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Int. Cl.7
A47J 27/00
A47J 27/12
(45) 공고일자 2001년05월02일
(11) 등록번호 10-0285573
(24) 등록일자 2001년01월04일
(21) 출원번호 10-1998-0052548 (65) 공개번호 특1999-0062723
(22) 출원일자 1998년12월02일 (43) 공개일자 1999년07월26일
(30) 우선권주장 361247 1997년12월26일 일본(JP)
(73) 특허권자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강성모
인천 부평구 십정1동 560-2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나이토 스스무
일본국 아이치켄 나고야시 나카가와구 후쿠즈미쵸 2반 26고
(72) 발명자 다테마츠 데츠오
일본국 아이치켄 나고야시 나카가와구 후쿠즈미쵸2반 26고린나이 가부시키가
이샤 내
모리구치 세이지
일본국 아이치켄 나고야시 나카가와구 후쿠즈미쵸2반 26고린나이 가부시키가
이샤 내
하나후사 아키라
일본국 아이치켄 나고야시 나카가와구 후쿠즈미쵸2반 26고린나이 가부시키가
이샤 내
(74) 대리인 김병진
심사관 : 강춘원
(54)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
요약
(과제) 사용중인 냄비를 가열하여 냄비의 온도평형상태에서의 평형온도가 결정되지 않을 경우, 그 이상에
알맞은 취반제어를 할 수 있는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어부(143)는, 온도평형상태 결정부(153)의 평형온도 검출부(161)가 평형온도를 소정온도 범
위에서 검출하지 못할 경우 안전밸브(133a)를 폐쇄함으로써 에러제어를 실행한다.
대표도
도18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조작패널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취반에도 이용되는 표준취반곤로의 화력조절레버 부근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제어부내의 냄비종류 판별을 위한 구성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
도 6은 도 4의 제어부내의 화력 및 취반량 판별을 위한 구성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
도 7은 도 4의 제어부내의 냄비두께 판별을 위한 구성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
도 8은 도 4의 제어부내의 순간익힘유무 판별을 위한 구성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
도 9는 제어부내에 설정모드 절환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
도 10은 도 4의 제어부에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 1 플로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 2 플로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 3 플로차트
37-1
1019980052548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 4 플로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 5 플로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 6 플로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 7 플로차트
도 18은 도 11의 스텝 207, 209, 210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9는 도 11의 스텝 207에서 샘플링된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0은 도 11의 스텝 207, 208, 209, 210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1은 도 11의 스텝 204 및 스텝 208의 처리를 기준으로 스텝 213, 214, 215, 216, 217, 218, 236의 처
리가 실행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2는 도 12의 스텝 219 이후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3은 도 13의 스텝 237 이후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4는 도 14의 스텝 244 이후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5는 도 16의 스텝 247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6은 도 12의 스텝 216을 스텝 302로 바꾸고, 데이터 △t2를 화력 및 취반량 판별에 이용한 경우를 나
타내는 플로차트
도 27은 도 16의 스텝 247을 냄비두께의 판별로서 받아들인 경우의 플로차트
도 28은 도 14에 대응하는 플로차트로서 스텝 244를 냄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의 판별로서 받아들인 경우
의 플로차트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 1 플로
차트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 2 플로
차트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 3 플로
차트
도 32는 도 30의 스텝 618에서 냄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를 판별하는 냄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 판별부를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
도 33은 질냄비등의 열전도율이 낮은 냄비가 사용된 경우 제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질냄비등의 열전도율이 낮은 냄비가 사용된 경우 취반을 계속시키는 미평형제어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35는 도 34에 나타낸 처리에 대응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 161 - 평형온도 검출부
143 - 제어부 171 - 통지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되는 냄비의 온도평형상태를 검출하는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에 관한 것이다.
취반은, 보통 취반기로 전용 가마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취반은, 가열이 진행됨에 따라서 온도가 상승하
여 수분이 비등한 상태인 온도평형상태를 지나 수분이 증발한 상태가 되며, 온도가 더 상승하여 소정 온
도에 도달하면 소화되거나 또는 화력이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되어 뜸들임공정이 실행된다. 또한, 상기
온도평형상태 동안에 쌀의 흡수(吸水)가 이루어져 밥은 정상적으로 다 지어진다.
한편, 주전자로 물을 끓이거나 음식을 삶는 등을 하는 곤로에서는 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
로, 이 곤로에 냄비바닥센서를 설치하여 취반을 할 수 있는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가 있다. 이 취반기
능을 구비한 곤로에서는, 취반기와 달리 어떤 재질의 냄비를 사용하여 취반이 이루어지는지는 알 수
없다. 이와 같은 곤로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냄비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의 측정온도가 소정온도(예를
들면 140℃)에 도달하면 바로 소화하여 취반을 종료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질냄비등의 열전도율이 낮은 냄비가 사용된 경우에, 열전도율이 낮으므로 냄비안이
상기 온도평형상태를 거치지 않고 상기 소정온도에 도달하여 밥이 지어지지 않았는데도 소화되는 문제가
생겼다.
37-2
1019980052548
이와 같이, 종래에는 온도평형상태가 되지 않은 채 상기 소정온도까지 상승하는 취반불량상황이 발생함에
도 불구하고 그러한 상황에 알맞은 제어가 행해질 수 없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식사시 밥이 지어지지 않는 사용자의 예측할 수 없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2, 3의 발명은, 질냄비등의 열전도율이 낮은 냄비가 사용된 경우라도 취반을 완료할 수 있는 취반
기능을 구비한 곤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사용중인 냄비를 가열함으로써 취반할 수 있는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에 있어서, 측정수단과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과 제어수단과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수단은, 냄비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은, 측정수단의 측정
결과에 따라서 냄비의 온도평형상태를 검출한다. 제어수단은,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이 온도평형상태를
소정온도 범위에서 검출하지 못할 경우 미평형제어로서 가열을 정지하는 에러제어를 실행한다. 통지수단
은, 제어수단이 에러제어를 실행함에 따라서 이상(異常)을 통지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해서, 소정온
도 범위에서 온도평형상태가 검출되지 않고 쌀의 흡수가 충분하지 않은 채 취반을 종료시킨 것을 이상으
로서 통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사용중인 냄비를 가열함으로써 취반할 수 있는 취반기 능을 구비한 곤로에 있어서,
측정수단과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과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수단은, 냄비의 온도
를 측정한다.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은, 측정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서 냄비의 온도평형상태를
검출한다. 제어수단은,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이 온도평형상태를 소정온도 범위까지 검출하지 못할
경우, 소정온도에 있어서 그 화력에서 작은 화력으로 절환하여 취반을 계속시키는 미평형제어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해서, 소정온도 범위까지 온도평형상태를 검출하지 못할 경우, 가열을 정
지하기보다는 취반을 계속하여 취반을 완료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사용중인 냄비를 가열함으로써 취반할 수 있는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에 있어서, 측
정수단과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과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수단은, 냄비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은, 측정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서 냄비의 온도평형상태를 검출한다.
제어수단은,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이 온도평형상태를 소정온도 범위까지 검출하지 못할 경우, 미평형제
어로서 소정온도에 있어서 그 화력에서 작은 화력으로 절환하여 흡수·비등공정의 제어를 실행하고, 그
후에 화력을 크게 하여 취반완료 공정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서, 온도평형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화력을 작게 하여 온도평형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쌀의 흡수를 확실하게 할 수 있고, 그 후에 화력을 크게 하여 취반을 완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조
작패널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어서 화력조절레버 부근의 확대도이다.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101)는, 냄비를 가열함으로써 취반할 수 있는 표준버너(103)와 강화력버너
(105)와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릴버너(131; 도 4 참조)를 포함하는 테이블곤로이다. 표준버너
(103)에 의해서 가열되는 냄비는 삼발이에 재치되고, 재치된 냄비바닥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107)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센서(107)는 예를 들어 서미스터이다.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101)의
앞면에는 그릴버너(131)가 설치된 그릴실내에 생선등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폐문(109)이 부착되어 있다.
또, 개폐문(109)의 좌측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작패널(111)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패널(111)에는 탕비키(湯沸key:113), 튀김키(115), 취반키(117)와 같은 조작키가 설치되어 있고, 특
히 취반키(117)는 누를 때마다 표준취반모드와 빠른취반모드가 절환되는 취반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
다. 어떤 취반모드로 선택되어 있는지는 빠른취반램프(117a)와 표준취반램프(117b) 중 어느 쪽이 점등되
어 있는가로 알 수 있다. 또한, 탕비키(113)에 대응하여 탕비램프(113a)가 설치되어 있고, 튀김키(115)
에 대응하여 160℃ 램프(115a), 180℃ 램프(115b), 200℃ 램프(115c)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패널(111) 이외에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101)의 앞면에는 표준버너(103)에 대응하는 점화조작
버튼(119a), 강화력버너(105)에 대응하는 점화조작버튼(119b), 그릴버너(131)에 대응하는 점화조작버튼
(119c)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점화조작버튼(119a, 119b, 119c)을 누름으로써 각각에 대응하는 버너
(103, 105, 131)를 점화시킬 수 있다. 또, 각각의 버너가 점화된 후에는 점화조작버튼(119a, 119b,
119c)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화력조절레버(121a, 121b, 121c)의 조작에 의해서 화력이 조정되고, 도
4에 나타낸 스로틀밸브(1121a, 1121b, 1121c)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화력조절레버(121a)는 '강'에서 '약'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이고,
이에 의해서 스로틀밸브(1121a)의 개방도가 변화하여 표준버너(103)의 화력이 조정된다. 또, 취반시 필
요한 가열량은 약 1,300kcal/h로써 그 화력에 대응하도록 굵은선(123)으로 그려져 있고, 또한 취반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취반시 굵은선(123) 아래의 위치로 화력조절레버(121a)를 이동시킨 후
취반하면 쉽게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또한, 굵은선(123)에 대응하는 표준버너(103)의 화력은 맛있
는 밥을 짓기 위한 기준이 되는 화력으로써 화력의 강약은 굵은선(123)에 대응하는 화력이 기준이 된다.
또,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101)의 앞면에는 전지교환사인(125)과 그릴점화 확인램프(127)도 설치되
어 있다.
도 4는, 도 1의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37-3
1019980052548
표준버너(103), 강화력버너(105), 그릴버너(131)의 각각에는 가스관(129)을 통해서 가스가 각각
공급된다. 가스관(129)은 표준버너(103), 강화력버너(105), 그릴버너(131)를 위해서 분기되어 있고, 각
각의 분기된 가스관에 대해서 안전밸브(133a, 133b, 133c)가 설치되어 있다. 화력조절레버(121a, 121b,
121c)에 대응하는 스로틀밸브(1121a, 1121b, 1121c)는 각각, 안전밸브(133a)와 표준버너(103) 사이, 안전
밸브(133b)와 강화력버너(105) 사이, 안전밸브(133c)와 그릴버너(13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화력조
절레버(121a, 121b, 121c)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어부(143)와
는 관계가 없다. 그리고, 안전밸브(133a)와 화력조절레버(121a)에 대응하는 스로틀밸브(1121a) 사이에서
가스관(129)이 또 분기되어 있고, 일측의 분기된 가스관에 대해서 전자밸브(1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자밸브(135)가 폐쇄되면 약화력인 약 350kcal/h의 화력이 되고, 그 전자밸브(135)가 개방되어 있을 때
에는 화력조절레버(121a)에 대응하는 스로틀밸브(1121a)에 의해 조절된 화력이 된다.
표준버너(103), 강화력버너(105), 그릴버너(131)는 각각 이그나이터(137)에 접속된 전극(139a, 139b,
139c, 139d)이 스파크를 일으킴으로써 점화된다. 점화여부는 표준버너(103)에 대응하는 점화확인기
(141a), 강화력버너(105)에 대응하는 점화확인기(141b), 그릴버너(131)에 대응하는 점화확인기(141c)에
의해 검출된다. 점화확인기(141a, 141b, 141c)는 예를 들어 서모커플이다.
안전밸브(133a, 133b, 133c), 전자밸브(135), 온도센서(107), 점화확인기(141a, 141b, 141c), 이그나이터
(137)는 제어부(143)에 접속되어 있고, 조작패널(111), 점화조작버튼(119a, 119b, 119c)의 조작을 받는
조작기판(145)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 제어부(143)에는 취반을 위한 데이터도 격납되어
있고 이 데이터에 의해서도 안전밸브(133a)등이 제어된다.
도 5는, 도 4의 제어부내의 냄비종류 판별부의 구성을 명확하게 한 블록도이다.
냄비종류 판별부(147)는 온도센서(107), 판별부(149), 타이머(151) 및 온도평형상태 결정부(본 발명의 온
도평형상태 검출수단:153)를 포함하고 있다. 판별부(149) 내에는 메모리(155)가 설치되어 있다. 동작
에 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간단하게 판별부(149)가 온도센서(107)에 의해서 얻어진 온도정보와 타이머
(151)에 의해서 얻어진 시간정보에 의거하여 표준버너(103)에 의해서 가열되는 냄비의 종류를 판별한다.
도 6은, 도 4의 제어부내의 화력 및 취반량 판별부의 구성을 명확하게 한 블록도이다.
화력 및 취반량 판별부(157)는 온도센서(107), 판별부(149), 타이머(151) 및 온도평형상태 결정부(153)를
포함하고 있다. 판별부(149) 내에는 메모리(15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판
별부(149)가 온도센서(107)에 의해서 얻어진 온도정보와 타이머(151)에 의해서 얻어진 시간정보에 의거하
여 표준버너(103)의 화력 및 냄비에 의해서 취반되는 취반량을 판별한다.
도 7은, 도 4의 제어부내의 냄비두께 판별부의 구성을 명확하게 한 블록도이다.
냄비두께 판별부(159)는 온도센서(107), 판별부(149) 및 온도평형상태 결정부(153)를 포함하고 있고, 온
도평형상태 결정부(153)에는 평형온도 검출부(161)가 설치되어 있다. 평형온도 검출부(16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시간에 대한 온도의 샘플링 데이터를 취함으로써 가열되는 냄비가 온도평형상태로 간주되
었을 때의 온도를 평형온도로 결정하여 검출하고, 시간정보에 의거하여 온도정보를 결정한다. 따라서 판
별부(149)는, 온도센서(107)에 의해서 얻어지는 온도정보와 평형온도를 결정할 때 사용하는 시간정보에
의거하여 가열되는 냄비의 두께를 판별한다. 자세한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4의 제어부내의 순간익힘유무 판별부의 구성을 명확하게 한 블록도이다.
순간익힘유무 판별부(163)는 온도센서(107), 판별부(149), 타이머(151) 및 온도저하포인트 검출부(165)를
포함하고 있다. 판별부(149)는, 온도센서(107)에 의해서 얻어진 온도정보와 타이머(151)에 의해서 얻어
진 시간정보에 의거하여 순간익힘유무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순간익힘'이라고 하는 것은, 취반완료전
표준버너(103)의 화력을 약화에서 강화로 짧은 시간동안 절환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취사하는 것을
말한다.
도 9는, 도 4의 제어부내의 다른 구성인 선택모드 절환부를 명확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143)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107)에 의해서 얻어진 온도정보에 의거하여 표준버너(103)
로 가열되는 냄비의 온도평형상태를 결정하는 온도평형상태 결정부(153) 이외에 선택모드 절환부(167)가
포함되어 있다. 선택모드 절환부(167)는 취반키(117)의 조작에 의해서 표준취반에서 빠른취반으로, 빠른
취반에서 표준취반으로의 모드선택을 절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선택모드 절환부(167)는 취반키(11
7)가 조작된 경우라도 온도평형상태 결정부(153)의 출력을 받아서 모드선택을 절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0은, 제어부(143)내에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43)내에는 데이터격납부(169)가 설치되어 있고, 표준취반 및 빠른취반모드 각각에 대응하여 취반
시간 데이터, 취반시간 MAX 데이터, 취반시간 MIN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또, 데이터격납부(169)에는
표준취반 및 빠른취반모드의 공통데이터이며 취반시간이 연장되었을 경우 최대한의 취사시간인 취사시간
연장 MAX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제어부(143)에는 통지부(171)가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부(143)가 취
반제어에 대해서 에러제어를 할 경우 통지부(171)가 동작한다. 또, 통지부(171)는 도 4에서는 도시생략
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취반제어를 나타내는 제 1 플로차트
이고, 도 12는 제 2 플로차트, 도 13은 제 3 플로차트, 도 14는 제 4 플로차트, 도 15는 제 5 플로차트,
도 16은 제 6 플로차트, 도 17은 제 7 플로차트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7의 플로차트에 따라서 설명함과 아울러 도 18의 블록도, 도 19 내지 도 25의 그래
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취반제어가 스타트하면 스텝 2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버너(103)의 화력은 강화로
37-4
1019980052548
제어된다. 스텝 201에 있어서 강화는, 전자밸브(135)가 개방상태에 있어서 화력조절레버(121a)에 대응하
는 스로틀밸브(1121a)에 의해서 조절된 화력이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43)는 화력조절레버
(121a)에 대응하는 스로틀밸브(1121a)의 조절상태는 인식하지 못하고 제어부(143)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전자밸브(135)의 개폐여부 만이므로, 이하의 냄비종류 판별등이 필요하게 된다.
다음으로, 화력이 강화인 채로 스텝 202에 있어서 초기의 온도가 판정된다. 스텝 202에서의 판정은 60℃
미만인지의 여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60℃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204로 가지만, 60℃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203에서 핫스타트 에러가 된다. 즉, 제어부(143)는 안전밸브(133a)를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하
여 표준버너(103)를 소화시킨다.
스텝 204로 간 경우에는, 표준버너(103)에 의해서 가열되는 냄비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데이터 △t1의
측정과 기억이 실행된다. 데이터 △t1은, 표준버너(103)에 의해서 가열되는 냄비의 온도가 60℃에서 75℃
까지 상승하는 데 걸리는 온도상승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스텝 204는, 온도센서(107)가 60℃에서 75℃로
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동안 타이머(151)가 얼마만큼의 시간을 계측하는가를 판별부(149)가 인식하여 메
모리(155)에 기억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다음으로, 스텝 205에서 냄비의 온도가 90℃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90℃ 이상이 되면 가열되는
냄비가 온도평형상태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90℃ 이상에 도달하면 스텝 206에서 온
도평형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처리가 개시된다. 온도평형상태는, 도 18에 나타낸 제어부(143)내의 온도평
형상태 결정부(153)가 동작함으로써 측정된다. 온도평형상태 결정부(153)에는 평형온도 검출부(161)가
설치되어 있고, 평형온도 검출부(161)는 스텝 207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19는, 평형온도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평형온도결정 처리는 15초마다 온도센서(107)의 데이터를 샘플링함으로써 실행된다.
그리고, 이하의 조건 1 및 조건 2를 만족할 경우 평형온도가 결정된다.
조건 1 -2℃≤TN-TN-2≤ 2℃
조건 2 조건 1을 3회 연속하여 만족한 경우의 TE3, TS가
-2℃≤TE3-TS≤ 2℃
단, TN은 최신의 측정온도 데이터, TN-2는 TN의 2회전의 데이터, TE3은 3회째 조건 1을 만족하였을 때의 TN,
TS는 최초로 조건 1을 만족하였을 때의 TN-2이다.
그리고, 조건 2가 성립하면 TE3이 평형온도로 결정된다. 또 평형온도가 미리 결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TE3
이 미리 결정된 평형온도보다도 낮을 경우에만 평형온도를 TE3으로 변경한다.
다음으로, 스텝 207에서 평형온도가 결정된 경우에는 통상의 취반제어 처리스텝인 스텝 208로 가고, 평형
온도가 결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209로 간다.
스텝 209는 온도센서(107)의 측정온도가 14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으로, 140℃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207로 되돌아가고 140℃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210으로 가서 미평형에러가 된다. 보통
140℃까지는 평형온도가 결정되지만, 질냄비등의 열전도율이 낮은 냄비를 사용할 때와 같이 평형상태가
140℃ 이상의 온도에서 발생하거나 평형상태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스텝 209에서 미평형에러의 기준으로서 약 140℃가 이용된 이유를 설명한다. 보통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냄비의 경우에도 냄비두께가 두껍다면 약 130℃ 부근에서 온도평형상태가 보여지고, 이 경우와 질냄비등
열전도율이 낮은 냄비가 사용된 경우를 구별하여 냄비두께가 두꺼운 금속냄비의 경우 미평형에러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20에서는, 140℃까지 온도평형상태가 있는 경우와 온도평형상태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알루
미늄, 법랑 등의 냄비와 같이 온도평형상태가 H1 시점에서 결정되면 되지만, 예를 들어 질냄비등과 같은
열전도율이 낮은 냄비와 같이, 보통 냄비라면 온도평형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140℃(측정온도)가 되어도
온도평형상태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140℃(H2) 시점에서 소화한다. 소화는 도 18에 나타낸 제어부(143)
에서의 제어신호를 받은 안전밸브(133a)가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가 됨으로써 실행된다. 이와 같이 제어
부(143)에 의해서 미평형제어로서 가열을 정지하는 에러제어가 실행된다. 그리고, 제어부(143)가 에러제
어를 실행할 경우 제어부(143)에서의 신호를 받은 통지부(171)는 에러제어를 실행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
지한다. 통지는 램프로 표시하거나 버저가 울림으로써 실행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취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을 알 수 있고, 예를 들어 재점화한 후 사용자가 수동으로 화력조절을 하는 등 취사완료하기 위한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기름요리인데 잘못하여 취반키(117)를 조작한 경우에도, 온도평형상태가 검출되지 않고 140℃의 시
점에서 소화하며 버저에 의해서 통지된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튀김키(115)를 다시 조작함
으로써 올바른 조리모드로 절환하여 조리를 계속할 수 있다
또, 도 20의 H3은 만약 질냄비가 사용되어 140℃를 넘어도 소화되지 않고 계속 가열될 경우의 평형상태
결정시점을 나타낸 것이다. 또, 미평형제어로서의 에러제어에서는 안전밸브(133a)를 폐쇄함으로써 완전
히 소화하였지만, 이외에 140℃ 시점에서 우선 전자밸브(135)를 폐쇄하고 화력을 약화(350㎉)로 하여 도
시생략한 타이머에 의한 소정시간 경과후 안전밸브(133a)를 폐쇄함으로써 소화시켜도 된다. 이것은 알루
미늄냄비등의 금속냄비를 사용한 경우에 비교하여 맛은 떨어질지도 모르겠지만, 140℃에서 약화로 절환하
는 단계에 있어서 거의 취사완료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약화로 절환한 후 소정시간 동안의 α화시
간을 얻음으로써 다소라도 맛있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열전도율이 낮은 질냄비등의 경우 취반을 계속시키는 미평형제어로서,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7-5
1019980052548
어부(143)에 타이머(151)를 구비시키고, 제어부(143)가 도 34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따른 미평형제어를 하
여 취반을 계속함으로써 약 140℃까지 온도평형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취사완료할 수 있음과 아
울러 맛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텝 209에서 스텝 210a로 감으로써 취반을 계속시키는 미평형제어가 개시된다.
스텝 210a에서는 140℃까지 평형온도가 검지되지 않고 온도평형상태가 되지 않음으로 화력이 강화(약
1300㎉)에서 약화(약 350㎉)로 절환되며, 이 절환은 제어부(143)가 전자밸브를 폐쇄함으로써 실행된다.
스텝 210a에서 약화로의 절환을 140℃에서 실행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질냄비등과 냄비두께가 두꺼
운 금속냄비를 구별함과 아울러 질냄비등의 냄비안에 충분한 수분을 남겨둔 상태에서 쌀의 흡수·비등공
정을 개시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43)가 전자밸브(135)를 폐쇄함으로써 화력은 약화가 되고, 제어부(143)
가 전자밸브(135)를 개방함으로써 화력은 강화가 되며 이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스텝 2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화에서의 가열이 5분간 계속된다. 이 5분간 약화에서의
가열은, 알루미늄등의 금속냄비가 사용될 경우라면 온도평형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할 쌀의 흡수·비등공정
을, 질냄비등이 사용될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때문이다. 스텝 210c에서는 화력이 강화로
되돌려지고, 스텝 210d에 나타난 바와 같이 155℃를 넘을 때까지는 강화에서 취사공정이 이루어진다.
155℃를 넘을 경우에는 다시 화력을 약화로 절환하여 뜸들임공정이 이루어진다.
스텝 210f에서는 온도가 160℃이상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이와 같은 판별이 필요한 이유는, 스텝 210e
에서 뜸들임공정을 행하는 화력이 약화로 절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후술하는 7분 동안에 수분이 증발되고
온도가 상승하여 과도의 눌어붙음이 생기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온도가 160℃이상 상승할 경우는 스텝 210g에서 화력을 강화로 절환하고, 스텝 210h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초간 강화에서 취사한 후 소화하여 취반을 완료한다.
한편, 스텝 210f에서 온도가 160℃이상이 되지 않을 경우는 스텝 210i로 가서 루프처리가 이루어지며,
160℃이상이 되지 않은 채 7분간 경과하면 스텝 210j에서 화력을 강화로 절환하며, 스텝 210k에 나타낸
바와 같이 60초간 강화에서 취사한 후 소화하여 취반을 완료한다.
또한, 스텝 210h 처리에서 강화 시간을 20초로 하는 것은, 160℃에 도달하면 수분이 증발할 것이므로 스
텝 210k의 강화시간인 60초보다도 짧은 시간으로 해서 눌어붙음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35에는, 도 34의 처리에 대응하는 그래프가 나타나 있다. H2a는 스텝 210a의 화력이 약화로 절환된
시점이고, H2b는 스텝 210c의 화력이 강화로 절환된 시점이며, H2c는 스텝 210e의 화력이 약화로 절환된
시점이다. H2d는 스텝 210f에서 스텝 210g로 간 경우 화력이 약화로 절환된 시점이고, H2e는 스텝 210g
에서 스텝 210h로 간 경우 취반완료된 시점이다. H2f는 스텝 210f에서 스텝 210i, 210j로 간 경우 화력
이 강화로 절환된 시점이고, H2g는 스텝 210j에서 스텝 210k로 간 경우 취반완료된 시점이다.
또한, 후술하는 경우와 같이 취반완료시 버저등의 통지부(171)에 의한 통지가 이루어진다.
통지부(171)는 점등의 방법 및 버저음을 다르게 함으로써 통지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에러제
어에 대응하는 통지부를 설치해도 되고, 램프 또는 버저만, 또는 램프와 버저를 조합하여 통지해도 무방
하다. 또한, 램프의 표시방법이나 버저의 울림방법 등에 관해서도 임의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208에서는, 표준취반의 경우 냄비종류 판별데이터 △t2의 측정과 기억처리가 실행되고, 빠
른취반의 경우 화력 및 취사량 판별데이터 △t2의 측정과 기억처리가 실행된다. △t2는 평형온도가 검출
되고나서 평형온도 6℃까지의 경과시간으로, 냄비의 온도평형상태로 간주할 수 있는 기간이다. 표준취반
의 경우에는 도 6의 온도평형상태 결정부(153)에서의 평형온도 검출신호를 판별부(149)가 받음으로써 타
이머(151)를 작동시키고, 온도센서(107)가 평형온도 6℃를 측정한 경우 타이머(151)의 계측시간을 인식하
여 메모리(155)에 기억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빠른취반의 경우에는 도 6의 판별부(149)가 같은 동작을 함
으로써 실행된다.
다음으로, 스텝 211에서 취반모드의 선택이 절환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반대로, 취반제어가 스타트하고
나서 스텝 208이 종료될 때까지는 취반키(117)를 누를 때마다 빠른취반에서 표준취반으로 또는 표준취반
에서 빠른취반으로의 모드선택의 절환이 가능하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모드 절환부(167)
는 스텝 211까지는 취반키(117)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모드를 절환하지만, 스텝 208의 처리를 실행하여 온
도평형상태 결정부(153)가 평형상태의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선택모드 절환부(167)로 출력함으로써, 선
택모드 절환부(167)는 스텝 211 이후 취반키(117)가 조작되더라도 모드를 절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스텝 211 이후의 제어가 표준취반모드와 빠른취반모드에 따라서 다르고, 다른 제어처리에서의 모
드의 절환은 오동작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 스텝 211까지 모드의 절
환을 허용하는 것은 최초로 선택한 모드인 채로 항상 취반하지 않고, 가능한 한 모드의 절환을 허용하여
장치의 유연성을 허용함으로써 장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표준버너가 취반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사용할 수 있는 곤로버너의 수가 줄어 다른 조리에 지장이 있을 경우, 사용자는 표준
취반모드에서 빠른취반모드로 절환하여 빨리 취반을 완료시키고 싶어질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 표준취반모드와 빠른취반모드 2종류의 모드선택만을 실행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야채밥의 취반모드등
여러가지 모드를 생각할 수 있고, 그 경우라고 하더라도 공통제어까지는 취반설정모드를 절환할 수 있도
록 하고 다른 제어에서는 모드를 절환할 수 없도록 해도 된다. 또, 모드의 절환은 예를 들어 3종류의 모
드가 있을 경우 모든 공통제어까지에서 절환가능 또는 불가능을 결정할 필요없이, 1개의 모드가 남은 2개
의 모드와의 절환가능 또는 불가능을 결정하고, 그 후 남은 2개의 모드에 관한 절환가능 또는 불가능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2의 스텝 212에서 취반모드의 선택이 표준취반모드인지 또는 빠른취반모드인지를
판정한다. 표준취반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213으로 가고, 빠른취반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219로 간다. 스
37-6
1019980052548
텝 213은 냄비종류판별(1)의 스텝으로, 도 5의 메모리(155)에 기억된 △t1의 값이 75초 이상인지 또는 75
초 미만인지에 따라 가열되고 있는 냄비의 재질을 판별한다. 즉, 판별부(149)는 메모리(155)에 기억된
데이터 △t1의 값에 따라서 법랑,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의 냄비인지, 알루미늄냄
비와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냄비인지를 판단한다. 75초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214로 가서 냄비종
류는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이라고 판별되고, 75초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215로 가서 냄비종류는 열전도율
이 높은 재질이라고 판별된다.
다음으로, 스텝 215에 의해서 냄비종류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216으로 가
서 냄비종류판별이 실행된다. 그 결과, 데이터 △t2가 230초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217로 가서 냄비종류
판별 1은 잘못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데이터 △t2가 230초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218로 가서 냄비종류판
별 1은 정확하다고 판단한다. 즉, 도 5의 판별부(149)가 메모리(155)에 기억된 데이터 △t2에 의거하여
냄비종류를 재판별한다. 이와 같이 냄비종류를 재판별하는 것은 스텝 213에서의 냄비종류판별 1이 반드
시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냄비종류를 재판별함으로써 스텝 213에서의 냄비종류판
별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고, 만약 잘못되었더라도 수정함으로써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텝 217에서 냄비종류판별 1이 잘못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가열되고 있는 냄비는 열전도율이 낮
은 재질이라고 판단되는 스텝 214로 간다.
다음으로, 스텝 214에서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236으로 가서 표준버너(103)
의 화력이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된다. 이 절환은 도 5의 판별부(149)가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전자밸브
(135)에 제어신호를 부여함으로써 전자밸브(135)가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가 됨으로써 실행된다. 전자밸
브(135)가 폐쇄되더라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버너(103)에 접속되어 있는 가스관(129)이 분기되
어 있으므로 가스는 공급되기 때문이다. 스텝 214에서의 화력은 약 350kcal/h이다.
도 21에는 스텝 213에서의 처리에 대응하는 그래프가 그려져 있다. 위쪽에 위치하는 그래프는 스텝 213,
스텝 215, 스텝 216, 스텝 217, 스텝 214, 스텝 236으로 간 경우(열전도율이 낮은 냄비)에 대응하는 그래
프이고, 가운데에 위치하는 그래프는 스텝 213, 스텝 215, 스텝 216, 스텝 218로 간 경우(열전도율이 높
은 냄비)에 대응하는 그래프이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그래프는 스텝 213, 스텝 214, 스텝 236으로 간 경
우(열전도율이 낮은 냄비)에 대응하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H4, H5는 평형온도의 결정시점이고, H6,
H7, H8은 온도평형상태 종료시점이다. 또한, H6 및 H8은 화력이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된 시점이다.
도 12의 스텝 219로 되돌아가서, 스텝 219에서는 표준버너(103)의 화력 및 냄비에서 취반되는 취반량이
판별된다. 이 판별은 도 6의 판별부(149)가 메모리(155)에 기억된 데이터 △t2가 230초 이상인지 또는 미
만인지를 판별함으로써 실행된다. 230초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220으로 가서 화력 및 취반량의 평가값이
작다고 판단하여 스텝 221에서 강화에서 약화로의 절환온도 Tk가 145℃로 설정되고, 약화의 취반시간 tj는
2분으로 설정되고, 순간익힘은 '무'로 설정된다. 230초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222로 가서 화력 및 취반
량의 평가값이 크다고 판단하여 스텝 223에서 강화에서 약화로의 절환온도 Tk가 135℃로 설정되고, 약화의
취반시간 tj는 3분으로 설정되고, 순간익힘은 '무'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스텝 221 또는 스텝 223 이후에는 도 15의 스텝 224에서 온도센서(107)의 측정온도가 절환온도
Tk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Tk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232의 처리로 가고, Tk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225로 가서 표준버너(103)의 화력이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된다. 여기에서의 절환도 전자밸브(135)가 개
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실행된다. 따라서, 화력은 약 350kcal/h이다. 그리고, 스텝 226에
서 약화의 취반시간 tj가 스타트한다.
다음으로, 도 16의 스텝 227이 처리되어 순간익힘 '유'이고, 또한 냄비종류는 열효율이 높은 재질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221 및 스텝 223은 모두 순간익힘 '무'이므로, 스텝 228로 가서 스타트후 MAX시
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MAX시간이라고 하는 것은 도 10의 데이터격납부(169)에 격납된
빠른취반의 취반시간 MAX 데이터인 20분을 말하고, 20분이 경과한 경우에는 도 17의 스텝 231로 가고, 경
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229로 간다. 스텝 229에서는 설정된 tj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
다. 여기에서의 tj는, 스텝 221 또는 스텝 223에서 설정된 2분 또는 3분이다. tj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
에는 스텝 228로 되돌아가고, tj가 종료한 경우에는 스텝 230으로 간다. 또한, tj는 도 10의 데이터격납
부(169)에 격납된 빠른취반의 취반시간 데이터이다. 취반시간 데이터는 스타트되고나서의 시간으로 설정
되어 있지 않고 화력이 절환되고나서 약화의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α화를 위한 시간이다.
스텝 230에서는 스타트후 MIN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MIN시간은 도 10의 데이터격납부(169)에
격납된 빠른취반의 취반시간 MIN 데이터로서 12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MIN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
는 루프처리가 실행되고,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231로 간다.
스텝 228, 스텝 229, 스텝 230의 처리에 의해서, 취반완료는 tj의 종료시점이 MAX시간과 MIN시간과의 사이
라면 tj 종료시가 되고, tj 종료시점이 MAX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MAX시간이 되고, tj가 MIN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MIN시간까지 실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빠른취반의 경우라고 하더라도 MIN시간의
취반이 실행되게 되므로 일정한 맛이 보장된다.
또한, 도 17의 스텝 231은 순간익힘유무의 판단스텝으로, 스텝 221 및 스텝 223 모두 순간익힘 '무'로 되
어 있으므로 취반완료의 최종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22에서는, 스텝 219 이후의 처리에 대응하는 그래프가 그려져 있다. 위쪽에 위치하는 그래프는 스텝
219, 스텝 222, 스텝 223으로 간 경우(화력 및 취반량이 크다)에 대응하는 그래프이고, 아래쪽에 위치하
는 그래프는 스텝 219, 스텝 220, 스텝 221로 간 경우(화력 및 취반량이 작다)에 대응하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H9는 평형온도 결정시점이고, H10, H11은 화력이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된 시점이고, H12 및 H13
은 소화시점이다. H10은 135℃에 대응하고, H11은 145℃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절환온도를 바꾸는 것
은 화력 및 취반량의 평가값에 의해서 눌어붙기 쉬운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 후술하는 표준취반과
37-7
1019980052548
같이 여러가지 판별이 실행되지 않지만, 이것은 빠른취반에 있어서는 맛보다는 시간을 우선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15의 스텝 232로 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232에서는 스타트후 MAX시간이 경과하
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224로 되돌아가서 루프처리된다. 경과한 경
우에는 스텝 233으로 가서 시간을 연장한다. 여기에서 시간을 연장하는 것은, 온도 Tk는 화력을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한 온도로서 이 온도는 수분이 증발하여 취반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온도이므로, 이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MAX시간이 경과했다고 하더라도 시간을 연장하여 취반이 완료될 때까지 취반해야 하
기 때문이다. 단, 스텝 234에서 스타트후 30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30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
는 스텝 224로 되돌아가서 루프처리되지만, 30분이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235로 가서 취반시간에러가 된
다. 스텝 233에서 취반시간이 연장되더라도 스타트후 30분이나 경과하는 것은 어떤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는 도 10의 제어부(143)가 에러제어를 실행하여 안전밸브(133a)를 개방상태
에서 폐쇄상태로 하여 소화시킨다. 그리고, 통지부(171)는 제어부(143)에서 이상신호를 받아 사용자에게
그 이상을 통지한다. 여기에서, 스타트후 30분은 도 10의 데이터격납부(169)에 격납된 취반시간연장 MAX
데이터로, 빠른취반의 경우에는 MAX 데이터가 20분이므로 10분의 시간연장이 허용된다. 상기와 같이, 시
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취반완료시까지 취반시간이 확보되고, 시간연장의 상한을 넘을 경우에는 이상이 통
지되므로 안전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에러제어된 경우 사용자는 에러제어에 따른 대응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 에러제어에 관해서는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밸브(133a)를 폐쇄하는 것 이외에, 우선 전자
밸브(135)를 폐쇄하고 일정시간 경과후 안전밸브(133a)를 폐쇄해도 된다. 또, 통지부(171)에 관해서도
도 18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다.
다음으로, 도 12의 스텝 236에서 도 13의 스텝 237로 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237에서는 화력
을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하고나서 90초가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90초가 경과할 때까지는 루
프처리가 실행되고, 90초가 경과하면 스텝 238로 가서 냄비종류판별 3의 처리가 실행된다. 냄비종류판별
3은 90초가 경과하였을 때, 가열되는 냄비의 온도가 127℃ 이상인가 또는 미만인가에 따라서 실행된다.
즉, 도 5의 판별부(149)가 절환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자밸브(135)에 출력하고나서 90초 경과여부를 타이
머(151)로 판단하여 90초가 경과하였을 때의 온도를 온도센서(107)의 측정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부(149)는 127℃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2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냄비종류판별 1 또는 냄비종류판별 2
가 정확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127℃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2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냄비종류판별 1 또
는 냄비종류판별 2는 잘못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스텝 238까지는 냄비종류는 냄비의 재질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이라고 판별되기 때문에 스텝 239에서는 그대로의 판별이 유지되고, 스텝 241에서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이라고 수정되게 된다.
스텝 241에서 냄비종류판별의 잘못이 발견되면, 스텝 242에서 제어를 처음으로 되돌려야 하므로 화력이
약화에서 강화로 절환된다. 그리고, 스텝 243에서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되는 온도 Tk 는 135℃로
설정되고, 약화의 취반시간 tj는 7분으로 설정되며, 순간익힘은 '무'라고 설정된다. 한편, 스텝 239에서
냄비종류판별이 정확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40으로 가서 약화의 취반시간 tj는 5분으로 설정되고,
순간익힘은 '유'라고 설정된다. 단, 순간익힘시간 tc는 30초이다.
냄비종류판별에 관하여 정리하면, 스텝 213에서 1회째의 판별(냄비종류판별 1)이 실행되고, 스텝 216에서
재판별(냄비종류판별 2)이 실행되고, 이 2개의 판별에 의해서 거의 정확하게 냄비종류가 판별된다. 그
결과, 스텝 236으로의 처리와 후술하는 스텝 244 이후의 처리를 크게 다르게 한다. 단, 스텝 214에서 냄
비종류가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이라고 판단되어 스텝 236의 처리로 갈 경우에는 스텝 238에서 다시 냄비
종류판별 3이 실행된다. 이것은 법랑,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의 경우 취반시
쉽게 눌어붙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냄비종류판별을 수회에 걸쳐서 실행함으로써 냄비종류를 잘못 판
단할 가능성을 가능한 한 줄이고 있다. 그리고, 판단결과에 따라서 취반제어를 변화시킴으로써 눌어붙지
않게 충분히 가열하여 맛있는 밥으로의 취반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냄비종류의 판별을 3회에 걸쳐서 실행하고 있지만 어느 1회만 실행해도 된다. 또는 2종류를 조합
해도 무방하며 이에 관한 것은 임의이다. 또한, 냄비종류판별 데이터 △t1은 일정온도 사이를 상승하는데
걸리는 온도상승시간으로 하고 있지만, 일정시간동안 상승하는 온도에 의해서 냄비의 종류를 판별해도 무
방하다. 즉, 여기서 말하는 냄비종류판별은 시간정보만이 아니라, 시간정보와 온도정보 모두에 의거하는
것이라면 무방하다. 또한, 냄비종류 판별데이터 △t2는 온도평형상태의 계속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래는 같은 평형온도시간을 계측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일정온도로 계속되지 않으므로 검출된 평형온도에서
6℃ 상승할 때까지를 온도평형상태로 간주하고 있고 6℃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텝 238의 냄
비종류판별 3에서는 온도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90초의 시간경과가 전제로 되어 있으므로 온도정보와
시간정보 양자가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냄비종류 판별부(147)에는 메모리(155)가 설치되
어 있고 그 메모리(155)에 데이터 △t1, △t2를 기억시키는 것은, 스텝 211까지는 표준취반 또는 빠른취반
모드로 절환가능하므로 데이터의 측정시기와 판단시기가 달라 △t2는 냄비종류판별에 이용되거나 또는 화
력 및 취반량판별에 이용되거나 하는 양자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모드절환이 가능한 공통제어 종료
시까지는 동일한 경로로 실행된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를 기억하지 않고 냄비종류를 판별하
고, 그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취반제어를 실행할 경우에는 데이터기억이 필요없다.
스텝 243 이후에는 도 15의 스텝 224로 가고, 스텝 240 이후에는 도 15의 스텝 226으로 간다. 이후의 처
리는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표준취반모드의 취반시간 MAX 데이터는 24분 45초
이고, 취반시간 MIN 데이터는 14분 45초이고, 취반시간연장 MAX 데이터는 빠른취반과 같이 30분이다. 그
리고, 스텝 240의 경우 약화 취반시간은 5분이고, 스텝 243의 약화 취반시간은 7분이다.
도 23에는, 도 12의 스텝 236에서 스텝 237로 가는 처리에 대응하는 그래프가 그려져 있다. 위쪽에 위치
하는 그래프는 스텝 236, 스텝 237, 스텝 238, 스텝 239로 간 경우(열전도율이 낮은 냄비)에 대응하는 그
37-8
1019980052548
래프이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그래프는 스텝 236, 스텝 237, 스텝 238, 스텝 241로 간 경우(열전도율이
높은 냄비)에 대응하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H14는 화력이 약화로 절환된 시점이고, H15는 화력이 절환
되고나서 90초 경과한 시점이다. 아래쪽의 그래프는 H15의 시점에서 127℃ 미만의 T1이기 때문에 열전도
율이 높은 냄비로 판단을 바꾸어 강화로 절환된다. 이에 대해서, 위쪽에 그래프는 H15의 시점에서 127℃
이상의 T2이므로 5분동안 약화취반이 실행되고, H17의 시점에서 순간익힘을 위한 강화로 절환되어 30초
경과후 H18의 시점에서 소화된다. 아래쪽의 그래프는 135℃에 도달한 H16의 시점에서 약화로 절환되어 7
분이 경과한 H19의 시점에서 소화된다.
다음으로, 스텝 244에서는 냄비두께의 판별이 실행된다. 냄비두께의 판별은 도 7의 판별부(149)가 온도
평형상태 결정부(153)의 평형온도 결정부(161)에 의해서 결정된 평형온도가 114℃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
지에 따라 실행된다. 114℃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245에서 냄비의 두께가 두껍다고 판단하여 스텝 246
으로 가서 절환온도 Tk는 135℃로 설정되고, 약화 취반시간 tj는 8분으로 설정되며, 순간익힘은 '유'라고
설정된다. 단, 순간익힘시간 tc는 15초이다. 한편, 114℃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255에서 냄비의 두께가
얇다고 판단하여 스텝 256으로 간다.
스텝 256에서는 화력 및 취반량판별 데이터 △t3이 측정된다. 상기 측정은 냄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07)가 120℃에서 130℃까지의 온도상승을 측정하는 동안에 타이머(151)가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실
행된다. 그리고, 측정종료후 스텝 257에서 화력 및 취반량이 판별된다. △t3이 20초 이상인 경우에는 스
텝 258에서 화력 및 취반량의 평가값이 작다고 판단하여 스텝 259로 가서 강화에서 약화로의 절환온도 Tk
는 145℃로 설정되고, 약화 취반시간 tj는 8분으로 설정되며, 순간익힘은 '유'라고 설정된다. 단, 순간익
힘시간 tc는 15초이다. 한편, 스텝 257에서 △t3이 20초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60에서 화력 및
취반량의 평가값이 크다고 판단하여 스텝 261로 가서 강화에서 약화로의 절환온도 Tk는 135℃로 설정되고,
약화 취반시간 tj는 8분으로 설정되며, 순간익힘은 '유'라고 설정된다. 이 경우의 순간익힘시간 tc도 15
초이다.
또한, 화력 및 취반량 판별은 스텝 219에 있어서도 실행되지만 스텝 219는 빠른취반모드이고 스텝 257은
표준취반모드이다. 도 6의 판별부(149)는, 취반키(117)에 의해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화력 및 취반량 판
별에 사용하는 데이터 △t2 또는 △t3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스텝 244에서는 냄비두께가 판별되고 스텝 257에서는 화력 및 취반량이 판별되어, 그 결과에
따라서 약화 취반시간 tj 및 순간익힘시간 tc는 같지만 강화에서 약화로의 절환온도가 135℃ 또는 145℃의
다른 온도로 설정된다. 즉, 냄비두께 판별과 화력 및 취반량 판별은 양자 모두 절환온도의 설정을 위한
것이다.
스텝 246, 스텝 259, 스텝 261 이후에는 모두 스텝 224로 가고, 그 후에는 상기한 처리를 거쳐서 스텝
227까지 간다. 스텝 246, 스텝 259, 스텝 261은 모두 순간익힘 '유'이고, 또한 냄비종류는 열효율이 높
은 재질이라고 판단된 경우이므로 스텝 247로 간다.
스텝 247은 순간익힘유무의 판별스텝으로, 화력이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된 후 MIN값 7℃ 이상의 검지여부
에 따라서 판별한다. 즉, 도 8의 온도저하포인트 검출부(165)가 온도의 MIN값인 온도저하포인트를 검출
하고, 그 MIN값 7℃ 이상을 온도센서(107)가 검지한 경우에는 스텝 249로 가서 판별부(149)가 순간익힘
'무'라고 판별하고, 검지못한 경우에는 스텝 248로 가서 판별부(149)가 순간익힘 '유'라고 판별한다.
또한 MIN값 7℃ 이상의 검지는 이하의 스텝 250에서 스텝 230까지의 스텝에 의해서 약화 취반시간인 tj 종
료시까지이고, 그 시간의 계측은 도 8의 타이머(151)가 하고 있다. 따라서, 순간익힘유무는 화력이 절환
되고나서 약화 취반시간이 종료라고 판단될 때까지 일정시간동안의 온도변화에 의해서 실행되고 있다.
여기에서, 도 8의 온도저하포인트 검출부(165)의 처리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된
후 온도센서(107)의 데이터가 5초마다 샘플링된다. 그리고, 샘플링 데이터가 4개 모이면 DTn-2=Tn-3-Tn-2와
DTn-1=Tn-2-Tn-1과 DTn=Tn-1-Tn의 연산을 실행한다. 단, Tn은 최신의 온도센서(107) 측정온도이고, Tn-1, 2, 3은
Tn의 1, 2, 3회 전의 온도로서 DTn은 5초동안의 온도변화량이다. 또한, MIN값 결정조건인 다음의 조건 3
에서 6을 만족하는 Tn을 Tmin로서 채용한다.
조건 3 0℃≤DTn-2≤ 15℃
조건 4 0℃≤DTn-1≤ 15℃
조건 5 0℃≤DTn≤ 15℃
조건 6 Tn〈 Tmin
계속해서 새로운 데이터가 샘플링됨에 따라서 가장 오래된 데이터는 버리고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MIN값이 도 8의 온도저하포인트 검출부(165)에 의해서 검출됨으로써, 판별부(149)는 Tmin 7℃
를 3회 연속하여 만족하는 온도센서(107)의 측정온도가 측정됨에 따라서 순간익힘 '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간익힘유무를 판별하는 것은 스텝 247까지에서 판단된 냄비종류, 냄비두께, 화력 및
취반량의 판별결과가 반드시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고, 순간익힘을 하지 않음으로써 눌어붙음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5에는 스텝 247에서의 순간익힘유무의 판별결과가 다른 그래프가 그려져 있다. H20, H21은 Tk로서 화
력이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된 시점이고, H22와 H23은 H20과 H21에서 약화 취반시간 tj가 경과한 시점으로
H20에서 H22까지 동안에 MIN값 7℃ 이상이 검지되므로 H22에서는 소화되고, H21에서 H23까지 동안에 MIN
37-9
1019980052548
값 7℃가 검지되지 않으므로 H23에서 순간익힘을 위한 약화에서 강화로의 절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H24는 H23에서 15초 경과한 시점으로 소화가 실행된다.
또한 스텝 246, 스텝 259, 스텝 261에 있어서 스타트후 취반 MAX시간과 MIN시간은 스텝 240 및 스텝 243
의 경우와 같이 각각 24분 45초, 14분 45초이다. 즉, 표준취반모드와 빠른취반모드 처리의 각각에 대해
서 모드공통의 MAX시간과 MIN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단, 취반시간연장 MAX시간은 모든 모드에 있어서 스
타트후 30분이다. 도 10의 데이터격납부(169)는 그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취반시간이 모드마다
설정되어 있고 모드에 따라서 요구되는, 예를 들어 시간, 맛과 같은 모드의 특징을 살린 취반시간의 설정
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취반시간연장의 상한(30분)은 반드시 모든 모드에 있어서 공통의 시간으로 할 필요는 없으므로 모
드마다 최대연장시간을 결정해도 된다. 또 취반 MAX시간, 취반 MIN시간을 스텝 250, 스텝 230, 스텝 228
에서만 판단해야 하는 것이 아니므로 취반제어가 스타트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 상시 판단하도록 해도 된
다. 취반시간의 연장에 대해서도 제어스타트로부터 상시 판단해도 된다.
다음으로, 스텝 247의 결과에서도 순간익힘 '유'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31에서 스텝 252로 가서 순
간익힘시간인 Tc가 스텝 253에서 스타트함으로써 스텝 254에서 순간익힘시간 Tc가 종료할 때까지 루프처리
되고, 취반이 완료된다. 스텝 247에서 순간익힘 '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약화 취반시간 tj가 종료함으
로써 취반이 완료된다.
도 24에는 스텝 244 이후의 처리에 대응하는 그래프가 그려져 있다. 평형온도가 가장 높은 그래프는 스
텝 244, 스텝 245, 스텝 246으로 간 경우(냄비두께가 두껍다)에 대응하는 그래프이고, 평형온도가 가운데
인 그래프는 스텝 244, 스텝 255, 스텝 256, 스텝 257, 스텝 260, 스텝 261로 간 경우(냄비두께가 얇고,
화력 및 취반량이 크다)에 대응하는 그래프이고, 평형온도가 가장 낮은 그래프는 스텝 244, 스텝 255, 스
텝 256, 스텝 257, 스텝 258, 스텝 259로 간 경우(냄비두께가 얇고, 화력 및 취반량이 작다)에 대응하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스텝 244의 냄비두께판별은 평형온도가 114℃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이루어지
지만, T3, T4, T5와 같이 평형상태로 간주되는 온도의 종료시점인 평형온도 6℃가 120℃ 이상인지 아닌지
로 판별해도 된다. 또한 H25, H26, H27은 화력을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한 시점으로 H25 및 H26은 135℃
에 대응하고 H27은 145℃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H28, H30, H32는 각각 H25, H26, H27에서 약화 취반시
간인 8분이 경과하여 순간익힘을 위하여 화력을 약화에서 강화로 절환한 시점이고, H29, H31, H33은 순간
익힘시간 tc(15초)가 경과하여 소화된 시점이다.
또한, 취반완료시 버저등으로 취반완료를 통지할 수 있다.
또, 취반제어를 개시하고나서 취반제어가 완료되는 동안, 온도센서(107)의 측정온도가 180℃ 이상이 되면
어떤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하이컷에러로 하여 에러제어를 실행한다. 이 에러제어는 안전밸브
(133a)가 개방상태에서 폐쇄됨으로써 실행된다.
(변형예 1)
도 26은, 표준취반의 경우에도 평형시간 데이터 △t2를 화력 및 취반량 판별을 위해서 이용한 경우를 나타
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의 표준취반에서는 데이터 △t2는 냄비종류의 판별에만 이용되고 있지만(스텝 216), 도 26에서는 스
텝 3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력 및 취반량의 판별에도 이용된다. 즉, 표준취반 및 빠른취반 모두에 있
어서 데이터 △t2는 화력 및 취반량 판별에 이용된다.
또한, 스텝 303은 도 12의 스텝 222에 대응하고, 도 14의 스텝 246으로 간다. 또, 스텝 304는 스텝 220
에 대응하고, 스텝 244에 대응하는 스텝 305로 간다. 그리고, 스텝 306은 스텝 245에 대응하고 스텝 261
로 간다. 또, 스텝 307은 스텝 255에 대응하고 스텝 259로 간다.
도 2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2를 화력 및 취반량 판별에 이용한 결과, 화력 및 취반량 판별처리와
냄비두께 판별처리가 도 26과 도 14에서는 반대로 처리되고 있다.
또한 도 26의 스텝 307과 스텝 259를 없애고, 스텝 305에서 판별된 온도가 114℃ 미만인 경우 도 14의 스
텝 255, 스텝 256으로 가서 △t2와 △t3에 의해서 화력 및 취반량판별을 2회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화력취반량의 판별이 재실행되므로, 스텝 302의 판별결과가 예를 들어 잘못이더라도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변형예 2)
도 27은 도 16의 일부처리에 대응하는 플로차트로서 스텝 401은 도 16의 스텝 247에 대응하고, 스텝 401
에서 스텝 402와 스텝 403으로 분기되어 있다.
도 16에서는 화력을 강화에서 약화로 절환하고나서 MIN값 7℃ 이상의 검지여부로 순간익힘유무의 판별기
준으로 하고 있지만, 도 27에서는 냄비두께의 판별기준으로 하고 있다. 즉, MIN값 7℃ 이상을 검지한 경
우에는 냄비두께가 얇다고 판단하여 스텝 403으로 가고, 검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냄비두께가 두껍다고 판
단하여 스텝 402로 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냄비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스텝 248로 가서 순간익
힘 '유'라고 판단하고, 냄비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스텝 249로 가서 순간익힘 '무'라고 판단한다.
즉, 변형예 2에서의 처리는 순간익힘유무의 취반제어가 냄비두께의 판별결과에 의해서 결정되고 있다.
즉, 냄비두께 판별결과의 이용형태로서 도 27과 같이 순간익힘유무의 판단에 이용하는 경우와, 또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화에서 약화로의 절환온도 판단에 이용하는 경우 2개의 형태가 있다. 이에 대해
순간익힘유무 판단이 필요한 원인으로서는, 냄비두께와 지금까지의 판별의 잘못, 2개의 원인이 있다.
또한 도 27에 나타낸 처리의 경우에는, 도 8의 순간익힘유무 판별부(163)가 냄비두께판별을 위한 구성으
37-10
1019980052548
로서 도 7의 냄비두께 판별부(159)에 포함된다.
(변형예 3)
도 28은 도 14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냄비두께판별을 냄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의 판별기준으로 하는 플로
차트이고, 스텝 501은 스텝 244에 대응하고, 스텝 502는 스텝 245에 대응하고, 스텝 503은 스텝 255에 대
응하고, 스텝 504는 스텝 259에 대응하고, 스텝 505는 스텝 261에 대응하고 있다.
냄비두께 판별결과를 순간익힘유무 판별에 이용할 경우에는 스텝 502 또는 스텝 503과 같은 결과가 얻어
지므로, 스텝 246에서는 순간익힘이 '유'가 되고, 스텝 504 및 스텝 505에서는 순간익힘이 '무'가 된다.
또한, 도 26의 스텝 305를 냄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 판별로서 하면 스텝 259의 설정을 순간익힘 '무'라고
해도 된다. 또, 도 28의 스텝 501을 순간익힘유무의 판별로 하면 도 7의 냄비두께 판별부(159)가 순간익
힘유무 판별의 구성이 되므로 도 8의 순간익힘유무 판별부(163)에 포함된다. 또한 냄비두께의 판별, 순
간익힘유무의 판별은 각각에 대해서 단독으로 판별해도 되고, 냄비두께 판별끼리를 조합하거나 순간익힘
유무 판별끼리를 조합하여 판별해도 된다.
(변형예 4)
도 29는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 1 플로차
트이고, 도 30은 제 2 플로차트이고, 도 31은 제 3 플로차트이다.
도 29의 스텝 601, 602, 603은 각각 도 11의 스텝 201, 202, 203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604는 도 11의 스텝 204에 대응하지만 데이터 △t1은 기억되지 않는다. 이것은, 도 29에서 도 31에
나타낸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표준취반모드에서의 처리로서 △t1의 데이터에 의해서만 냄비종류의 판별이
실행되므로, 바로 스텝 605에서 냄비종류의 판별이 실행되기 때문이다. 스텝 605는 도 12의 스텝 213에
대응하고, 이 장치의 냄비종류 판별부는 도 5의 냄비종류 판별부(147)에서 온도평형상태 결정부(153)와
판별부(149)의 메모리(155)가 제외된 것이다.
스텝 608은 도 12의 스텝 214에 대응하고, 스텝 609는 도 13의 스텝 240에 대응하고, 스텝 610은 도 11의
스텝 205에서 스텝 207을 거쳐서 평형온도 6℃가 측정될 때까지의 처리에 대응하고 있다. 스텝 611은 도
12의 스텝 236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스텝 609의 약화 취반시간 tj는 6분 30초로 되어 있다. 이것은,
도 13의 스텝 237의 처리가 없으므로 그만큼 스텝 240보다 1분 30초 길게 취반시간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
이다.
스텝 606은 도 12의 스텝 215에 대응하고, 스텝 607은 새로운 처리이다. 스텝 607은 화력판별데이터 △t4
를 측정하는 처리로서, △t4는 온도센서(107)가 75℃를 측정하고나서 85℃를 측정할 때까지 타이머(151)가
계측한 온도상승시간이다. 그리고, 도 30의 스텝 612에서 화력판별이 이루어진다. 데이터 △t4가 40초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615로 가서 화력이 작다고 판단되므로, 스텝 616에서 강화에서 약화로의 절환온도
Tk는 155℃로 설정되고 취반시간 tj는 8분으로 설정된다. 한편, 데이터 △t4가 40초 미만인 경우에는 스
텝 613으로 가서 화력이 크다고 판단되므로, 스텝 614에서 강화에서 약화로의 절환온도 Tk는 145℃로 설정
되고, 취반시간 tj는 10분으로 설정된다. 또한, 화력을 판별하기 위한 화력판별부의 구성으로서는 도 6의
화력 및 취반량 판별부(157)와는 달리 온도센서(107)와 메모리(155)가 제거된 판별부(149)와 타이머(15
1)로 충분하다. 그런데, 화력의 판별만으로 화력의 절환온도 Tk와 취반시간 tj를 결정하므로 취반량이 고
려되지 않아 상기한 제어플로와 비교하여 제어오차가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되지만, 예를 들어 취반량이 1
홉 내지 3홉 정도인 경우에는 화력판별만으로도 충분하다.
다음으로, 스텝 617에서는 냄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 판별데이터 △t5 이후의 측정이 실행된다. 데이터 △
t5는, 온도센서(107)가 130℃를 측정하고나서 140℃를 측정할 때까지 타이머(151)가 계측한 온도상승시간
이다. 그리고, 스텝 618에서 냄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가 판별되어 △t5가 10초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620
으로 가서 냄비두께는 두껍고 순간익힘은 '유'라고 설정된다. 단, 순간익힘시간 tc는 15초이다. 한편,
△t5가 10초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619로 가서 냄비두께는 얇고 순간익힘은 '무'라고 설정된다.
또한, 스텝 618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냄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 판별부(173)를 도 32에 나타내었고, 냄
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 판별부(173)는 온도센서(107)와 타이머(151)와 판별부(149)를 포함하고 있다. 냄
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 판별부(173)와 도 7의 냄비두께 판별부(159)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듯이 구성이
다르다. 즉, 냄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 판별부(173)가 냄비의 온도평형상태 이후 130℃에서 140℃까지 상
승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기초로 냄비두께를 판별하는 것에 대해서, 도 7의 냄비두께판별부(159)는 온도
평형상태의 기준이 되는 평형온도에 의거하여 판별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단, 도 7의 냄비두께 판별부
(159)에 냄비두께겸 순간익힘유무 판별부(173)를 포함시켜 그것에 대응하는 제어를 실행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31의 스텝 621, 스텝 622, 스텝 623, 스텝 624, 스텝 625, 스텝 626, 스텝 627은 각각 도 15
의 스텝 224, 스텝 225, 스텝 226, 도 16의 스텝 247, 스텝 248, 스텝 249, 스텝 251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스텝 622 약화의 화력은 약 350kcal/h가 아니라 약 300kcal/h이다. 이것은, 스텝
611의 약화에 대해서도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로서 점화조작버튼(119a, 119b, 119c) 및
화력조절레버(121a, 121b, 121c)에 의한 푸시식 테이블곤로를 나타내었지만 회전식 테이블곤로라도 무방
하다.
또한, 취반기능을 구비한 가스곤로는 테이블곤로에 한정되지 않고 드롭인 곤로라도 무방하며 기타 어떤
곤로라도 무방하다.
또한, 곤로의 구멍수가 2개로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라도 무방하다. 단, 구멍수가 줄어들 경우에는
37-11
1019980052548
동시에 다른 조리를 할 경우를 위해서 빠른취반모드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냄비종류판별, 화력 및 취반량판별, 냄비두께판별, 순간익힘유무 판별, 설정모드절환의 제어, 모드
마다의 취반시간, 평형온도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의 처리 등의 각각에 대해서 발명이 성립하고 각각 독립
하여 잡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냄비종류판별에서 설명한 내용중 다른 화력 및 취반량판별 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적
용해도 된다. 시간정보와 온도정보의 설명이 그 일례이다.
또한 온도정보, 시간정보 등은 설정조건에 의해서 변경되는 것으로 한정되어진 것은 아니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은, 소정온도 범위까지 온도평형상태가 검출되지 않고 쌀의 흡수가 충분하지 않은 채 취
반을 완료시킨 것을 이상으로 통지하고, 식사시 밥이 지어지지 않는 사용자의 예측할 수 없는 사태를 방
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질그릇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냄비를 사용할 경우, 소정온도 범위까지 온도평형
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더라도 가열을 정지시키지 않고 화력을 작게 하여 취반을 계속해서 취반완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질그릇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냄비를 사용할 경우, 쌀의 흡수가 이루어져야 할
온도평형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더라도 화력을 작게 하여 확실하게 쌀의 흡수가 이루어지게 하고, 그
이후에 화력을 크게 하여 취반완료함으로써 온도평형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와 같이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사용중인 냄비를 가열함으로써 취반할 수 있는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냄비의 온도평형상태를 검출하는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이 온도평형상태를 소정온도 범위까지 검출하지 못할 경우에는 미평형제어로
서 가열을 정지하는 에러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에러제어를 실행함에 따라서 이상을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
청구항 2
사용중인 냄비를 가열함으로써 취반할 수 있는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냄비의 온도평형상태를 검출하는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이 온도평형상태를 소정온도 범위까지 검출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소정온
도에 있어서 그 화력에서 작은 화력으로 절환하여 취반을 계속시키는 미평형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
청구항 3
사용중인 냄비를 가열함으로써 취반할 수 있는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냄비의 온도평형상태를 검출하는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온도평형상태 검출수단이 온도평형상태를 소정온도 범위까지 검출하지 못할 경우에는 미평형제어로
서 상기 소정온도에 있어서 그 화력에서 작은 화력으로 절환하여 흡수·비등공정의 제어를 실행하고, 그
이후에 화력을 크게 하여 취반완료공정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능
을 구비한 곤로.
도면
37-12
1019980052548
도면1
도면2
도면3
37-13
1019980052548
도면4
37-14
1019980052548
도면5
도면6
37-15
1019980052548
도면7
도면8
도면9
37-16
1019980052548
도면10
37-17
1019980052548
도면11
37-18
1019980052548
도면12
37-19
1019980052548
도면13
37-20
1019980052548
도면14
37-21
1019980052548
도면15
37-22
1019980052548
도면16
37-23
1019980052548
도면17
도면18
37-24
1019980052548
도면19
도면20
37-25
1019980052548
도면21
도면22
37-26
1019980052548
도면23
도면24
37-27
1019980052548
도면25
37-28
1019980052548
도면26
37-29
1019980052548
도면27
37-30
1019980052548
도면28
37-31
1019980052548
도면29
37-32
1019980052548
도면30
37-33
1019980052548
도면31
37-34
1019980052548
도면32
도면33
37-35
1019980052548
도면34
37-36
1019980052548
도면35
37-37
1019980052548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Cooking stove having rice boiling function)
2018. 5. 3.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