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5년07월09일
(11) 등록번호 10-1533432
(24) 등록일자 2015년06월2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61C 15/04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0041982
(22) 출원일자 2014년04월08일
심사청구일자 2014년04월08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10178899 A
KR2020070000616 U
KR2020110004721 U
(73) 특허권자
장기선
서울특별시 노원구 석계로13길 25-1, 502호 (월계
동, 가든빌딩)
(72) 발명자
장기선
서울특별시 노원구 석계로13길 25-1, 502호 (월계
동, 가든빌딩)
(74) 대리인
강경찬, 변창규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양성연
(54) 발명의 명칭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57) 요 약
본 발명은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는, 내부에 액상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장공간(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약제저장공간(11)에 저장된 액상 약제를 분사하는 펌프장치(12) 일부가 상측으로 돌출된 채 설치되어 있으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533432
- 1 -
며, 사용자의 포켓(1)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10)와; 하부 일측에 몸체수납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체 상
측으로 돌출된 펌프장치(12) 상부가 몸체수납홈(21)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0)와 결합되고, 상부에 치실(22a)이
권취된 실패(22b)가 수납되는 실패수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패수납홈(22)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
(23)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실패저장케이스(20)
와; 일측 선단이 상기 돌출부(2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하향 회전시 사용자의 포켓(1) 외부로 돌출되
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 표면에 고정구삽입홈(31a)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31)와, 상기 연결부(31)와 일체
로 연결되어 있되, 연결부(31)로부터 하향되게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가 개방된 U자 형상을 취
하며, 둘레를 따라 치실가이드홈(32a)이 형성되어 있는 사용부(32)로 구성되어 있는 치실거치부재(30)와; 상기
치실거치부재(30)의 사용부(32)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사용부체결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가
사용자의 포켓(1)에 삽입되고, 연결부(31)가 하향 회전한 상태에서 단부가 포켓(1) 표면을 실패저장케이스(20)
또는 몸체(10) 중 어느 하나에 밀착시키는 마개(40)와; 하부 일측이 고정구삽입홈(31a)에 끼워지고, 상부는 연결
부(31) 표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사용부(32)를 감싼 치실(22a)이 감겨 고정되는 치실고정부재(50)와; 상기 연
결부(31), 실패저장케이스(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치실고정부재(50) 둘레를 감싼
채 실패(22b)에 연결되어 있는 치실(22a)의 중간부가 절단되는 절단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치실 기구의 하부는 구강세정제 등이 내장되는 스프레이 방식의 용기가 연결되고, 상부에는 실
패에 권취된 치실이 저장되는 한편, 측면으로 마치 포켓 클립과 같은 형상을 취하도록 치실거치부재를 형성함으
로써 간편하게 포켓에 끼워 보관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치실 사용 후 구강 세척이 용이하고, 세팅된 치실로 하여
금 길이 방향을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길이방향진동발생장치, 길이 방향과 교차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교차방향진동발생장치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치실 사용시 난해한 조작을 최소화하면서도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는 치실 기구가 제공된다.
등록특허 10-1533432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치실 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액상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장공간(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약제저장공간(11)에 저장된 액
상 약제를 분사하는 펌프장치(12) 일부가 상측으로 돌출된 채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포켓(1) 내부에 수용
되는 몸체(10)와;
하부 일측에 몸체수납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체 상측으로 돌출된 펌프장치(12) 상부가 몸체수납홈(21)
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0)와 결합되고, 상부에 치실(22a)이 권취된 실패(22b)가 수납되는 실패수납홈(22)이 형
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패수납홈(22)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23)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 측방향으로 돌
출되어 있는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실패저장케이스(20)와;
일측 선단이 상기 돌출부(2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하향 회전시 사용자의 포켓(1)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 표면에 고정구삽입홈(31a)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31)와, 상기 연결부(31)와 일체로 연
결되어 있되, 연결부(31)로부터 하향되게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가 개방된 U자 형상을 취하며,
둘레를 따라 치실가이드홈(32a)이 형성되어 있는 사용부(32)로 구성되어 있는 치실거치부재(30)와;
상기 치실거치부재(30)의 사용부(32)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사용부체결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10)가 사용자의 포켓(1)에 삽입되고, 연결부(31)가 하향 회전한 상태에서 단부가 포켓(1) 표면을 실패저장케이
스(20) 또는 몸체(10) 중 어느 하나에 밀착시키는 마개(40)와;
하부 일측이 고정구삽입홈(31a)에 끼워지고, 상부는 연결부(31) 표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사용부(32)를 감싼
치실(22a)이 감겨 고정되는 치실고정부재(50)와;
상기 연결부(31), 실패저장케이스(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치실고정부재(50) 둘레
를 감싼 채 실패(22b)에 연결되어 있는 치실(22a)의 중간부가 절단되는 절단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고정부재(50)는 고정구삽입홈(31a)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치실고정부재(50)가 하향 이동함에 따라 치실고정부재(50) 외주면을 감싼 치실(22a)이 고정구삽입홈(31a)
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삽입홈(31a)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치실고정부재(50)는,
외주면이 상기 고정구삽입홈(31a)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며, 하단으로부터 상향되게 절개홈(51a)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51)와;
상기 삽입부(51)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51) 상부 외주면보다 외경이 작으며, 치실이 감겨지는 홈을
등록특허 10-1533432
- 3 -
형성하는 홈부(52)와;
상기 홈부(52)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경이 상기 고정구삽입홈(31a) 상단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손
잡이부(5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53)를 하향 가압하게 되면 절개홈(51a)이 좁아지면서 상기 삽입부(51)가 하향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홈부(52)가 상기 고정구삽입홈(31a)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홈부(52)를 감싼 치실(22a)이 고정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부(32)는,
상기 연결부(31)와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부(32b)와, 각각 일측이 상기 지지부(32b) 양측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
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d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면에 치실가이드홈(32a)이 형성되어 있는 치실걸이부
(32c)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치실걸이부(32c)에 설치되어 있고, 모터축(71a)이 치실가이드홈(32a)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구동모터
(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모터축(71a)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치실가이드홈(32a)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치실이 삽입되는 캠홈(72a)이 형성되어 있는 캠부재(72)로 구성되어 구동모터(71)의 작동에 의해 캠부
재(72)가 모터축(71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치실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길이방향진동발생장
치(7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청구항 5
제 4항에 있어서,
타측의 치실걸이부(32c)에 모터축(81a)이 치실가이드홈(32a)의 반대측 벽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보조
구동모터(81)와, 상기 보조구동모터(81)의 모터축(81a)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캠부재(82)로 구성되어 보조구동모
터(81)의 회전에 의해 보조캠부재(82)가 모터축(81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치실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
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교차방향진동발생장치(8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치실 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내장된 구강세정제와 같은 약제를 분사하는[0001]
몸체가 사용자 포켓 내부로 수용되도록 형성하고, 몸체 상를 개폐시키면서 치실이 감긴 실패가 내장되는 실패저
장케이스를 형성하고, 실패저장케이스의 측방향으로 치실을 고정 및 세팅시키는 치실거치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미사용시에는 마치 펜의 클립과 같은 역할을 하여 사용자의 포켓에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치실 기구는 사용방법에 따른 분류로 사용자가 양 손으로 치실을 고정한 상태에서 이빨 틈새로 치실을 끼워 사[0002]
용하는 원시적인 타입에서부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Y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벌어진 프레임 선단에
치실이 장력을 유지한 채 배치되어 이 부분을 이빨의 전후에 위치토록 하여 끼워 사용하는 타입 등이 있다.
등록특허 10-1533432
- 4 -
전자의 경우 제품 크기가 비교적 작아 카드 타입으로 휴대가 가능하게 제공되기도 하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0003]
이 있다.
후자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고정지지대의 후단부(130)의 치실 홀더 내의 실패로부터 실안내홈[0004]
을 따라 치실 선단부(110)로 이동하여 중앙의 고정부(120)에 고정시킨 후, 절단기(122)로 치실을 잘라서 사용하
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후자의 치실 기구의 경우에도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고정부가[0005]
단순히 치실을 감아 고정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패에 권취되어 있는 치실을 분리할 때 적정 길이를
꺼내지 않을 경우 고정부에 감을 치실의 길이가 부족해서 고정부에 감긴 치실을 분리한 후 다시 실패에서 치실
을 풀어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는 단순히 치실이 감긴 상태인 바, 중도에 감긴 치실이 풀리거나, 선단부에서 충분한 장력을 제공[0006]
하지 못해 탱탱한 상태가 유지되지 못해 사용상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치실 고정 지지대"(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9860호, 특허문헌 1)에[0007]
는 선단부의 양측 끝단에 구협내광형 걸림홈과 단턱진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치실 기구에 설치된 치실의 느슨해
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 역시 걸림홈에 치실을 수 회 감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바, 적정한 길의 치실을 실[0008]
패로부터 인출하지 않을 경우 걸림홈에 충분히 치실을 감아 사용할 수 없기에 고정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비좁은 틈새를 형성함으로 인해 오염물질이 끼이게 되어 위생적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0009]
또, 치실 기구의 사용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가정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소 예를 들어 외부에서 식사[0010]
후 발생하는 이물감을 해소하기 위해 치실 기구의 사용을 필요로 하게 되는 바, 휴대가 간편한 치실 기구의 보
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양치가 어려운 외부에서 치실 기구를 사용하면서 이빨 틈새에 끼어 있던 이물질이 치실 표면이나 이빨 표[0011]
면으로 묻어 나오게 되는데, 가볍게 입을 헹구는 작업으로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의 보급
역시 필요한 실정이라 하겠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KR 10-1059860 (2011.08.22) [0012]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의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치실[0013]
기구의 하부는 구강세정제 등이 내장되는 스프레이 방식의 용기가 연결되고, 상부에는 실패에 권취된 치실이 저
장되는 한편, 측면으로 마치 포켓 클립과 같은 형상을 취하도록 치실거치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간편하게 포켓에
끼워 보관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치실 사용 후 구강 세척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특히, 치실거치부재는 실패저장케이스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내측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와 같이 포[0014]
켓에 끼워 휴대하고, 치실 사용시에는 상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시 공간의 제약을 적게 받으면서 용이하
게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치실을 감싸는 치실고정부재로 하여금 고정구삽입홈에 삽입되면서 감싼 치실을 고정시켜 절단부재로 치실[0015]
을 절단한 후에도 장력의 손실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세팅된 치실로 하여금 길이 방향을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길이방향진동발생장치, 길이 방향과 교차한[0016]
등록특허 10-1533432
- 5 -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교차방향진동발생장치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치실 사용시 난해한 조작을 최소화하면
서도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치실 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액상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0017]
장공간(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약제저장공간(11)에 저장된 액상 약제를 분사하는 펌프장치(12) 일
부가 상측으로 돌출된 채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포켓(1)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10)와; 하부 일측에 몸체수
납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체 상측으로 돌출된 펌프장치(12) 상부가 몸체수납홈(21)에 삽입되어 상기 몸
체(10)와 결합되고, 상부에 치실(22a)이 권취된 실패(22b)가 수납되는 실패수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패수납홈(22)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23)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24)가 형성되어 있는 실패저장케이스(20)와; 일측 선단이 상기 돌출부(2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하
향 회전시 사용자의 포켓(1)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 표면에 고정구삽입홈(31a)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31)와, 상기 연결부(31)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되, 연결부(31)로부터 하향되게 경사진 방향으로 형
성되어 있고, 선단부가 개방된 U자 형상을 취하며, 둘레를 따라 치실가이드홈(32a)이 형성되어 있는 사용부(3
2)로 구성되어 있는 치실거치부재(30)와; 상기 치실거치부재(30)의 사용부(32)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사
용부체결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가 사용자의 포켓(1)에 삽입되고, 연결부(31)가 하향 회전한 상태
에서 단부가 포켓(1) 표면을 실패저장케이스(20) 또는 몸체(10) 중 어느 하나에 밀착시키는 마개(40)와; 하부
일측이 고정구삽입홈(31a)에 끼워지고, 상부는 연결부(31) 표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사용부(32)를 감싼 치실
(22a)이 감겨 고정되는 치실고정부재(50)와; 상기 연결부(31), 실패저장케이스(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측면
에 설치되어 있으며, 치실고정부재(50) 둘레를 감싼 채 실패(22b)에 연결되어 있는 치실(22a)의 중간부가 절단
되는 절단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치실고정부재(50)는 고정구삽입홈(31a)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0018]
있으며, 상기 치실고정부재(50)가 하향 이동함에 따라 치실고정부재(50) 외주면을 감싼 치실(22a)이 고정구삽입
홈(31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고정구삽입홈(31a)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치실고정부재(50)는, 외주면이 상[0019]
기 고정구삽입홈(31a)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며, 하단으로부터 상향되게 절개홈(51a)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
(51)와; 상기 삽입부(51)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51) 상부 외주면보다 외경이 작으며, 치실이 감겨지
는 홈을 형성하는 홈부(52)와; 상기 홈부(52)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경이 상기 고정구삽입홈(31a) 상단 내
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5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53)를 하향 가압하게 되면 절개홈
(51a)이 좁아지면서 상기 삽입부(51)가 하향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홈부(52)가 상기 고정구삽입홈(31a)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홈부(52)를 감싼 치실(22a)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사용부(32)는, 상기 연결부(31)와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부(32b)와, 각각 일측이 상기 지지부(32b) 양[0020]
측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d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면에 치실가이드홈(32a)이 형성
되어 있는 치실걸이부(32c)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치실걸이부(32c)에 설치되어 있고, 모터축(71a)이 치실
가이드홈(32a)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모터축(71a)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
기 치실가이드홈(32a)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치실이 삽입되는 캠홈(72a)이 형성되어 있는 캠부재(7
2)로 구성되어 구동모터(71)의 작동에 의해 캠부재(72)가 모터축(71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치실의 길이 방향
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길이방향진동발생장치(7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타측의 치실걸이부(32c)에 모터축(81a)이 치실가이드홈(32a)의 반대측 벽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0021]
있는 보조구동모터(81)와, 상기 보조구동모터(81)의 모터축(81a)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캠부재(82)로 구성되어
보조구동모터(81)의 회전에 의해 보조캠부재(82)가 모터축(81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치실의 길이 방향과 직
교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교차방향진동발생장치(8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치실 기구의 하부는 구강세정제 등이 내장되는 스프레이 방식의 용기가 연결되고, 상부에는 실[0022]
패에 권취된 치실이 저장되는 한편, 측면으로 마치 포켓 클립과 같은 형상을 취하도록 치실거치부재를 형성함으
등록특허 10-1533432
- 6 -
로써 간편하게 포켓에 끼워 보관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치실 사용 후 구강 세척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치실거치부재는 실패저장케이스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내측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와 같이 포[0023]
켓에 끼워 휴대하고, 치실 사용시에는 상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시 공간의 제약을 적게 받으면서 용이하
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치실을 감싸는 치실고정부재로 하여금 고정구삽입홈에 삽입되면서 감싼 치실을 고정시켜 절단부재로 치실[0024]
을 절단한 후에도 장력의 손실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세팅된 치실로 하여금 길이 방향을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길이방향진동발생장치, 길이 방향과 교차한[0025]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교차방향진동발생장치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치실 사용시 난해한 조작을 최소화하면
서도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치실 기구가 제공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치실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0026]
도 2는 본 발명의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의 치실거치부재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치실고정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 전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길이방향진동발생장치 및 교차방향진동발생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길이방향진동발생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6에서 교차방향진동발생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연결부와 돌출부의 연결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0027]
본 발명의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는 크게 몸체(10), 실패저장케이스(20), 치실거치부재(30), 마개(40), 치실고[0028]
정부재(50), 절단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몸체(10)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액상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0029]
장공간(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약제저장공간(11)에 저장된 액상 약제를 분사하는 펌프장치(12) 일
부가 상측으로 돌출된 채 설치되어 있다.
약제는 구강청결제, 치약 등 다양한 치위생 관련 약품이 적용될 수 있다.[0030]
몸체(10)의 외형은 도면에 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 타원의 통 등[0031]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펌프장치(12)는 점선으로 도시된 흡입관이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공지의 다양한 펌프 장치로 구성될 수[0032]
있으며, 배출 방식은 스프레이 방식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시에는 사용자의 포켓(1) 내부에 수용되어진다.[0033]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실패저장케이스(20)는 하부에 몸체수납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체(10) 상측으로[0034]
돌출된 펌프장치(12) 상부가 몸체수납홈(21)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10) 상부와 결합된다.
몸체(10)와의 연결 방식은 몸체수납홈(21)의 내경을 몸체(10) 상단 외경과 꽉 끼어맞춤되도록 형성하거나, 공지[0035]
등록특허 10-1533432
- 7 -
의 다양한 키 방식을 이용하여 삽입 후 키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패저장케이스(20)에는 상기 몸체수납홈(21)과 미도시된 바닥판에 의해 반리된 실패수납홈(22)이 몸체[0036]
수납홈(21)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패수납홈(22)에는 치실(22a)이 권취된 실패(22b)가 수납된다.[0037]
더불어, 실패수납홈(22)에는 도시된 것처럼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거나,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0038]
를 개폐시키는 개폐도어(23)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개폐도어(23)는 힌지 방식으로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0039]
히 분리한 후 끼워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개폐도어(23)가 닫힌 상태로 치실(22a)이 실패(22b)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도면기호로 미표시된 틈[0040]
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패수납홈(22) 내부에는 실패(22b)를 고정시키기 위해 실패(22b) 중앙에 서로 끼움 결합되기 위한 가이[0041]
드축(22c)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축(22c)의 설치 위치는 실패(22b)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개폐도어(23)가 설치되는 방향을 향해 설치됨이[0042]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실패저장케이스(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일측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4)가 형[0043]
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돌출부(24)는 후술하는 연결부(31)와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31)와 연결되는 지점을 축으[0044]
로 몸체(10) 및 실패저장케이스(20)가 포켓(1) 내부로 삽입되고, 치실거치부재(30)가 포켓(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격시켜주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치실거치부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1)와 사용부(32)로 구성되어 있다.[0045]
연결부(31)는 일측 선단이 힌지에 의해 상기 돌출부(2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하향 회전시 사용자의[0046]
포켓(1)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연결부(31)와 돌출부(24)의 힌지 결합은 다양한 공지의 힌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나, 도 8의 구조와 같이 사[0047]
용자 포켓(1)에 몸체(10)가 삽입된 상태로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치실질을 할 때 반대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에는 연결부(31)와 돌출부(24)를 관통하는 회전핀(33)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핀(33)에는 스프링(34)이 설치[0048]
되어 있어 연결부(31)로 하여금 하향 회전하려는 힘을 받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연결부(31) 측면에는 회전핀(33)을 기준으로 연결부(31)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홈(35)이[0049]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31) 선단 및 돌출부(24) 선단에는 서로 치합되도록 삽입돌기(36) 및 삽입홈(37)이 형성
되어 있다.
이 구성은 평소에는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31)가 회전핀(33)을 축으로 하향 회전한 상태로 스프링[0050]
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사용자의 포켓(1)을 마개(40) 선단이 가압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연결부
(3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연결부(31)를 가이드홈(35)을 따라 밀어 삽입돌기(36)가 삽입홈(37)에
끼워져 연결부(31)가 돌출부(24)를 기준으로 직각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가 되어 치실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이러한 연결부(31)는 상부 표면에 고정구삽입홈(31a)이 형성되어 있다.[0051]
또, 사용부(32)는 상기 연결부(31)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되, 연결부(31)로부터 하향되게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0052]
되어 있고, 선단부가 개방된 U자 형상을 취하며, 둘레를 따라 치실가이드홈(32a)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취한
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마개(4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치실거치부재(30)의 사용부(32)가 내측으로 끼[0053]
등록특허 10-1533432
- 8 -
워져 결합되는 사용부체결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개(40)는 몸체(10)가 사용자의 포켓(1)에 삽입되고, 연결부(31)가 하향 회전한 상태에서 단부가 포켓[0054]
(1) 표면을 실패저장케이스(20) 또는 몸체(10) 중 어느 하나에 밀착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사용부(32)가 끼워진 마개(40)가 연결부(31)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유지하여 마치 펜의 클램[0055]
핑 부재와 같은 역할을 하여 포켓에 고정되어 휴대가 용이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치실고정부재(5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일측이 고정구삽입홈(31a)에[0056]
끼워지고, 상부는 연결부(31) 표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사용부(32)를 감싼 치실(22a)이 감겨 고정되도록 이
루어져 있다.
이때, 치실고정부재(50)는 단순히 치실(22a)이 감겨져 고정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감겨진 치실(22a)을 고정구삽[0057]
입홈(31a)에 삽입시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치실고정부재(50)는 고정구삽입홈(31a)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0058]
상기 치실고정부재(50)가 하향 이동함에 따라 치실고정부재(50) 외주면을 감싼 치실(22a)이 고정구삽입홈(31a)
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예를 보면, 상기 고정구삽입홈(31a)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치실[0059]
고정부재(50)는, 외주면이 상기 고정구삽입홈(31a)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며, 하단으로부터 상향되게 절개홈
(51a)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51)와; 상기 삽입부(51)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51) 상부 외주면보다
외경이 작으며, 치실이 감겨지는 홈을 형성하는 홈부(52)와; 상기 홈부(52)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경이 상
기 고정구삽입홈(31a) 상단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5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손잡이부(53)를 하향 가압하게 되면 절개홈(51a)이 좁아지면서 상기 삽입부(51)가 하향 이[0060]
동하게 되면서 상기 홈부(52)가 상기 고정구삽입홈(31a)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홈부(52)를 감싼 치실(22a)이 고
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절단부재(60)는 상기 연결부(31), 실패저장케이스(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측면에 설[0061]
치되어 있으며, 치실고정부재(50) 둘레를 감싼 채 실패(22b)에 연결되어 있는 치실(22a)의 중간부가 절단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절단부재(60)는 일측이 절곡된 형상의 공지된 다양한 칼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0062]
이상과 같은 구성은 연결부(31)가 하향 회전한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은 상태를 이룬다. [0063]
이 상태는 몸체(10)를 분리하여 구강세정제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포켓(1)에 삽입하여 고[0064]
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는 마개(40) 선단이 몸체(10)나 실패저장케이스(20) 벽면에 밀착되는 힘을 받으면서 위치하기 때문에 가능해[0065]
진다.
더불어, 치실을 사용할 때는 도 4와 같이 연결부(31)를 상향 회전시킨 상태에서 실패(22b)에 감긴 치실(22a)을[0066]
당겨 치실가이드홈(32a)을 따라 감고, 치실고정부재(50) 둘레로 치실(22a)을 감은 다음 치실고정부재(50)를 고
정구삽입홈(31a)에 가압하여 끼워 치실(22a) 일부가 고정구삽입홈(31a)에 삽입,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 채 절단
부재(60)로 치실(22a)을 절단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사용부(32)가 몸체(10)나 실패저장케이스(20)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를 갖기 때문에 충분히 넓은 공간[0067]
에서 치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치실(22a)을 이빨 사이에 끼워 치실질을 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이빨 사이에 끼워진 치실(22a)을 전후로[0068]
이동시키거나 좌우로 이동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이 편리하지 못하며, 자칫 무리한 힘을 가
하게 되면 이빨에 강한 힘이 가해져 이빨이 빠지거나 흔들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533432
- 9 -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간편한 치실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치실(22a)을 길이 방향으로 진[0069]
동시키거나 일측의 치실(22a) 높이를 조절하여 치실(22a)이 당겨지거나 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사용부(32)는, 상기 연결부(31)와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부(32b)와, 각각[0070]
일측이 상기 지지부(32b) 양측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d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면
에 치실가이드홈(32a)이 형성되어 있는 치실걸이부(32c)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진동발생장치(70)가 치실
걸이부(32c)에 설치되어 있다.
길이방향진동발생장치(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치실걸이부(32c)에 설치되어 있고, 모터축(71a)이 치실가[0071]
이드홈(32a)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모터축(71a)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치실가이드홈(32a)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치실이 삽입되는 캠홈(72a)이 형성되어 있는 캠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구동모터(71)의 작동에 의해 캠부재(72)가 모터축(71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모터축(71a)에 대[0072]
하여 회전하면서 치실(22a)이 걸리는 캠부재(72)가 도 7과 같이 치실(22a)을 당기거나 접한 부분의 높이에 변화
를 주게 되어 치실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나 이완 또는 긴장시켜 이빨 사이에 위치한 치실(22a)의
길이 방향 또는 상하 움직임에 의해 치실질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도 6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차방향진동발생장치(80)를 설치하여 치실(22a)의 길이방향[0073]
또는 수직방향 변위 외에 수평 방향으로 변위를 추가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교차방향진동발생장치(80)는 타측의 치실걸이부(32c)에 모터축(81a)이 치실가이드홈(32a)의 반대측[0074]
벽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보조구동모터(81)와, 상기 보조구동모터(81)의 모터축(81a)에 연결되어 있
는 보조캠부재(8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보조구동모터(81)의 회전에 의해 보조캠부재(82)가 모터축(81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치실의[0075]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치실(22a)을 좌우로 유동시켜 그 움직임에 의해 치실질이 원
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 포켓 10 : 몸체[0076]
11 : 약제저장공간 12 : 펌프장치
20 : 실패저장케이스 21 : 몸체수납홈
22 : 실패수납홈 22a : 치실
22b : 실패 23 : 개폐도어
24 : 돌출부 30 : 치실거치부재
31 : 연결부 31a : 고정구삽입홈
32 : 사용부 32a : 치실가이드홈
32b : 지지부 32c : 치실걸이부
33 : 회전핀 34 : 스프링
35 : 가이드홈 36 : 삽입돌기
37 : 삽입홈 40 : 마개
50 : 치실고정부재 51 : 삽입부
51a : 절개홈 52 : 홈부
53 : 손잡이부 60 : 절단부재
등록특허 10-1533432
- 10 -
70 : 길이방향진동발생장치
71 : 구동모터 71a : 모터축
72 : 캠부재 72a : 캠홈
80 : 교차방향진동발생장치
81 : 보조구동모터 81a : 모터축
82 : 보조캠부재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533432
- 11 -
도면2
등록특허 10-1533432
- 12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533432
- 13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533432
- 14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1533432
- 15 -
도면9
【심사관 직권보정사항】
【직권보정 1】
【보정항목】청구범위
【보정세부항목】청구항 4
【변경전】
있d으며
【변경후】
있으며
등록특허 10-1533432
- 16 -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Pocket installing type''s dental floss holder)
2018. 4. 2. 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