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9월27일
(11) 등록번호 10-1067484
(24) 등록일자 2011년09월19일
(51) Int. Cl.
A61C 8/00 (2006.01) A61C 13/08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073417
(22) 출원일자 2009년08월10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08월10일
(65) 공개번호 10-2011-0015953
(43) 공개일자 2011년02월1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14520085 A*
KR04289340000 B1
KR19990064141 A
US05685715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교촌리 377-2
(72) 발명자
박광범
대구 수성구 수성동4가 대림 e-편한세상 104동
1501호
류경호
광주 동구 산수동 568-1 두암타운아파트 113동
304호
김용상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1650 대곡역래
미안아파트 111동 401호
(74) 대리인
윤재석, 권영규, 한지희
전체 청구항 수 : 총 14 항 심사관 : 박요창
(54)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57) 요 약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은, 회전기구와 물림결합
을 위해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헤드부; 헤드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중심
에 대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입홈이 형성되는 제1 몸체부; 제1 몸체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테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된 인상재에 간편하게 재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상 채득 시 인상재
내에서 임프레션 코핑의 회전 방향 유동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인상 채득을 달성할 수 있는 임프레션 코핑을 제공
할 수 있게 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067484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회전기구와 물림결합을 위해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중심에 대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입홈이 형성되는 제1 몸
체부;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마련되는 상기 복수 개의 인입홈을 한정하는 복수 개의 외측면; 및
상기 복수 개의 외측면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외측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인입홈은 제1 인입홈 및 제2 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외측면은 상기 제1 인입홈을 한정하는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인입홈을 한정하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면은 일측 방향에서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제2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1 연결면 및 타측 방
향에서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제2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
술용 임프레션 코핑.
청구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중심을 지나되 상기 제1 연결면과 상기 제2 연결면을 교차하는 Y축 방향에 대해 대칭형이며,
상기 Y축 방향에 직교하는 X축 방향에 대해 비대칭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
션 코핑.
청구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면의 원주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연결면의 원주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
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면에 동축적으로 상기 제1 연결면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3 외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청구항 7
등록특허 10-1067484
- 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제1 몸체부를 오목한 곡면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오목한 곡면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청구항 8
중심에 대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입홈이 형성되며 중앙영역을 관통하여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
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중앙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
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하여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핀은,
회전기구와 물림결합을 위해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연장
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청구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마련되는 상기 복수 개의 인입홈을 한정하는 복수 개의 외측면; 및
상기 복수 개의 외측면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외측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청구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인입홈은 제1 인입홈 및 제2 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외측면은 상기 제1 인입홈을 한정하는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인입홈을 한정하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면은 일측 방향에서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제2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1 연결면 및 타측 방
향에서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제2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
술용 임프레션 코핑.
청구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중심을 지나되 상기 제1 연결면과 상기 제2 연결면을 교차하는 Y축 방향에 대해 대칭형이며,
상기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에 대해 비대칭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
션 코핑.
청구항 12
제11항에 있어서,
등록특허 10-1067484
- 3 -
상기 제1 연결면의 원주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연결면의 원주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
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청구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면과 동축적으로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물림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청구항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면에 동축적으로 상기 제1 연결면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3 외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청구항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오목한 곡면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
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화된 인상재에 간편하게 재 체결[0001]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상 채득 시 인상재 내에서 임프레션 코핑의 회전 방향 유동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인
상 채득을 달성할 수 있는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임플란트 시술은 본래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술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0002]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
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덴쳐(denture,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
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
가 생기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시술 대상자의 치아 형태에 따라 보철물을 제작하여 상실된 치아가 있던 자리에[0003]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데, 이를 위해 시술 대상자의 치아 형태를 인상재로 떠서 정확한
작업 모형을 제작하는 인상 채득 과정을 수행하고 제작된 작업 모형에 기초하여 시술 대상자의 치아 형태에 맞
는 보철물을 제작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상 채득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임프레션 코핑을 직접 또는 가이드 핀을 이용하여 결속시[0004]
킨 후, 시술 대상자의 치형에 유동성이 있는 인상재를 도포하고 인상재가 경화되면 시술 대상자의 치형으로부터
인상재를 떼어낸 후, 인상재 내에 석고를 부어 넣어 작업 모형을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달성된다.
이때, 임프레션 코핑은 픽업 방식(Pick-Up Type) 및 트랜스퍼 방식(Transfer Type)으로 분류되는데, 픽업 방식[0005]
의 임프레션 코핑은 경화된 인상재에 매립된 상태로 인상재와 함께 시술 대상자의 치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임프
레션 코핑을 말하며, 트랜스퍼 방식의 임프레션 코핑은 경화된 인상재가 시술 대상자의 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픽스츄어에 결속된 상태로 남아 있는 임프레션 코핑을 말한다.
등록특허 10-1067484
- 4 -
이 중 트랜스퍼 방식의 임프레션 코핑은, 가이드핀의 존재여부에 따라 다시 원피스 타입(1 Piece Type) 임프레[0006]
션 코핑과 투피스 타입(2 Piece Type) 임프레션 코핑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원피스 타입 임프레션 코핑은 몸체
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임프레션 코핑을 말하며, 투피스 타입 임프레션 코
핑은 몸체를 관통하여 마련되는 가이드핀을 이용하여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임프레션 코핑을 말한다.
하지만 종래의 트랜스퍼 방식의 임프레션 코핑은 몸체의 상면 또는 가이드핀의 상면에 공구가 삽입되기 위한 공[0007]
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 인상재를 도포, 경화시키면 공구삽입홈에 인상재가 스며들고 결국 경
화된 인상재 자체에 공구삽입홈의 형상에 의해 형성된 돌기가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트랜스퍼 방식의 임프레션 코핑은 픽스츄어 및 임프레션 코핑이 결합된 상태에서 인상재를 분리시키며, 분[0008]
리된 인상재에 다시 임프레션 코핑을 재 체결하고, 임프레션 코핑의 하단부에 랩 아날로그를 체결하는 방법에
따라 시술이 진행되게 되는데, 이 경우 종래의 트랜스퍼 방식의 임프레션 코핑은 공구삽입홈의 형상에 의해 형
성된 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인상 채득 후 경화된 인상재에 임프레션 코핑을 재 체결할 때 돌기를 삭제한 후
재 체결하게 되어 재 체결과정이 불편하고 기공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트랜스퍼 방식의 임프레션 코핑은 경화된 인상재를 시술 대상자의 치형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0009]
에서 회전 방향 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인상재에 임프레션 코핑을 재 체결하는 경우 재 체결방향을 정확하게
잡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화된 인상재에 간편하게 재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상 채득 시 인상재 내에서 임프레션 코핑[0010]
의 회전 방향 유동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인상 채득을 달성할 수 있는 임프레션 코핑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
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경화된 인상재에 간편하게 재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상 채득 시 인상재 내에서 임프[0011]
레션 코핑의 회전방향 유동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인상 채득을 달성할 수 있는 임프레션 코핑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회전기구와 물림결합을 위해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0012]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중심에 대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입홈이 형
성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테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몸체부는,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마련되는 상기 복수 개의 인입홈을 한정하는 복수 개의 외측면;[0013]
및 상기 복수 개의 외측면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외측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인입홈은 제1 인입홈 및 제2 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외측면은 상기 제1 인입홈을[0014]
한정하는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인입홈을 한정하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면은 일측 방
향에서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제2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1 연결면 및 타측 방향에서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제2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중심을 지나되 상기 제1 연결면과 상기 제2 연결면을 교차하는 Y축 방향[0015]
에 대해 대칭형이며, 상기 Y축 방향에 직교하는 X축 방향에 대해 비대칭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면의 원주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연결면의 원주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0016]
상기 제2 몸체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0017]
코핑은 상기 제1 연결면에 동축적으로 상기 제1 연결면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3 외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제1 몸체부를 오목한 곡면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0018]
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오목한 곡면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067484
- 5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심에 대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입홈이 형성되며 중앙영역을 관통[0019]
하여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중앙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하여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핀은, 회전기구와 물림결합을 위해 상측으로 갈수록 외
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몸체부의 상
단부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제1 몸체부는,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마련되는 상기 복수 개의 인입홈을 한정하는 복수 개의 외측면;[0020]
및 상기 복수 개의 외측면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외측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인입홈은 제1 인입홈 및 제2 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외측면은 상기 제1 인입홈을[0021]
한정하는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인입홈을 한정하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면은 일측 방
향에서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제2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1 연결면 및 타측 방향에서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제2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중심을 지나되 상기 제1 연결면과 상기 제2 연결면을 교차하는 Y축 방향[0022]
에 대해 대칭형이며, 상기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에 대해 비대칭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면의 원주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연결면의 원주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0023]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은, 상기 제1 연결면과 동축적으로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단부 외주면으로부[0024]
터 돌출 형성되는 물림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0025]
코핑은, 상기 제1 연결면에 동축적으로 상기 제1 연결면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3 외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오목한 곡면으로 연결하는 연결[0026]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효 과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헤드부 및 중심에 대해 방사형으로[0027]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입홈이 형성되는 제1 몸체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을 제공함으로써,
경화된 인상재에 간편하게 재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상 채득 시 인상재 내에서 임프레션 코핑의 회전
방향 유동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인상 채득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0028]
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 시[0029]
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A-A 선에 따른 도 4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이하, '임프레션 코핑[0030]
(100)'이라 함)은 원피스 타입(1 Piece Type) 트랜스퍼 방식(Transfer Type)의 임프레션 코핑(100)으로서, 헤
드부(110)와, 헤드부(1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몸체부(120)와, 제1 몸체부(12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되는 제2 몸체부(130)와, 제2 몸체부(13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픽스츄어(미도시)에 결합되는 테일부(140)
를 포함한다.
헤드부(110)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며 후술하는 회전기구(10)와 물림결합되[0031]
어 회전기구(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회전기구(10)의 내주면은 헤드부(11
0)의 외주면에 물림결합될 수 있도록 헤드부(110) 외주면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등록특허 10-1067484
- 6 -
이에 따라 헤드부(110)는 회전기구(10)에 물림결합되어 회전기구(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된다(도 4
참조).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몸체부(120)는 헤드부(1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중심에 대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입홈[0032]
(120a, 120b)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20)는 헤드부(110)의 하측으로부터
제2 몸체부(130)의 상측으로 곡면을 이루며 연장된다. 제1 몸체부(120)는 제1 인입홈(120a)을 한정하는 제1 외
측면(121)과, 제2 인입홈(120b)을 한정하는 제2 외측면(122)과, 일측 방향에서 제1 외측면(121) 및 제2 외측면
(122)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면(123)과, 타측 방향에서 제1 외측면(121) 및 제2 외측면(122)을 상호 연결하
는 제2 연결면(124)을 포함한다.
제1 외측면(121) 및 제2 외측면(122)은 각각 제1 몸체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곡면을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는[0033]
구성이며,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은 각각 제1 외측면(121)과 제2 외측면(122)의 일측 및 타측을
곡면을 이루며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면(123)의 원주방향의 길이(L1)는 제2 연결면(124)의 원주방향[0034]
의 길이(L2)보다 작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 몸체부(120)는 제1 몸체부(120)의 중심을 지나되 제1 연결면
(123)과 제2 연결면(124)과 교차하는 Y축 방향에 대해 대칭형이며, Y축 방향에 직교하는 X축 방향에 대해 비대
칭형으로 마련된다. 즉 제1 연결면(123)의 원주방향의 길이와 제2 연결면(124)의 원주방향의 길이는 상호 다르
게 형성됨으로써 제1 몸체부(120)는 전체적으로 X축 방향에 대해 비대칭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처럼 제1 몸체부(120)의 형상을 X축 방향에 대해 비대칭형으로 하는 이유는 경화된 인상재에 임프레션 코핑[0035]
(100)을 재 체결하는 경우 임프레션 코핑(100)의 시인성과 방향성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인상재 내에 임프레션
코핑(100)을 간편히 재 체결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트랜스퍼 방식의 임프레션 코핑(100)은, 픽스츄어에 결합된 임프레션 코핑(100)에 인상[0036]
재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후, 임프레션 코핑(10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경화된 인상재를 분
리시키고, 픽스츄어로부터 분리한 임프레션 코핑(100)을 인상재에 다시 결합시키는 재 체결과정을 밟게 되는데,
종래의 임프레션 코핑은 인상재 내로 결합되는 임프레션 코핑의 결합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구성을 갖추고 있지
못하므로 이러한 결합과정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100)은 제1 몸체부(120)를 X축 방향에 대해 비대칭형으로 마련함으[0037]
로써 작업자가 인상재 내로 결합되는 임프레션 코핑(100)의 결합방향을 분명하게 인식한 상태에서 재 체결과정
을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재 체결과정이 편리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제1 인입홈(120a)은 제1 연결면(123), 제2 연결면(124) 및 제1 외측면(121)에 의하여 구획되는 부분이며,[0038]
마찬가지로 제2 인입홈(120b)은 제1 연결면(123), 제2 연결면(124) 및 제1 외측면(121)에 의하여 구획되는 부분
이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인입홈(120a) 및 제2 인입홈(120b)을 구획하는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0039]
(124)은 각각 곡면으로 마련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제1 인입홈(120a) 및 제2 인입홈(120b)의 형상도 일측부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은 직선면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인입홈(120a) 및 제2 인입홈(120b)의 형상
또한 직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입홈(120a) 및 제2 인입홈(120b)은 각각 인상재 내에서 임프레션 코핑(100)의 회전 방향 유동을 최소화함[0040]
으로써 정확한 인상 채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제2 몸체부(130)는 제1 몸체부(12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0041]
형상을 갖는 구성이며, 테일부(140)는 제2 몸체부(13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제2 몸체부(130)는 제1 몸체부(120)와 테일부(140)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테일부(140)가 픽스츄[0042]
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며, 테일부(140)는 임프레션 코핑(100)이 픽스츄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
부에 형성되는 나사산(141)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즉 테일부(140)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서는 픽스츄어의 내주면
에 형성된 나사산(미도시)에 대응되는 나사산(141)이 형성되며, 테일부(140)와 픽스츄어는 이러한 나사산(141)
을 통해 상호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100)은 헤드부(110), 제1 몸체부(120), 제2 몸체부(130) 및 테일부(140)가 일체로[0043]
등록특허 10-1067484
- 7 -
마련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임프레션 코핑(100)은 전체적으로 부드
러운 곡면 형상의 외주면을 갖도록 제작됨으로써 픽스츄어에 임프레션 코핑(100)을 결합시키거나 픽스츄어로부
터 임프레션 코핑(100)을 분리시키는 경우 힘이 어느 한 지점에 집중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
을 갖는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100)은 헤드부(110)와 제1 몸체부(120)를[0044]
연결하는 제1 연결부(150)와, 제1 몸체부(120)와 제2 몸체부(13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160)와, 제1 연결면
(123)에 동축적으로 제1 연결면(123)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3 외측면(170)을 더 포함한다.
제1 연결부(150)는 헤드부(110)와 제1 몸체부(120)를 오목한 곡면으로 연결하는 구성이며, 제2 연결부(160)는[0045]
제1 몸체부(120)와 제2 몸체부(130)를 오목한 곡면으로 연결하는 구성이고, 제3 외측면(170)은 제1 연결면(12
3)에 동축적으로 제1 연결면(123)의 하측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과 마찬가지로, 제1 연결부(150), 제2 연결부(160) 및 제3 외측면(170)은[0046]
각각 경화된 인상재에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100)을 재 체결하는 경우 임프레션 코핑(100)의 시인성과 방
향성을 명확하게 하여 체결방향을 명확히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프레션 코핑(100)을 인상재 내에 간편하
게 재 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100)은 제1 연결면(123), 제2 연결면(124) 및 제3 외측면(170) 등을 통해 임프레션[0047]
코핑(100)의 시인성과 방향성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인상재에 임프레션 코핑(100)을 간편히 체결할 수 있는 장점
을 갖는다.
이제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100)의 사용방법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0048]
다.
먼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의 상단에 임프레션 코핑(100)을 위치시키고 테일부(140)에 형성된 나사산(14[0049]
1)을 통해 픽스츄어에 임프레션 코핑(100)을 결합시킨다. 종래의 임프레션 코핑과 달리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100)은 헤드부(110)의 상면에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별도로 제작되는 회전기구
(10)를 통해 헤드부(110)와 이에 일체로 연결된 제1 몸체부(120), 제2 몸체부(130) 및 테일부(140)를 회전시키
게 된다.
즉, 헤드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에 대응되는 테이퍼진 내주면을 갖는 회전기구(10)를 헤드부[0050]
(110)에 물림결합시킨 뒤 회전기구(10)를 회전시킴으로써 임프레션 코핑(100)을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임프레
션 코핑(100)과 픽스츄어를 나사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회전기구(10)의 테이퍼진 내주면은 헤드부(110)의 테이퍼진 외주면에 물림결합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0051]
코핑(100)은 슬립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기구(10)의 회전에 따라 픽스츄어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회전기구(10)에 형성된 관통공(10a)을 이용하여 회전기구(10)를 임프레션 코핑(100)으로부터 분리[0052]
시키고, 임프레션 코핑(100)의 주위에 인상재를 도포하며, 도포된 인상재가 경화될 때까지 일정시간 동안 기다
린 후 인상재가 경화되면 임프레션 코핑(100)으로부터 경화된 인상재를 떼어낸다. 이때, 임프레션 코핑(100)은
픽스츄어에 그대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임프레션 코핑(10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인상
재만이 임프레션 코핑(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인상재를 임프레션 코핑(100)으로부터 분리한 뒤에는, 다시 회전기구(10)를 헤드부(110)에 물림결합시키고 이를[0053]
회전시킴으로써 픽스츄어로부터 임프레션 코핑(100)을 분리시킨다. 이후 분리된 임프레션 코핑(100)을 인상재
내에 재 체결하게 되며, 이 경우 작업자는 제1 연결면(123), 제2 연결면(124) 및 제3 외측면(170) 등을 통해 임
프레션 코핑(100)의 시인성과 방향성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인상재에 임프레션 코핑(100)을 간편히
재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인상재와 임프레션 코핑(100)의 재 체결을 완료한 뒤에는, 임프레션 코핑(100)에 랩 아날로그를 끼우고 인상재[0054]
내에 석고를 부어 최종적으로 작업 모형을 완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100)은 시인성과 방향성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제1 연결면(123), 제2 연결면(124)[0055]
및 제3 외측면(170)과,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지 않는 헤드부(110)를 통해 인상재에 간편하게 재 체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상 채득 시 인상재 내에서 임프레션 코핑(100)의 회전 방향 유동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인상 채
득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등록특허 10-1067484
- 8 -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정면도이며, 도 7은 A-A선에 따른 도 6[0056]
의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이하, '임프레션 코핑[0057]
(200)'이라 함)은 투피스 타입(2 Piece Type) 트랜스퍼 방식(Transfer Type)의 임프레션 코핑(100)으로서, 중
앙영역을 관통하여 제1 관통홀(210c)이 형성되는 제1 몸체부(210)와, 제1 몸체부(2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중앙영역을 관통하여 제1 관통홀(210c)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220c)이 형성되는 제2 몸체부(220)와, 제1 관통
홀(210c) 및 제2 관통홀(220c)을 관통하여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가이드핀(230)을 포함한다.
제1 몸체부(210)는 제1 인입홈(210a)을 한정하는 제1 외측면(211)과, 제2 인입홈(210b)을 한정하는 제2 외측면[0058]
(212)과, 일측 방향에서 제1 외측면(211) 및 제2 외측면(212)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면(213)과, 타측 방향에
서 제1 외측면(211) 및 제2 외측면(212)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연결면(미도시)을 포함한다.
제1 외측면(211), 제2 외측면(212), 제1 연결면(213) 및 제2 연결면(미도시)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0059]
의 제1 외측면(121), 제2 외측면(122),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
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몸체부(220)는 제1 몸체부(2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0060]
을 갖는 구성으로, 그 하단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물림 돌기(221)가 마련된다.
물림 돌기(221)는 제2 몸체부(130)의 하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0061]
3개가 마련된다. 다만, 물림 돌기(22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사항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물림 돌기(221)의 개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3개의 물림 돌기(221)는 제2 몸체부(220)가 픽스츄어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픽스츄어의 내측면에 형성된 3개[0062]
의 물림홈(미도시)과 맞물리게 되는데, 이에 의해 임프레션 코핑(200)의 픽스츄어에 대한 결합 위치가
결정되고, 후술할 가이드핀(230)을 사용하여 임프레션 코핑(200)을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결속 시 픽스츄
어에 대한 임프레션 코핑(200)의 결합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3개의 물림 돌기(221) 중 어느 하나는 제1 연결면(213)과 동축적으로 제2 몸체부(220)의 하단부에 마련됨[0063]
으로써 픽스츄어에 대한 임프레션 코핑(200)의 결합위치를 간편히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2 몸체부(220)의 외주면에는 3개의 물림 돌기(221)가 돌출 형성되는 것 대신에 3개의[0064]
물림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픽스츄어의 내측면에는 3개의 물림 돌기(미도시)가 돌출 형
성되어야 한다.
한편, 가이드핀(230)은 제1 몸체부(210)의 제1 관통홀(210c)과 제2 몸체부(220)의 제2 관통홀(220c)을 관통하여[0065]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결합됨으로써 임프레션 코핑(200)과 픽스츄어를 상호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테이퍼
부(231)와, 테이퍼부(23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32)와,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부
(233)를 포함한다.
테이퍼부(231)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부분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헤드부[0066]
(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임프레션 코핑과 달리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200)은 가이드핀(230)의 상면에 공구삽입홈이 형성되[0067]
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회전기구(10)를 통해 테이퍼부(231)와 이에 일체로 마련된 연
장부(232) 및 삽입부(233)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테이퍼부(231)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에 대응되는 테이퍼진 내주면을 갖는 회전기구(10)를 테이퍼[0068]
부(231)에 물림결합시킨 뒤 회전기구(1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핀(230) 전체를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가이
드핀(230)을 픽스츄어에 나사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200)은 종래의 임프레션 코핑과 달리 가이드핀에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0069]
경화된 인상재 내에 공구삽입홈에 의해 형성된 돌기가 돌출되지 않게 되어 인상재에 임프레션 코핑(200)을 재
체결하는 경우 재 체결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연장부(232)는 테이퍼부(231)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제1 몸체부(210)의 상단부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0070]
성되며, 삽입부(233)는 제1 몸체부(210)의 상면을 커버하는 단턱(233a)이 형성되도록 연장부(232)로부터 하측으
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삽입부(233)의 하단부에는 픽스츄어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233
등록특허 10-1067484
- 9 -
b)이 형성되어 가이드핀(230)과 픽스츄어 상호 간을 나사결합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200)은 제1 몸체부(210)와 제2 몸체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240)와, 제1[0071]
연결면(213)과 동축적으로 제1 연결면(213)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3 외측면(250)을 더 포함한다.
연결부(240) 및 제3 외측면(250)에 관한 사항과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200)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사항[0072]
은 각각,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2 연결부(160) 및 제3 외측면(170)에 관한 사항과 제1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
(100)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임프레션 코핑(200)은 시인성과 방향성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제1 연결면(213), 제2 연결면(미도[0073]
시) 및 제3 외측면(250)과,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지 않는 가이드핀(230)의 테이퍼부(231)를 통해 경화된 인상재
에 간편하게 재 체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상 채득 시 인상재 내에서 임프레션 코핑(200)의 회전 방향 유
동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인상 채득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0074]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
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정면도이다.[0075]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평면도이다.[0076]
도 3은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저면도이다.[0077]
도 4는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사용상태도이다.[0078]
도 5는 A-A 선에 따른 도 4의 단면도이다.[0079]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정면도이다.[0080]
도 7은 A-A선에 따른 도 6의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단면도이다.[008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0082]
100, 200 : 임프레션 코핑 110 : 헤드부[0083]
120 : 제1 몸체부 130 : 제2 몸체부[0084]
140 : 테일부 150 : 제1 연결부[0085]
160 : 제2 연결부 230 : 가이드핀[0086]
231 : 테이퍼부 232 : 연장부[0087]
233 : 삽입부[0088]
등록특허 10-1067484
- 10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067484
- 11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067484
- 12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067484
- 13 -
도면6
등록특허 10-1067484
- 14 -
도면7
등록특허 10-1067484
- 15 -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operation)
2018. 3. 21. 2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