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11월23일
(11) 등록번호 10-1678604
(24) 등록일자 2016년11월1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1D 19/08 (2006.01) E01D 19/06 (2006.01)
E01D 21/00 (2006.01)
(52) CPC특허분류
E01D 19/083 (2013.01)
E01D 19/06 (2013.01)
(21) 출원번호 10-2015-0104851
(22) 출원일자 2015년07월24일
심사청구일자 2015년07월24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644143 B1*
KR101306266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베스탑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동대로 189 (성내동)
(72) 발명자
이요완
서울특별시 송파구 문정로 83 129동 802호 (문정
동,삼성래미안아파트)
이주형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로 102 106동 403호
(신갈동,한신이매진아파트)
(74) 대리인
이상문, 박천도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고철승
(54) 발명의 명칭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시공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이격된 슬래브(S)의 선단홈(R) 바닥면(R-1)에
베이스바(10)를 안착한 다음 체결수단(B1)을 매개로 베이스바(10)를 슬래브(S)에 고정하는 베이스바 설치단계
(S1); 상기 슬래브(S) 사이 공간으로, 배수홈(21a)을 갖춘 본체(21)와 본체(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등록특허 10-1678604
- 1 -
(22)로 구성된 배수시트(20)를 개입시켜 지지부(22)에 의해 본체(21)가 지지될 수 있도록 베이스바(10)의 상면에
지지부(22)를 각각 얹혀주는 배수시트 설치단계(S2); 상기 배수시트(20)의 지지부(22) 상면에 시트고정바(30)를
얹혀준 다음 체결수단(B2)를 매개로 베이스바(10)에 고정되어 지지부(22)를 가압해 고정하는 배수시트 고정단계
(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슬래브의 취약부분인 상부 선단부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배수시트의 재질 및 슬래
브 사이의 이격거리에 상관없이 시공(설치)가능한 이점이 있다.
(52) CPC특허분류
E01D 21/00 (2013.01)
등록특허 10-1678604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상호 이격된 슬래브의 선단홈 바닥면과 측벽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선단홈의 바닥면과 측벽을 평탄화시켜 준 다
음, 길이방향을 따라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이 반복형성된 베이스바를 얹혀 준 상태에서 제1체결공을 관통해 바
닥면에 고정되는 접시머리모양의 체결수단과 도포된 접착제를 매개로 바닥면과 베이스바를 상호 고정하는 베이
스바 설치단계;
상기 베이스바의 상면에 탄성패드를 얹혀 준 다음, 배수홈을 갖춘 본체와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로 구성된 배수시트를 슬래브 사이 공간으로 개입시켜 지지부에 의해 본체가 지지될 수 있도록 탄성패드의 상면
에 지지부를 각각 얹혀주어 베이스바와 지지부 사이가 탄성패드에 의해 실링 및 완충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시
트 설치단계;
상기 배수시트의 지지부 상면에 제2체결공과 상호 연통되는 제3체결공을 갖춘 시트고정바를 얹혀준 다음, 제3체
결공을 관통해 제2체결공에 체결되는 접시머리모양의 체결수단을 매개로 시트고정바를 베이스바에 고정시켜 지
지부를 가압해 고정하면서 슬래브의 선단부를 보강하는 배수시트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
량용 누수방지장치 시공방법.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0001]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교량은 다수개의 기둥을 세운 후에 기둥의 상부에 철골구조로 골격을 형성하고, 철골구조의 골격에[0002]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교량 상판을 이루며, 교량 상판의 상면에는 통상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일반 도로와 같은
조건으로 형성한다.
상기 교량 상판은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상판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드는 등의 길이변화가 발생[0003]
하는데, 이러한 교량 상판의 신축현상을 보상하기 위해서 교량 상판은 다수개의 유닛(이하의 설명에서는 교량
슬래브라는 용어를 사용키로 한다)으로 구성되어 슬래브와 슬래브가 신축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교량 상판을 형성하는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신축이음장[0004]
치에 의해 교량 상판을 형성하는 다수의 교량 슬래브의 신축현상에 기인하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는 동시에 차
량의 원활한 주행을 보장하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구성의 신축이음장치가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제공되고 있지만, 통상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0005]
교량 상판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유연하게 신축되기는 하나 물의 침투를 저지하는데에는 구조적으로 취약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기술 1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7484호(교체[0006]
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가 있으며, 여기에는 슬래브 사이 공간에 신축부재가 개입되도록 슬래브의 측면을
통해 신축부재를 밀어넣어 줌으로서 누수를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678604
- 3 -
이러한 종래기술 1은, 슬래브의 측면을 통해 슬래브의 폭 방향으로 긴 신축부재를 밀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설[0007]
치가 매우 힘들고 어려우며, 특히 이와 같이 밀어 넣는 과정에 신축부재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기술 2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599호(교[0008]
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가 있으며, 여기에는 슬래브(100) 사이의 대향 면에 매립프레임(200)
를 각각 설치한 다음, 대략“U”자 형상을 갖는 배수판(300)을 슬래브(100)의 사이 공간 상부를 통해 밀어 넣어
배수판(300)의 양단부가 매립프레임(200)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슬래브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우수 및 토사가
슬래브의 하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 2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0009]
도 5는 종래기술 2에서 발췌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0010]
첫째, 슬래브(100) 사이 공간으로 배수판(300)을 개입시켜 주기 위해서는 배수판(300)의 상부를 오므려야지만[0011]
슬래브(100) 사이 공간으로 밀어 넣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작업시간이 길어
지는 등 전반적으로 작업효율이 상당히 떨어지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둘째, 슬래브(100) 사이의 이격거리(예:50㎜)가 짧은 경우에는 금속재질의 배수판(300)을 작업자가 오므린다는[0012]
것은 매우 어렵고 힘든 작업이며, 특히 배수판(300)을 강제로 오므리는 과정에 배수판(300)의 탄성한도를 넘어
영구변형이 일어나게 되면 사용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슬래브(100) 사이의 이격거리(예:50
㎜ → 100㎜)를 늘려야만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설계변경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셋째, 슬래브(100) 사이 공간으로 배수판(300)을 오므려 개입시켜 주는 과정에 배수판(300)의 지지판(320)이 슬[0013]
래브(100)의 내면을 긁으면서 이동하므로 슬래브(100)의 손상이 우려되며, 특히 외부로 노출된 매립프레임(20
0)의 상부돌출판(230)과 배수판(300)의 지지판(320)이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시공을 원활하게 진행
할 수 없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 1·2는 슬래브(100)의 선단부(상단 모서리)가 상당히 취약함에[0014]
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보완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외부 충격에 쉽게 깨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잦은 유지보수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7484호(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2007.04.06) [0015]
(특허문헌 0002)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599호(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2009.10.13)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래브의 취약부분인 상부 선단부의 파손을[0016]
최소화할 수 있고, 배수시트의 재질 및 슬래브 사이의 이격거리에 상관없이 시공(설치)가능한 교량용 누수방지
장치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0017]
상호 이격된 슬래브의 선단홈 바닥면에 베이스바를 설치하는 베이스바 설치단계;[0018]
등록특허 10-1678604
- 4 -
상기 슬래브 사이 공간으로, 배수홈을 갖춘 본체와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로 구성된 배수시트를[0019]
개입시켜 지지부에 의해 본체가 지지될 수 있도록 베이스바의 상면에 지지부를 각각 얹혀주는 배수시트 설치단
계;
상기 배수시트의 지지부 상면에 시트고정바를 얹혀준 다음 체결수단를 매개로 베이스바에 고정되어 지지부를 가[0020]
압해 고정하는 배수시트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래브의 선단홈 바닥면과 베이스바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선단홈의 바닥면을 평[0021]
탄화시켜 줌과 동시에 접착제를 매개로 바닥면과 베이스바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접착제 도포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배수시트의 지지부 사이에 탄성패드를 개입시켜 베이스와 지지부 사[0022]
이를 실링 및 완충하는 탄성패드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슬래브의 취약부분인 상부 선단부를 베이스바와 시트고정바가 보강해주므로 선단부 파손[0023]
에 따른 보수작업이 전혀 필요 없어 교량의 유지 및 관리하기가 상당히 편리하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비용을 절
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배수시트가 오므리기 힘든(어려운) 재질(합성수지, 금속 등)이거나, 슬래브 사이의[0024]
이격거리(예:50㎜)가 짧은 경우라도 이에 상관없이 시공(설치)가능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슬래브의 선단홈 바닥면과 측벽에 접착제를 도포해 줌에 따라 면을 평탄화시켜[0025]
틈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바닥면과 베이스바 간의 결합력을 제1볼트와 함께 극대화할 수 있어 상당히 유용하다.
게다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베이스바와 지지부 사이에 탄성패드를 개입시켜 줌으로서 침투수가 베이스바와[0026]
지지부 사이로 유입되어 배수홈이 아닌 외부로 직접배출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통과시 시트고정바에 작용하는 반복적인 가압력(수직응력)을 탄성패드가 일부 완충해주기 때문에 이에 의한
지지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구성 향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해 제조가 용이하고, 설치작업이 상당히 편리해 설치시간을 단축할[0027]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누수방지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0028]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누수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시공방법에 대한 플로차트.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기술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종래기술의 슬래브 선단부에 파손상태를 보인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0029]
등록특허 10-1678604
- 5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누수방지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누[0030]
수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의한 교량용 누수방지장치(1)는, 베이스바(10)와 배수시트(20) 및 시트[0031]
고정바(30)로 구성되며, 슬래브(S)와 슬래브(S) 사이에 시공되어 슬래브(S)에서 낙하되는 물(또는 자갈, 오염물
등)을 유도해 배출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접착제(40) 및 탄성패드(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0032]
상기 베이스바(10)와 시트고정바(30)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슬래브(S)의[0033]
선단홈(R)에 설치되어 슬래브(S)의 선단부를 보강해 줌과 동시에 배수시트(20)를 가압해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베이스바(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1체결공(11)과 제2체결공(12)이 반복형성되고, 상기[0034]
시트고정바(3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3체결공(31)이 반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공(11)에는 슬래브(S)에 고정되는 체결수단인 제1볼트(B1)가 결합되고, 상기 제2체결공[0035]
(12)에는 시트고정바(30)의 제3체결공(31)을 관통해 체결되는 제2볼트(B2)가 고정되며, 상기 제3체결공(31)에는
제2볼트(B2)가 결합된다.
특히, 상기 체결수단으로서 제1·2볼트(B1,B2)는 공지의 여러 볼트(bolt)가 적용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본[0036]
실시 예의 제1볼트(B1)는 접시머리렌치볼트와 케미컬 캡너트로 구성된 공지의 앵커볼트이고, 제2볼트(B2)는 제3
체결공(31)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접시머리렌치볼트(flat headed bolt)가 적용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하면
볼트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볼트의 머리가 돌출되지
않아 차량 통과시 바퀴손상을 줄일 수 있어 유용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제2볼트(B2)와 제3체결공(31) 사이에 얇은 고무패드를 개입시켜 주면 기밀성 향상에 보다 큰 도움[0037]
을 줄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베이스바(10)는 슬래브(S)의 선단홈(R) 바닥면(R-1)에 안착되어 체결수단인 제1볼트(B1)를 매[0038]
개로 슬래브(S)에 고정되며, 상기 시트고정바(30)는 베이스바(10)의 상면에 얹혀지는 배수시트(20)의 지지부
(22) 상면에 안착되어 체결수단인 제2볼트(B2)를 매개로 베이스바(10)에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수시트(20)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 및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0039]
시트(20)의 손상시 배수시트(20)를 고정하고 있는 시트고정바(30)만 분리해주면 쉽게 교체가 가능해 교체작업이
상당히 편리하며, 특히 슬래브(S)의 선단홈(R)을 베이스바(10)와 시트고정바(30)가 슬래브(S)의 취약부분인 상
부 선단부를 메워 보강해주기 때문에 선단부 파손에 따른 보수작업이 전혀 필요 없어 교량의 유지 및 관리하기
가 상당히 편리해지며,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상기 배수시트(20)는 내측에 배수홈(21a)이 형성된 본체(21)와, 본체(21)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본[0040]
체(21)를 지지하는 지지부(2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슬래브(S)와 슬래브(S) 사이 공간으로
개입되어 슬래브(S)에서 낙하되는 물(또는 자갈, 오염물 등)을 유도해 배출하는 기능을 하며, 유도된 물(또는
자갈, 오염물 등)은 본체(21)와 연결된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배수시트(20)를 대략“U”자형으로 형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0041]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배수시트(20)의 본체(21)를 슬래브(S)와 슬래브(S) 사이 공간으로 밀어 넣어 주면, 지지부(2[0042]
등록특허 10-1678604
- 6 -
2)가 베이스바(10)의 상면에 자연스럽게 얹혀지면서 본체(21)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수시트(20)를 오므릴 필요없이 슬래브(S)와 슬래브(S) 사이 공간으로 개[0043]
입만 시켜주면 자연스럽게 배수시트(20)의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설치시간 단축 및 설치작업이 상당히 편리해
지며, 이에 의해 종래의 기술(슬래브의 측면에서 배수시트를 밀어 넣거나, 또는 배수시트를 오므린 상태에서 슬
래브의 상부를 통해 개입시키는 방법)들에 비해 단위시간당 설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단축(工期短縮) 및 공사비 절감 측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수시트(20)가 오므리기 힘든(어려운) 재질(합성수지, 금속 등)이거나, 슬래브(S)와 슬래브(S) 사[0044]
이의 이격거리(예:50㎜)가 짧은 경우라도 이에 상관없이 시공(설치)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기술에 비해 상당한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상기 슬래브(S)의 선단홈(R)은 시공 전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시공 후 별도의 장비(예;그라인더[0045]
등)에 의해 형성되는데, 선단홈(R)의 바닥면(R-1)과 측벽(R-2)이 평탄한 경우에는 시공상에 큰 문제가 없지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이 평탄하지않고 울퉁불퉁한 상태에서 베이스바(10)와 배수시트(20) 및 시트고정
바(30)를 설치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틈새가 생길 수밖에 없고, 이 틈새를 통해 유입된 물이 배수시트(20)로 낙
하하지 않고 외부로 떨어지게 되므로 시공상의 하자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선단홈(R)의 바닥면(R-1)과 측벽(R-2)에 접착제(40)를 도포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0046]
를 해소하였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40)는 여러 공지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에폭시[0047]
(Epoxy)와 같은 경화제가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선단홈(R)의 바닥면(R-1)과 측벽(R-2)에 접착제(40)를 도포해 줌에 따라 면을 평탄[0048]
화시켜 틈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바닥면(R-1)과 베이스바(10) 간의 결합력을 제1볼트(B1)와 함께 극대화할 수 있어 상당히 유용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바(10)의 상면과 배수시트(20)의 지지부(22) 사이에는 탄성패드(50)가 개입되어 베이스바(1[0049]
0)와 지지부(22) 사이를 방수 및 완충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패드(50)로 공지의 다양한 재질의 패드가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에바조트[0050]
(EVAZOTE)패드, 실리콘패드 등이 적용되며, 이 중에서도 내구성, 온도, 부착력 등의 전반적인 사항들을 고려해
에바조트(EVAZOTE)패드를 적용하였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바(10)의 상면과 배수시트(20)의 지지부(22) 사이에 탄성패드(50)를 개입시켜[0051]
줌으로서 침투수가 베이스바(10)와 지지부(22) 사이로 유입되어 배수홈(21a)이 아닌 외부로 직접배출되는 문제
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통과시 시트고정바(30)에 작용하는 반복적인 가압력(수직응
력)을 일부 탄성패드(50)가 완충해주기 때문에 이에 의한 지지부(22)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구성 향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공과정은 다음과 같다.[005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시공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고,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0053]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베이스바 설치단계(S2)[0054]
등록특허 10-1678604
- 7 -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바 설치단계(S2)는 상호 이격된 슬래브(S)의 선단홈(R) 바닥면(R-1)에[0055]
베이스바(10)를 안착한 다음 제1볼트(B1)을 매개로 베이스바(10)를 슬래브(S)에 고정하는 과정이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선단홈(R)의 바닥면(R-1)을 정리한 다음, 일정간격으로 드릴로 천공 후,[0056]
천공된 부분에 제1볼트(B1)를 구성하는 케미컬 캡너트를 심어 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케미컬 캡너트를 심은 상태에서 베이스바(10)의 제1체결공(11)과 케미컬 캡너트가 상호 연[0057]
통되게 맞춰 준 다음, 제1볼트(B1)를 구성하는 접시머리렌치볼트를 제1체결공(11)를 관통시켜 케미컬 캡너트와
상호 고정시켜 주며, 이에 의해 베이스바(10)는 슬래브(S)의 선단홈(R) 바닥면(R-1)에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선단홈(R)의 바닥면(R-1)과 측벽(R-2)에 면이 고른 경우에는 크게 상관이 없지만, 면이 울퉁불퉁[0058]
한 상태에서 베이스바(10)를 설치하게 되면 바닥면(R-1)과 베이스바(10) 사이 및 측벽(R-2)과 베이스바(10) 사
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 틈을 통해 침투수가 유입되면서 유입된 물이 배수시트(20)로 낙하하지 않고 외
부로 떨어지게 되므로 시공상의 하자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b의 확대도면과 같이, 접착제 도포단계(S1)를 실시하면 좋은데, 접착제 도포단계(S1)는 바닥면[0059]
(R-1)과 측벽(R-2)에 접착제(40)를 도포하여 면을 평탄화시켜 줌으로서 틈새 발생을 최소화하는 과정이다.
이에 의하면,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어 좋고, 이와 동시에 바닥면(R-1)과 베이스[0060]
바(10) 간의 결합력을 제1볼트(B1)와 함께 극대화할 수 있어 더 좋다.
2)배수시트 설치단계(S4)[0061]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배수시트 설치단계(S4)는 슬래브(S)와 슬래브(S) 사이 공간으로, 배수홈(21a)을 갖춘[0062]
본체(21)와 본체(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22)로 구성된 배수시트(20)를 개입시켜 지지부(22)에 의
해 본체(21)가 지지될 수 있도록 베이스바(10)의 상면에 지지부(22)를 각각 얹혀주는 과정이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수시트(20)의 본체(21)를 슬래브(S)와 슬래브(S) 사이 공간으로 밀어 넣[0063]
어 주면, 지지부(22)가 베이스바(10)의 상면에 자연스럽게 얹혀지면서 본체(21)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수시트(20)를 오므릴 필요없이 슬래브(S)와 슬래브(S) 사이 공간으로 개[0064]
입만 시켜주면 자연스럽게 배수시트(20)의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설치시간 단축 및 설치작업이 상당히 편리해
지며, 이에 의해 종래의 기술(슬래브의 측면에서 배수시트를 밀어 넣거나, 또는 배수시트를 오므린 상태에서 슬
래브의 상부를 통해 개입시키는 방법)들에 비해 단위시간당 설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단축(工期短縮) 및 공사비 절감 측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수시트(20)가 오므리기 힘든(어려운) 재질(합성수지, 금속 등)이거나, 슬래브(S)와 슬래브(S) 사[0065]
이의 이격거리(예:50㎜)가 짧은 경우라도 이에 상관없이 시공(설치)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기술에 비해 상당한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바(10)의 상면과 배수시트(20)의 지지부(22) 사이를 통해 침투수가 유입될 수 있다.[0066]
이에,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패드 설치단계(S3)를 실시하면 좋은데, 탄성패드 설치단계(S3)는 베이스[0067]
바(10)의 상면의 상면에 배수시트(20)의 지지부(22)가 얹혀지기 전에 탄성패드(50)를 설치해주는 과정이다.
이에 의하면, 침투수가 베이스바(10)와 지지부(22) 사이로 유입되어 배수홈(21a)이 아닌 외부로 직접배출되는[0068]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통과시 시트고정바(30)에 작용하는 반복적인 가압력(수직
응력)을 일부 탄성패드(50)가 완충해주기 때문에 이에 의한 지지부(22)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구성 향상
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3)배수시트 고정단계(S5)[0069]
등록특허 10-1678604
- 8 -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배수시트 고정단계(S5)는 배수시트(20)의 지지부(22) 상면에 시트고정바(30)를 얹혀준[0070]
다음 제2볼트(B2)를 매개로 베이스바(10)에 고정되어 지지부(22)를 가압해 고정하는 과정이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배수시트(20)의 지지부(22) 상면에 시트고정바(30)를 안착시켜 준 다음,[0071]
시트고정바(30)의 제3체결공(31)을 통해 제2볼트(B2)를 관통시켜 베이스바(10)의 제2체결공(12)에 체결시켜 주
면, 제2볼트(B2)의 체결력에 의해 시트고정바(30)가 지지부(22) 및 탄성패드(50)를 가압해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누수방지장치의 시공이 완료된다.[0072]
한편, 상기 배수시트(20)가 손상되어 교체가 필요가 경우에는 앞서 순서의 역순으로 해체한 다음 새로운 배수시[0073]
트(20)로 교체해 주면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일반적인 교량에 대해에만 상세하게 기재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철도교량에도[0074]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슬래브(S)의 취약부분인 상부 선단부를 보강해주므로 선단부 파손에 따른 보수작[0075]
업이 전혀 필요 없어 교량의 유지 및 관리하기가 상당히 편리하다는 점,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 설치작업이 상당히 편리해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점, 오므리기 힘든(어려운) 재질(합성수지, 금속
등)이거나, 슬래브(S) 사이의 이격거리(예:50㎜)가 짧은 경우라도 이에 상관없이 시공(설치)가능하다는 점, 손
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구성 향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 구조가 단순해 제조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분
명 종래기술들과는 비교될 수 없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0076]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
은 당연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누수방지장치 10: 베이스바 11: 제1체결공[0077]
12: 제2체결공 20: 배수시트 21: 본체
21a: 배수홈 22: 지지부 30: 시트고정바
31: 제3체결공 40: 접착제 50: 탄성패드
S: 슬래브 R: 선단홈 R-1: 바닥면
R-2: 측벽 B1,B2: 제1·2볼트
등록특허 10-1678604
- 9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678604
- 10 -
도면2
등록특허 10-1678604
- 11 -
도면3
등록특허 10-1678604
- 12 -
도면4a
등록특허 10-1678604
- 13 -
도면4b
등록특허 10-1678604
- 14 -
도면4c
등록특허 10-1678604
- 15 -
도면4d
등록특허 10-1678604
- 16 -
도면4e
등록특허 10-1678604
- 17 -
도면4f
등록특허 10-1678604
- 18 -
도면5
등록특허 10-1678604
- 19 -
도면6
등록특허 10-1678604
- 20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