미려함을 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결합부(200)의 상부 일 측에는 돌출되는 제1돌출부(220)가 구성되되, 상측 중앙부에 상기 제1[0038]
중공부(201)와 연결되는 제1관통 홈(222)이 형성되며 좌측 또는 우측에 관통되는 제1걸림홈(221)이 형성되는 것
이다. 상기 제1걸림홈(221)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돌출부(220)의 내부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재(230)가 상기 제1관통 홈(222)의[0039]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데 상기 제1가압부재(230)는 일 측에 돌출되는 제1걸림턱(231)이 구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
(231)은 앞서 설명한 제1돌출부(220)의 제1걸림홈(221)에 걸림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1가압부재(230)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압부재(230)의[0040]
상부가 눌려지게 되면 제2조임부재(212)가 동시에 눌려지게 되어 투입된 케이블(c)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반대
로 상기 제1가압부재(230)의 제1걸림턱(231)을 누르게 되면 제1걸림홈(221)에서 빠지게 되며 제1탄성부재(240)
에 의해 밀림 되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 케이블(c)의 이음 연결된 부분이 힘을 받지 않도록 하는 연결 장치가 있으나 이는 그 구[0041]
조가 매우 복잡하며 시각적으로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단락된 케이블(c)을 연결 시에 실질적으로 사
용할 수 있는 곳에 제한되어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단락된 케이블(c)을 누구나 용이하며 편리하게 사용하여[0042]
작업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을 부여하게 되며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탄성부재(240)는 상기 제1가압부재(230)의 하부와 상기 제2조임부재(212)의 상부에 상기 제1탄[0043]
성부재(240)가 구성되어 완충 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스프링을 적용하여 도시하였지만 통
상의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구성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등록특허 10-1204407
- 6 -
또한, 악천후 시에 상기 제1돌출부(220)와 제1가압부재(230)와 결합된 제1관통 홈(222)의 내부로 누수[0044]
방지를 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250)가 구성된다. 상기 보호커버(250)가 끼움 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200)의 제
1돌출부(220) 외주에 걸림 될 수 있도록 형성한 다음 상기 보호커버(250)가 끼움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1결합부(200)가 상기 본체부(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하기될 결합부재(400)로 결합 가능토록[0045]
일 측면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다수개의 제1연결홈(202)이 형성된다.
[0046]
제2결합부(3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200)의 타측에 대칭되어 동일한 구[0047]
성요소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결합부(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2조임부(310), 제2돌출부(320),
제2가압부재(330), 제2탄성부재(340), 보호커버(350)로 구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320)의 방향이 제1돌출부(32
0)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320)에 끼움 구성되는 제2가압부재(330) 또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끼움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300)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결합부(200)와 동일함으로써 설
명은 생략한다.
[0048]
이렇게 상기 본체부(100)의 양 측으로 제1, 2결합부(200, 300)가 상호 대칭되어 연결 구성되어 결합부[0049]
재(400)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400)는 본체부(100)의 결합홈(102)과 제1결합부(200,
300)의 제1, 2연결홈(202, 302)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볼트를 적용하여 회전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통상의 결합 기술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결합부재(400)가 본체부(100)와 제1, 2결합부(200, 300)를 결합함에 따라 본체부(100)는 별도로[0050]
결합할 필요가 없어 그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것이다.
[0051]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악천후 시[0052]
미세한 틈으로 누수를 방지 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일 측과 제1결합부(200)사이와 상기 본체부(100)의 타
측과 제2결합부(300)의 사이에 패킹(500)이 각각 구성된다. 상기 패킹(500)의 구성으로 인해 누수방지를 할 수
가 있게 됨으로써 누전사고로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0053]
상기한 본 발명에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주로 제1조임부재(211)와 제3조임부재(311)가 고정되고, 제2조[0054]
임부재(212)와 제4조임부재(312)는 유동토록 구성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제1돌출부(220)와 제2돌출부(320)의 타
측에 돌출부와 가압부재를 각각 더 구성하고 제1조임부재(211)와 제3조임부재(311)와 각각의 가압부재 사이에
탄성부재를 각각 더 구성하여 제1조임부(210)와 제2조임부(310)가 동시에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0055]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작업자가 단락된 부분을 이음 연결한 후 작업된 부분의 변형 상태를 육안으[0056]
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를 분리하여 확인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시간적으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편리
성이 부여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의 구성에 따라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더하며 지하에 매[0057]
설되는 케이블(c) 또는 지상의 다수의 전신주를 거쳐 이음 연결되는 케이블(c)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이음 연결된 부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재지변으로 인해 단락된 부분이 있을
경우 용이하게 재차 연결 한 후 이음 연결된 부분에 힘을 받지 않으며 처짐과 재차 단락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 본체부 101 : 공간부 102 : 결합홈[0058]
등록특허 10-1204407
- 7 -
110 : 상부커버 120 : 하부커버
200 : 제1결합부 201 : 제1중공부 210 : 제1조임부
211 : 제1조임부재 212 : 제2조임부재 220 : 제1돌출부
221 : 제1걸림홈 222 : 제1관통 홈 230 : 제1가압부재
231 : 제1걸림턱 240 : 제1탄성부재 250 : 보호커버
300 : 제2결합부 301 : 제2중공부 310 : 제2조임부
311 : 제3조임부재 312 : 제4조임부재 320 : 제2돌출부
321 : 제2걸림홈 322 : 제2관통 홈 330 : 제2가압부재
331 : 제2걸림턱 340 : 제2탄성부재 350 : 보호커버
400 : 결합부재 500 : 패킹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204407
- 8 -
도면2
등록특허 10-1204407
- 9 -
도면3
등록특허 10-1204407
- 10 -
도면4
등록특허 10-1204407
- 11 -
도면5
등록특허 10-1204407
- 12 -
도면6
등록특허 10-1204407
- 13 -
도면7
등록특허 10-1204407
- 14 -
도면8
등록특허 10-1204407
- 15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