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01월07일
(11) 등록번호 10-1348556
(24) 등록일자 2013년12월30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1R 12/77 (2011.01) H01R 24/00 (2011.01)
(21) 출원번호 10-2011-0015970
(22) 출원일자 2011년02월23일
심사청구일자 2011년11월30일
(65) 공개번호 10-2011-0098643
(43) 공개일자 2011년09월01일
(30) 우선권주장
JP-P-2010-041726 2010년02월26일 일본(JP)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80109616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일본 도쿄도 시나가와꾸 오사끼 5쵸메 5방 23고
(72) 발명자
와다 슌타로
일본 도쿄도 시나가와쿠 오사키 5쵸메 5방 23고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나이
(74) 대리인
특허법인코리아나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노용완
(54) 발명의 명칭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57) 요 약
(과제 )
회로 기판에 대한 단자의 땜납 접속시, 단자에 있어서의 땜납 위크를 방지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
하는 것을 과제를 한다.
(해결 수단)
단자 (10 ; 20) 의 판면에서 유지되는 유지홈 (41 ; 42) 이 형성된 하우징 (40) 과, 단자의 피압부 (14 ; 24)
에 힘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 (63 ; 64) 가 형성되어 있고 평형 도체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단자에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 (60) 를 갖고, 단자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
아암부 (11 ; 12) 와 하아암부 (12 ; 22) 가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 (13 ; 23) 에 의해 연결되고, 상아암부가 연
결부보다 평형 도체의 전부에 피압부 (14 ; 24) 를 그리고 후부에 압압부 (15 ; 25) 를 갖고 있고, 유지홈 (41 ;
42) 은 단자의 연결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의 부분이 타부보다 홈 폭이 넓은 폭광부 (41A ; 42A) 를
형성하고, 폭광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다.
대 표 도 - 도4
등록특허 10-1348556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삽입된 평형 도체를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금속판의 평
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고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 평형 도체를
누르는 압압 (押壓) 부, 그 압압부를 압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힘을 수용하는 피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면에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와, 삽입된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을 수용하는 수입 (受入) 공간이 형
성되고 상기 접촉부가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단자를 그 단자의 판면에서 유지하는 유지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단자의 피압부에 힘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어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갖고, 상기 단자
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하는 상아암부와 하아암부가 그들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
에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아암부가 연결부보다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 앞쪽의 전부에 피압부를
그리고 후부에 압압부를 갖고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유지홈은 적어도 단자의 연결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의 부분이 타부보다 홈 폭이 넓은 폭광부를 형성하고,
그 폭광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고,
인접하는 단자에 대한 폭광부끼리는, 적어도 일부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0001]
배 경 기 술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배열되는 단자 수가 많기 때문에, 극소 피치로 배열될 것이 요구되고, 따라[0002]
서, 단자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지고, 그 판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극소
피치의 배열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로는,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상[0003]
기 서술한 바와 같은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진 단자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2 종이 이용되고 있으
며, 서로 판면이 평행이 되도록 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유지하는 하
우징의 제 1 단자 유지 오목부와 제 2 단자 유지 오목부는, 각각의 단자 유지벽에서 제 1 단자 그리고 제 2 단
자의 판면과 접면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에서는, 상기 단자 유지벽에는, 부분적으로 단자의 판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폭광부 또는 노치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폭광부 또는 노치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
서 보았을 때의 제 1 단자 그리고 제 2 단자에 대한 위치 관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도
면에서 알 수 있는 한, 제 1 단자에 대한 위치와 제 2 단자에 대한 위치는 동일하다.
이와 같은 폭광부 또는 노치부에서, 상기 단자 유지벽과 단자의 판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부분을 형성함으[0004]
로써, 땜납시에 플럭스가 단자의 판면을 따라 상승해도, 상기 폭광부 또는 노치부에서의 간극으로, 플럭스의 그
이상의 상승을 저지하고, 단자의 상부에 형성된 접촉부 (컨택트) 까지 상기 플럭스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10-1348556
- 2 -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87398호 [0005]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지만, 플럭스 상[0006]
승 방지를 위해 간극을 형성하는 폭광부 또는 노치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
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를 극소 피치로 배열하고자 하면, 인접하는 단자 사이의 단자 유지벽의 두께가 상
기 간극만큼 얇아져 유지 강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유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간극만큼 벽두께
를 크게 해야 하므로, 그것으로는 극소 피치 배열은 실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하우징에 의한 단자 유지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플럭스 상승 방지를 위[0007]
한 간극을 형성해도, 단자를 극소 피치 배열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삽입된 평형 도체를 회로 기판과 전기[0008]
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고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
부,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 평형 도체를 누르는 압압 (押壓) 부, 그 압압부를 압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힘을 수용하는 피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면에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와, 삽입된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을 수용하는 수입 (受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가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단자를
그 단자의 판면에서 유지하는 유지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단자의 피압부에 힘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가 형
성되어 있어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누르는 닫힘 위치 사
이를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갖고, 상기 단자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상아
암부와 하아암부가 그들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아암부가 연결부보다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 앞쪽의 전부에 피압부를 그리고 후부에 압압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유지홈은 적어도 단자의 연결부의 일부를 포함하는[0009]
범위의 부분이 타부보다 홈 폭이 넓은 폭광부를 형성하고, 그 폭광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적어
도 일부가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자를 유지하는 유지홈에 각 단자에 대해 폭광부를 형성하고 그 폭광부[0010]
에서의 간극에 의해 플럭스 상승을 방지함에 있어서, 폭광부는 연결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땜납이 실시되
는 접속부를 갖는 하아암부로부터 접촉부를 갖는 상아암부에 대한 플럭스 상승의 유일한 상승 경로가 될 수 있
는 연결부에서 유효하게 플럭스 상승이 방지된다. 게다가, 인접 단자 끼리에서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
을 때, 폭광부끼리가 어긋나 있으므로, 그 폭광부에서 간극을 형성하면서도, 상기 어긋남에 의해 폭광부가 형성
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 단자 유지를 위한 벽면을 확보할 수 있어, 유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유지홈끼
리간의 벽두께를 얇게 하여, 단자의 극소 피치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자에 대한 폭광부끼리는, 적어도 일부가 전후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게 할 수[0011]
도 있고, 혹은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적어도 단자의 연결부의 제 1 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폭광부를 형성함으로써 간극을[0012]
형성하고, 인접하는 단자에 대한 폭광부끼리를,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게 위치
하도록 했으므로, 단자의 양면 측에 간극을 형성하면서도,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의 양면에 접면하여
유지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경우는 없어져, 플럭스 상승 방지를 연결부에서 유효하게 저지함과 함께,
단자 유지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단자의 극소 피치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등록특허 10-1348556
- 3 -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실시형태로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와 이것에 삽입되는 평형 도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0013]
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에 대해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서 평형 도체가 삽입 전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2 종의 단자 중 1 종의 단자의 위치에서, (B) 는 타종의 단자의 위치에서, 그리고 (C)
는 로크 금구의 위치에서 단면한 도면이다.
도 3 은 도 2(C) 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에 대한 단자 그리고 로크 금구의 연결부의 위치에서의 좌단부 근방의 횡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예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연결부의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예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연결부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캠부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도 2(A), (B) 의 캠부 에 대한 도면, (B) 는 변형예로서의
캠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8 은 도 2 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서, 평형 도체의 삽입 후를 나타낸다.
도 9 는 도 2 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평형 도체의 삽입 후에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를 나타낸다.

도 10 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커넥터의 일부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커넥터의 종단면로서, (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로크 금구의 위치, (B) 는 (A) 의 위치보
다 약간 커넥터 측단으로 어긋난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도 12 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로크 금구 위치에서의 단면도로서, (A) 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 (B)
는 닫힘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0014]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이하, 「커넥터」) 의 전체 그리고 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평[0015]
형 도체의 전단부의 접속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평형 도체 (F) 는, 그 선단부 하면에서 피복이 제거되어 있어 도체부 (도시 생략) 가 드러나 있고, 상면에서는[0016]
그 도체부보다 더욱 전방으로 커넥터 (1) 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시트 형상의 보강재 (F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보강재 (F1) 는, 도체부보다 전방에 있어서의 좌우의 측부 가장자리에 노치 형상의 피걸림부 (F2) 가 형성
되어 있다.
커넥터 (1) 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단자 (10 ; 20), 로크 금구 (30), 이들을 유지하는 하우징 (40), 그리고[0017]
하우징 (40)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되어 있는 가동 부재 (60) 를 갖고 있다.
단자 (10 ; 20) 와 로크 금구 (30) 는 모두,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다. 단자는 2 종의 단[0018]
자 (10 ; 20) 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이 단자 (10 ; 20) 의 판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되
어 있고, 동 방향에서 양단에 위치하는 단자 (10 ; 20) 에 인접하여 로크 금구 (30) 가 형성되어 있다.
2 종의 단자 (10 ; 20) 는, 각각의 단자 (10 ; 20) 에서의 단면도인 도 2(A), (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0019]
모두 횡 H 형을 이루고, 각각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아암부 (11 ; 21), 하아암부 (12 ; 22) 그리고 양 아암
부를 그들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하는 연결부 (13 ; 23) 를 갖고 있다. 상아암부 (11 ; 21) 는, 평형
도체 (F) 의 삽입 방향 앞쪽인 전부에, 후술하는 가동 부재의 캠부에의해 눌려지는 피압부 (14 ; 24), 후부에
평형 도체를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압압부 (15 ; 25) 가 형성되어 있다. 하아암부 (12 ; 22) 의 전부에는,
상기 캠부를 위한 지지부 (16 ; 26) 그리고 후부에는 평형 도체의 도체부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17 ; 27)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아암부 (12 ; 22) 에는, 회로 기판과의 땜납 접속을 위한 접속부 (18 ; 28) 가 형
성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348556
- 4 -
이상은, 2 종의 단자 (10 ; 20) 에 대한 공통점을 서술했지만, 다음으로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0020]
단자 (10) 의 상아암부 (11) 는, 도 2(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피압부[0021]
(14) 가 오목부를 이루고 있고, 또, 연결부 (13) 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후단에 돌기 형상의 압압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단자 (20) 의 상아암부 (21) 는, 도 2(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피압부 (24) 는 직상 (直狀) 가장자리에서 형성되고, 또, 연결부 (23)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단자 (10) 의 경우보다 짧고, 그 후단에 돌기 형상의 압압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10) 의 하아암부 (12) 는, 도 2(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 (13)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하[0022]
우징 (40) 밖으로 연장된 부분에 접속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18) 는 하방으로 오목 만곡된 홈
형상의 고정부 (18A) 도 갖고 있다. 연결부 (13) 와 접속부 (18) 사이의 부분에는 상측 가장자리가 오목 형
상을 이루고 캠부를 수용하는 지지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단자 (20) 의 하아암부 (22) 는,
도 2(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 (23)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상측 가장자리 직상 가장자
리를 이루고 지지부 (26) 가 형성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하우징 (40) 밖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자
(10) 의 접속부 (18) 와 대략 전후 대칭형의 접속부 (28) 그리고 고정부 (28A) 를 갖고 있다. 이 단자 (20)
의 하아암부 (22) 는, 전후 방향에서, 연결부 (23) 와 접속부 (28) 의 중간부에서 상아암부 (21) 의 압압부
(25) 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 형상의 접촉부 (27)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2 종의 단자 (10 ; 20) 는,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10) 이 전방으로부터 그리[0023]
고 단자 (20) 가 후방으로부터 하우징 (40) 에 장착되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로크 금구 (30) 는, 도 2(C) 그리고 도 3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20) 와 유사한 횡 H 형을 이루고 있[0024]
고, 단자 (20) 와 동일하게 상아암부 (31) 와 하아암부 (32) 를 갖고, 양자는 그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부
(33)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로크 금구 (30) 는, 전부에 있어서는, 상아암부 (31) 도 하아암부 (32)
도, 상기 단자 (20) 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고, 상아암부 (31) 의 전부에는 직상 가장자리에서 피압부 (34)
가, 그리고 하아암부 (32) 의 전부에는 대략 직상 가장자리의 지지부 (36)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로크 금구
(30) 의 후부는, 상기 단자 (20) 와 형태를 상이하게 하고 있는 점이 있다. 상아암부 (31) 의 후부는, 길이
로서는 단자 (20) 보다 길고, 단자 (10) 와 거의 동일한 위치이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 (31A) 을 형성
하고 있다. 그리고, 그 후단에는 하방을 향하는 비교적 큰 돌기 형상의 로크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 아암 (31A) 은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그 로크 아암 (31A) 은, 상기 피
압부 (34) 가 후술하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캠부에 의해 눌려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변위되었을
때에, 지레의 원리에 의해 연결부 (33) 를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변위되고, 그 결과, 대략 수평 위치에 오게
된다. 이 경우, 로크 아암 (31A) 은 완전한 수평 위치가 아니어도, 다소의 기울기가 남아 있어도, 실질적으
로 수평 상태라고 할 수 있는 자세가 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경
사를 갖고 있는 로크 아암이,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그 경사각을 줄여 수평 위치에 가까워 지도
록 되어는 있지만 약간의 기울기가 남아 있거나, 혹은 수평 위치를 넘어 반대측으로 약간의 기울기를 발생시키
고 있는 것으로 해도, 그 경사가 작은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로크 아암
(31A) 의 후단에 형성된 돌기 형상의 로크부 (35) 는, 전부 가장자리 (35A) 가 거의 수직 자장자리를 이루고,
후부 가장자리 (35B) 가 하방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 로크부 (35) 는, 상아암부 (31) 가 피압
부 (34) 에서 캠부로부터의 힘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평형 도체 (F) 가 삽입되었을 때, 그 평형 도체 (F) 의
전단 가장자리와 간섭하는 높이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 있다. 또, 상기 하아암부 (32) 의 후단에는, 단자
(20) 의 접속부 (28) 와 동일한 형태의 고정 다리 (38) 가 형성되고, 거기에는, 홈 형상의 고정부 (38A) 가 형
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를 유지하는 하우징 (40) 은,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0025]
있고,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적 평탄한 대략 직육면체 외형을 이루고 있고, 도 2 와 같이, 전후
로 (도면에서 우측 방향 그리고 좌측 방향) 관통하여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를 각각 유지하는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고 로크 금구 유지홈 (43)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
고 로크 금구 유지홈 (43) 은, 판 형상의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를 이들의 판면과 약간의 간극
을 유지하면서 대면하여 유지하도록, 도 2 에서 지면 (紙面) 에 직각 방향으로 그 판두께에 상당하는 홈 폭의
슬릿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고 로크 금구 유지홈 (43) 에 대해,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는, 그들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 (19 ; 29) 그리고 돌기 (39) 에 의
해, 홈 바닥에 걸려 상하 가장자리에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 이들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고 로크
등록특허 10-1348556
- 5 -
금구 유지홈 (43) 은, 하우징 (40) 의 전부에서 상방을 향하여 크게 노치된 전부 공간 (44) 에 연통되어 있고,
또한 전후 방향에서 중간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평형 도체 (F) 를 위한 수입 공간으로서의 삽입홈
(45)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이 삽입홈 (45) 의 형성에 의해, 하우징 (40) 은 그 상하 위치에 상벽 (46)
그리고 하벽 (47) 을 갖게 되고, 그 상벽 (46) 그리고 하벽 (47) 의 면에 단자 유지홈 (41 ; 42) 이 개구홈으
로서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 상벽 (46) 은, 로크 금구 (30) 의 위치에서는, 그 로크 금구 (30) 의 로크
아암 (31A) 이 진입하는 홈부 (48) 가 상하로 관통하여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벽 (47) 은 단자
(10) 에 대해서는, 전단이 대략 테이퍼 형상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어 단자 (10) 의 홈 형상의 고정부 (18A) 가
끼워 장착되는 유지부 (47A) 를 이루고, 단자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동일하게 형
성된, 단자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각각의 고정부 (28A 그리고 38A) 를 위한 유지부 (47A) 를 이루고
있다. 또, 상기 하벽 (47) 에서 상방으로 개구되는 단자 (10) 를 위한 단자 유지홈 (41) 은, 단자 (10) 의
하아암부 (12) 의 후부가 하방으로 휘는 것을 허용하도록, 그 홈 바닥 (41A) 이 후방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홈 깊이를 점차 크게 하고 있다.
하우징 (40) 은, 도 1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의 양단부에서,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0026]
여 양단의 로크 금구 (30) 끼리 사이의 범위에 있어서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49) 가 형
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 (49) 는,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방에서 본 형상이 횡 U 자 형상을 이
루고, 평형 도체 (F) 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폭 방향에서 피걸림부 (F2) 가 존재하는 범위) 를 후방으로부
터 받아들이도록, 삽입홈 (45) 의 폭 방향 양단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장부 (49) 는, 후방에 있어서
의 입구부에 상하에서 테이퍼의 도입면 (49A ; 49B) 을 갖고 있다. 상기 연장부 (49) 에 있어서의 이 삽입
홈 (45) 의 내측면 그리고 상하 내면은, 삽입되는 평형 도체 (F) 를 그 폭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 (50) 를 형성한다. 또, 이 규제부 (50) 중 평형 도체의 삽입시의 재치면과 동일 레벨에 있
는 하내면에는,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 에 걸리는 돌기부로서의 걸림 돌기 (5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 돌기 (51) 는, 도 1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로크 금구 (30) 에 대해
어긋난 위치에 있고, 전후 방향에서는, 도 2(C)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 (30) 의 로크부 (35)
와 거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 돌기 (51) 는 종단면이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고, 전부 가장자
리 (51A) 가 수직면을 그리고 후측 가장자리 (51B) 가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그 걸림 돌기 (51) 의 상면
(51C) 은 평탄면이며,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 2(C)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부 (35) 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옴으로써 로크부 (35) 가 하방으로 변
위되었 때에는, 이 로크부 (35) 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 가동 부재가 열
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2(A), (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 (51) 의 상면은, 단자 (10 ;
20) 의 하아암부 (12 ; 22) 에 형성된 접촉부 (17 ; 27) 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로크부 (35) 와 걸림 돌기 (51) 는, 평형 도체[0027]
의 피걸림부 (F2) 에 대해 상방 그리고 하방으로부터 보완하여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예와 같
이,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걸림 돌기 (51) 의 상면 (51C) 이, 반드시 로크부 (35) 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로크부 (35) 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그럼에도 불
구하고 상기 보완에 의한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걸림 돌기는, 하우징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
더라도,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다른 부재, 예를 들어, 보강 금구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나아가서는,
로크 아암부를 갖는 금구 자체에 로크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는, 기술한 바와 같이, 그들을 위한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고 로크[0028]
금구 유지홈 (43) 의 홈 바닥에 확실하게 유지되고 있고, 홈 내면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판면과의 사이의 간극은, 그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부위에 의해, 대소의 차이가 있고, 즉, 홈 폭에 넓고 좁음이 있다.
연결부 (13 ; 23 그리고 33) 가 위치하는 높이에서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0029]
기 연결부 (13 ; 23 ; 33) 를 포함하는 각각의 영역에서의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고 로크 금구 유지홈
(43) 의 홈 폭은 타 영역에서의 홈 폭보다 커, 폭광부 (41A ; 42A: 43A) 를 형성하고 있다. 그 폭광부 (41A ;
42A ; 43A) 의 영역에서는,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판면과의 사이에, 타 영역보다 넓은 간극
(hl ; h2 ; h3) 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h1 = h2 이다. 단자 배열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된 이들 단자 (10 ; 20) 에 대한 폭광부 (41A ; 42A) 는, 전후 방향 (도 4 에서 상하 방향) 으로 어긋나 위
치하고 있다. 또한, 이 도 4 에서, 이미 서술한 걸림 돌기 (51) 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로크 금구 (30) 보
다 어긋나 위치하고, 그 로크 금구 (30) 에 근접하여 있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도 4 의 예에
등록특허 10-1348556
- 6 -
서는, 단자 (10 ; 20) 의 연결부 (13 ; 23) 가 전후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전후 방향에
서 그 연결부 (13 ; 23) 에 대응하는 영역에 폭광부 (41A ; 42A)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폭광부 (41A ; 42A) 나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위치하게 된다. 이에 대해, 상이한 형태로서 단자 (10 ; 20) 의 연결부 (13 ; 23)
가, 도 5 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을 때에는, 폭광부 (41A ; 42A) 는, 테이퍼부를 거쳐 전후로
어긋나 폭광부 (41A ; 42A) 로 이행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연결부 (13 ; 23) 는, 상아암부 (11
; 21) 와 하아암부 (12 ; 22) 를 연결하는 형태로서 양팔부의 간격에 상당하는 상하 방향에서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연결부 (13 ; 23) 가 전후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어도, 도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폭광부 (41A ; 42A) 를 형성하도록 하여, 큰 간격 (hl, h2) 을 상하로 어긋나게 형성해
도 된다.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에는,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진 가동 부재 (60) 가 자유롭게 회전[0030]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60) 는, 하우징 (40) 의 전부에 형성된 전부 공간 (44)
에 위치하고 있다. 그 가동 부재 (60) 는, 하우징 (40) 의 폭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 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도 2(A) ∼ (C)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립 (垂立) 하는 자세의 열림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넘어
지는 도 9(A) ∼ (C) 의 닫힘 위치까지의 사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60) 는,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상아암부 (11 ; 21 그리고 31) 의 후부에 하방에 대한 변
위를 주는 것으로서, 열림 위치는 이 변위를 발생시키기 전에 하우징 (40) 의 삽입홈 (45) 에 평형 도체 (F) 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그 가동 부재 (60) 의 위치이고, 한편, 닫힘 위치는 변위를 발생시켜 삽입 후의 평형 도체
(F) 를 하방으로 누르는 위치이다.
상기 가동 부재 (60) 는, 열림 위치에서, 도 2(A) ∼ (C) 와 같이 전부 공간 (44)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0031]
조작부 (61) 를 갖고, 그 조작부 (61) 보다 하방의 부위에 전후로 관통하는 슬릿 형상의 홈부 (62)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홈부 (62)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각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
성되어 있고, 그 홈부 (62) 의 홈 폭 (도 2(A) ∼ (C ) 에서 지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에서의 홈 내 폭 치수) 가
대응하는 상기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판두께보다 약간 큰 정도로 되어 있다. 홈부 (62) 의
하부에는,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에 대한 가압부로서 각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에 대응한 캠부 (63 ; 64 ; 65)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캠부 (63 ; 64 ; 65) 는 홈부 (62) 의 대향되는
홈 내면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자 (10) 에 대응하여 형성된 캠부 (63) 는, 도 2(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60) 가 열림 위치[0032]
에 있을 때, 가로 길이를 이루는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단자 (10) 의 하아암부 (12) 의 전부 상측 가
장자리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지지부 (16) 내에 있고, 상아암부 (11) 의 피압부 (14) 에 대해서는 간격을 갖
고 있어 비접촉 상태에 있다. 도 2(A) 에 있어서의 이 캠부 (63) 의 가로 길이는, 동 도면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부 (16) 와 피압부 (14) 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왔
을 때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캠부 (63) 는 세로로 긴 자세를 취하고, 상기피압부 (14) 를 상방으로 눌
러 탄성 변위시킨다.
단자 (20) 에 대응하여 형성된 캠부 (64) 는, 도 2(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60) 가 열림 위치[0033]
에 있을 때에, 상기 단자 (10) 를 위한 가로로 긴 타원형의 캠부 (63) 의 우측 상부 구석부를 각 (角) 형상으로
변형시킨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지지부 (26) 에 접해 있다. 또, 동 도면에서의 높이 치수도 상기 캠
부 (63) 보다 크다. 따라서, 캠부 (64) 는 좌부에서는 반원형, 우부에서는 평탄면을 가지면서 그 하부에 둥
그스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캠부 (64) 도, 가동 부재 (6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단자 (20)
의 상아암부 (21) 에 형성된 피압부 (24) 에 대해 간격을 갖고 비접촉 상태에 있고,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
치에 왔을 때에, 세로로 긴 자세가 되고, 그 피압부 (24) 를 상방으로 눌러 탄성 변위시킨다.
로크 금구 (30) 에 대응하여 형성된 캠부 (65) 는, 단면 형상이 상기 캠부 (64) 와 유사하지만, 가동 부재 (60)[0034]
가 열림 위치에 있어도, 로크 금구 (30) 의 상아암부 (31) 에 형성된 피압부 (34) 에 접해 있다.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오면 그 캠부 (65) 는 상기 피압부 (34) 를 눌러 탄성 변위시킨다.
2 종의 단자 (10 ; 20) 에 각각 대응한 캠부 (63 ; 64) 는, 가동 부재 (60) 사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이들의[0035]
회전 축선의 방향, 즉, 도 2 에 있어서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보면, 도 7(A) 와 동일한 위치 관계에 있다.
도 7(A) 에 있어서, 가동 부재 (60) 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세로로 긴 자세를 취하고 있는 캠부 (63) 와
캠부 (64) 는, 단자 (10) 의 피압부 (14) 와 지지부 (16) 로부터 각각 동일한 힘의 반력 (A, B) 을 그리고 단자
(20) 의 피압부 (24) 와 지지부 (26) 로부터 각각 동일한 힘의 반력 (C, D) 을 받는다. 일방의 캠부 (63)
등록특허 10-1348556
- 7 -
에 대한 반력 (A, B) 은 그들의 작용선이 일치하고 있어 캠의 회전 중심 (P) 을 통과하는 하나의 선 (X) 상에
있다. 이에 대해, 타방의 캠부 (64) 에서는, 그 폭이 캠부 (63) 보다 넓고, 그리고 상단의 원호가 우측에
치우쳐 있음으로써, 피압부 (24) 로부터의 반력 (C) 이 상기 캠부 (63) 에 있어서의 반력 (A) 보다 우측에 위치
하고 있고, 또, 지지부 (26) 로부터의 반력이 캠부 (64) 의 평탄한 저면에 작용하기 때문에 반력 (D) 의 중심이
그 중심 위치가 되고, 결국 상기 반력 (C) 과 동일한 선 (Y) 상의 작용선을 갖게 된다. 즉, 캠부 (63 ; 64)
를 동시에 보았을 때에, 반력 (A 와 B) 이 하나의 선 (X) 상에서 균형이 잡히고, 그리고 반력 (C 와 D) 이 선 X
로부터 떨어진 다른 선 (Y) 상에서 균형이 잡히게 된다. 따라서 캠부 (63 ; 64) 의 양방에서, 상하 방향에
서 균형이 잡히는 반력 (A, B) 그리고 동일하게 상하 방향에서 균형이 잡히는 C, D 를 상기 캠의 회전 중심 (P)
로부터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받게 되어,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60) 는, 닫힘 위치에서 중립 상태를 취
하게 된다. 가동 부재 (60) 은, 이 중립 상태로부터, 열림 위치 방향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어긋나려고 해
도, 상기 두 개의 선 (X, Y) 상의 반력 (A, B) 그리고 C, D 에 의한 모멘트에 의해 당초의 중립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되어, 안정적으로 중립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중립 상태는, 2 종의 캠부 (63 ; 64) 의 반력 (A, C) 에 대해서의 반력 (B, D) 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0036]
해도 얻어진다. 도 7(B) 에 있어서,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2 종의 캠부 (63 ; 64) 의 타원에
있어 장축이 교차하도록 양 캠부를 형성하면, 일방의 캠부 (63) 의 반력 (A, B) 의 작용선은 서로 어긋나고, 그
리고 타방의 캠부 (64) 의 반력 (C, D) 의 작용선도 서로 어긋난다. 그러나, 2 종의 캠부 (63 ; 64) 를 동
시에 보면, 4 개의 반력 (A, B, C, D) 은, 도 7(A) 의 경우와 비교하여 반력 (B, D) 의 위치가 바꼈을 뿐, 전체
로서는 도 7(B) 일 때와 동일하게 균형이 잡힌다. 따라서, 이 경우도 중립 상태가 안정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그 사용 요령을 설명한다.[0037]

(1) 먼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1) 를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단자 (10 ; 20)[0038]
의 접속부 (18 ; 28) 와 로크 금구 (30) 의 고정 다리 (38) 양자를, 회로 기판의 각각의 대응부와 땜납 접속한
다. 땜납은, 하아암부 (12 ; 22 그리고 32) 에 형성된 상기 접속부 (18 ; 28) 그리고 고정 다리 (38) 로부
터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각각의 판면을 따라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하아암부 (12 ; 22 ; 32) 는, 연결부 (13 ; 23 ; 33) 만으로 상아암부 (11 ;
21, 31) 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만일 땜납이 상승해도, 땜납은 상아암부 (11 ; 21 ; 31) 에 도달하려면, 땜납은
이 연결부 (13 ; 23 ; 33) 를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도 4 ∼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
결부 (13 ; 23 ; 33) 에 대해, 하우징 (40) 은 폭광부 (41A ; 42A 43A) 와 큰 간극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땜납
상승은 여기서 정지하고, 상아암부 (11, 21 ; 31) 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이 땜납 상승 저지의 효과는, 프
랙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얻어진다.
(2) 다음으로, 도 2(A) ∼ (C)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60) 를 수립시키는 열림 위치에 가져와,[0039]
평형 도체 (F) 의 삽입에 대비한다. 이 가동 부재 (6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피압부 (14 ; 24 ; 34) 는 가동 부재 (60) 의 대응 캠부 (63 ; 64 ; 65) 로부터 전
혀 힘을 받지 않고, 따라서, 압압부 (15 ; 25 ; 35) 는 변위되어 있지 않은 당초의 위치에 있고, 단자 (10 ;
20) 는, 평형 도체 (F) 를 용이하게 수용하는 상태에 있다. 여기서 로크 금구 (30) 는, 기술한 바와 같이,
그 압압부 (35) 가 평형 도체 (F) 의 삽입 경로와 간섭하는 위치에 있다.
(3) 그 후, 도 8(A) ∼ (C)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를 하우징 (40) 의 삽입홈 (45) 에 삽입[0040]
한다. 그 때, 평형 도체 (F) 는, 단자 (10 ; 20) 에 접하기 전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40) 에 형성
된 연장부 (49) 의 규제부 (50) 에 의해, 상하 그리고 측방에서의 위치가 규제되어 소정 위치에서 삽입된다.
따라서, 삽입시에, 단자 (10 ; 20) 는 평형 도체 (F) 로부터 무리한 힘을 수용하는 경우는 없다. 평형 도
체 (F) 의 삽입시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 (60) 는 열림 위치에 있고, 단자 (10 ; 20) 의 압압
부 (15 ; 25) 는, 여전히 하방으로 변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자 (10 ; 20) 에 대해서는, 평형 도체 (F) 는
용이하게 상아암부 (11 ; 21) 와 하아암부 (12 ; 22) 사이에 진입한다. 평형 도체 (F) 의 삽입시, 로크 금
구 (30)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로크부 (35) 가 평형 도체 (F) 와 간섭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평형 도체
(F) 는 그 전단에서 그 로크부 (35) 를 밀어 올리면서 전진한다. 로크 아암 (31A) 은, 평형 도체 (F) 의 삽
입 전부터, 후방을 향하여 상방에 기울어 있으므로, 로크부 (35) 의 경사지는 후부 가장자리 (35B) 에서 평형
도체 (F) 로부터의 맞닿음력을 받으면, 상방에 대한 분력에 의해 기울기를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휘며 변위되어,
평형 도체 (F) 의 전진을 용이하게 한다. 평형 도체 (F) 가 소정 위치까지 전진하면, 도 8(C) 와 같이, 로
크부 (35) 가 평형 도체 (F) 의 노치부인 피걸림부 (F2) 에 돌입하여 전부 가장자리 (35A) 에서 그 피걸림부
등록특허 10-1348556
- 8 -
(F2) 의 전부 가장자리에 대해 걸림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로크 아암 (31A) 은, 당초의
기울기로 되돌아온다. 도 8(C)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 에 상기 로크
부 (35) 가 상방으로부터 돌입하고 있음과 함께, 그 평형 도체 (F) 는 하우징 (40) 의 걸림 돌기 (51) 에 대해
상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전후 방향에서는 상기 피걸림부 (F2) 가 그 걸림 돌기 (51) 의 위치에 있고, 단자 배
열 방향에서는 로크부 (35) 와는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이 걸림 돌기 (51) 와 걸림 가능한 상태에 있다.
(4) 다음으로, 가동 부재 (60) 를 도 9 와 같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닫힘 위치에 가져온다. 이 닫힘 위치에[0041]
서는, 가동 부재 (60) 의 캠부 (63 ; 64 ; 65) 는 세로로 긴 자세가 되고, 캠부 (63) 가 단자 (10) 의 피압부
(14) 를, 캠부 (64) 가 단자 (20) 의 피압부 (24) 를, 그리고 캠부 (65) 가 로크 금구 (30) 의 피압부 (34) 를
각각 상방으로 눌러 올린다. 피압부 (14 ; 24 ; 34) 가 들어올려지면,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상아암부 (11 ; 21 ; 31) 는 각각 연결부 (13 ; 23 ; 33) 를 지점으로 하여 지레의 원리에 의해 그 연
결부 (13 ; 23 ; 33) 보다 후방 부분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되어 후단의 압압부 (15 ; 25) 가 하방으로
변위된다. 이렇게 하여, 단자 (10, 20) 는 그 압압부 (15 ; 25) 에 의해 평형 도체 (F) 를 하방으로 압압하
여 그 평형 도체 (F) 와 단자 (10 ; 20) 의 접촉부 (17 ; 27) 와의 접압을 높여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하여
정규의 접속 상태를 얻는다. 한편, 로크 금구 (30) 는, 후방을 향하여 상방에 경사져 있던 로크 아암 (31A)
이 이 경사를 줄이도록 하방으로 휘며 변위되어 수평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 수평 위치에서는, 로크부
(35) 는 하아암부 (32) 에 접할 때까지 하방으로 변위되어 상기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 와의 걸림을
더욱 강하게 한다. 또한 평형 도체 (F) 는 단자 (10 ; 20) 의 압압부 (15, 25) 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 강하
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걸림부 (F2) 내에 상기 하우징 (4) 의 걸림 돌기 (51) 가 진입한 상태가 된다. 이렇
게 하여, 평형 도체 (F) 는, 그 피걸림부 (F2) 내에 상방으로부터 로크부 (35) 가 그리고 하방으로부터 걸림 돌
기 (51) 가 진입하고 있고, 평형 도체 (F) 가 후방으로 당겨졌을 때의 걸림력은 강력하여 확실하게 작용한다.
이 상태, 즉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캠부 (63 ; 64) 는, 도 7(A) 상태에 있고, 확
실하게 중립 상태를 유지하여, 가동 부재 (60) 가 다소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어도, 원래의 중립 상태로 복귀한
다.
(5) 이렇게 하여, 평형 도체 (F) 가 정규의 접속 상태에 있을 때에, 부주의한 외력에 의해 후방, 즉, 발출 방향[0042]
으로 당겨졌다고 하면,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 의 전부 가장자리가 로크 금구 (30) 의 로크부 (35) 를
그 전부 가장자리 (35A) 에서 후방으로 누르게 된다. 이 전부 가장자리 (35A) 는 수직이므로, 피 걸림부
(F2) 와 학실하게 서로 걸려, 후방으로의 반력을 받아, 로크 아암 (31A) 이 후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러
나, 이 로크 아암 (31A) 은,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수평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수평 방
향에 대해 기울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반력에 의한 인장력을 받아도 상방에 대한 분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이 수
평 방향의 자세를 유지하여, 로크 기능이 약해지는 경우는 없다. 또한, 상기 전부 가장자리 (35A) 는, 완전
한 수직이 아니어도, 약간 상하로 경사져 있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은, 도 1 ∼ 9 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우징에[0043]
형성되는 돌기부는 걸림 돌기로 할 필요는 없고,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의 주변에서, 그 평형 도체를 위한 재치
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도 10 의 경우, 하우징 (40) 은, 평형 도체 (F) 의 삽입
시의 재치면 (52) 에 대해, 로크 금구 (30) 의 주변에서 높게 되어 있는 돌기부 (5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 (51')는, 도 11(A), (B)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 (30) 의 로크부 (35) 의 전방 주
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오면, 평
형 도체 (F) 는, 단자 배열 범위에서는 상기 재치면 (52) 을 향하여 하방으로 밀리고, 피걸림부 (F2) 가 존재하
는 측부에서는 상기 돌기부 (51') 에 의해 상대적으로 들어올려져, 폭방향에서 오목한 상태로 휜다. 즉, 피
걸림부 (F2) 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로크부 (35) 와 확실하게 걸리게 된다.
다음으로, 전출한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금구 (30) 의 상아암부 (31) 의 로크 아암 (31A) 은, 가동 부재 (60)[0044]
가 열림 위치에서는 피압부 (34) 에 그 가동 부재 (60) 로부터 전혀 힘을 받지 않고,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고,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상기 상아암부 (31) 의 피압부 (34) 가 가동 부재 (60)
의 캠부 (65) 에 눌려, 로크 아암 (31A) 이 수평 방향이 자세를 취함으로써, 로크부 (35) 가 하방으로 변위되었
지만, 도 12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림 위치에서 상기 상아암부 (31) 가 캠부 (63) 로부터 힘을 받
아 로크 아암 (31A) 이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는 자세를 취하고, 닫힘 위치에서는 이 힘이 해제되어 수
평 방향의 자세를 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A) 에 있어서, 가동 부재 (60) 는 조작부 (61) 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홈부 (62) 와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0045]
등록특허 10-1348556
- 9 -
에 대략 반원 형상의 캠부 (65) 를 가압부로서 갖고 있다. 그 캠부 (65) 는, 도 12(A) 에 나타내는 가동 부
재 (6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금구 (30) 의 상아암부 (31) 의 전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피압
부 (34) 에 탑재되어 그 피압부 (34) 를 하방으로 누르고 있다. 따라서, 상아암부 (31) 의 후부인 로크 아
암 (31A) 은, 연결부 (33) 를 지점으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는 자세를 취하도록 변위된다.
또, 가동 부재 (60) 가 축부 (66) 주위에 회전 운동하여 도 12(B)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캠부 (65) 는 피압부 (34) 로부터 떨어져, 로크 아암 (31A) 의 변위가 해제되어, 그 로크 아암 (31A) 은 수평
상태가 자세를 취한다.
또, 본 발명은, 평형 도체의 상면에 도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응할 때에는, 단자는 하아암부에 접촉부[0046]
를 갖고 있을 필요는 없고, 상아암부의 압압부가 접촉부를 겸하고 있어 상기 도체부와 접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하아암부에 접촉부를 갖는 단자와 상아암부의 압압부가 접촉부를 겸하고 있는 단자를 혼
합하여, 이른바 지그재그 배치로 할 수도 있다.
부호의 설명
10 ; 20 단자 18 ; 28 접속부 [0047]
11 ; 21 상아암부 40 하우징
12 ; 22 하아암부 41 ; 42 (단자) 유지홈
13 ; 23 연결부 41A ; 42A 폭광부
14 ; 24 피압부 45 수입 공간 (삽입홈)
15 ; 25 압압부 60 가동 부재
17 ; 27 접촉부 63 ; 64 가압부 (캠부)
등록특허 10-1348556
- 10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348556
- 11 -
도면2
등록특허 10-1348556
- 12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348556
- 13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348556
- 14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1348556
- 15 -
도면9
도면10
등록특허 10-1348556
- 16 -
도면11
등록특허 10-1348556
- 17 -
도면12
등록특허 10-1348556
- 18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