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09월07일
(11) 등록번호 10-1775776
(24) 등록일자 2017년08월3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45D 34/04 (2006.01) A45D 40/26 (2006.01)
(52) CPC특허분류
A45D 34/048 (2013.01)
A45D 40/26 (2013.01)
(21) 출원번호 10-2015-0084715
(22) 출원일자 2015년06월16일
심사청구일자 2015년06월16일
(65) 공개번호 10-2016-0148146
(43) 공개일자 2016년12월26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20110009049 U
KR200462943 Y1
KR1020120091726 A
KR2020110009032 U
(73) 특허권자
변준민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도약로 261 대우테크노파크
A동1108호
(72) 발명자
변준민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도약로 261 대우테크노파크
A동1108호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김계준
(54) 발명의 명칭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57) 요 약
본 고안은 제품 사용시 내용물을 토출하게 하는 동작인 펌프운동으로 진공용기(13)를 회전시켜 용기 내부에 수용
된 침전 가능성이 있는 기능성화장품 또는 저점도 화장품 내용물을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부(14)가 교반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인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대 표 도
등록특허 10-1775776
- 1 -
(52) CPC특허분류
B65D 25/02 (2013.01)
B65D 47/00 (2013.01)
B65D 81/2007 (2013.01)
등록특허 10-1775776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진공용기(13)는 진공용기 상부 회전지지 홈(13d)과 진공용기 하부 회전지지 홈(13e)에 의해 하부커버(12)와 외
부용기(17)에 완전고정이 아닌 회전이 가능한 용기에 지지되는 형태로 조립이 되고,
외부용기(17)에 교반축(16)이 진공용기 고정 패킹(15)을 통하여 고정된 형태로 조립되어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
부(14)와 결합되며,
화장품용기의 작동은 토출캡(2)을 누르면 펌프상캡(4)의 펌프상캡 회전작동축(4a)을 통하여 펌프상캡 회전작동
면(4b)이 진공용기(13)의 진공용기 회전동작 경사면(13a)을 따라 미끄러져 진공용기 역회전방지 직각면(13b)에
고정되어 밀어 줌으로서 진공용기(13)의 회전운동을 작동하게 하며
펌프상캡 회전작동축(4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펌프상캡 회전작동축 이탈방지부(13c)를 설치하여 회전운동
을 돕는,
화장품용기를 사용시 토출캡(2)을 누르면 이와 결합된 펌프상캡 회전작동축(4a)을 통하여 진공용기(13)가 회전
하게 되며 내부에 고정된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부(14)에 의해 내용물이 교반하게 되어 안정화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계발은 선행기술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출원번호 10-2015-0004405) 에 응용 기술에[0001]
관한 것으로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출원번호 10-2015-0004405) 의 사용동작인 수동으
로 용기의 하부를 돌려 교반 시키는 방법이 아닌 내용물의 퇴출동작인 펌핑 운동으로 내부용기를 자동으로 회전
시켜 내용물을 교반하여 제품사용의 편의성을 높인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
다.
배 경 기 술
대표적인 화장품은 기초 화장품, 색조 화장품, 기능성 화장품으로 분류되고 화장품의 용도와 특성에 따라 점도[0002]
를 갖는 액상이나 겔 형태 또는 고형이나 분말의 형태로 제작된다.
기능성 화장품에 속하는 천연, 발효 화장품은 기존의 화학적 첨가물을 포함한 제품과 달리 이를 일체 포함하지[0003]
않는 친환경 제품이다.
등록특허 10-1775776
- 3 -
용기에 담겨 판매된 기능성 화장품은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비중을 서로 달리하는 원료와 기제가 균일하게[0004]
혼합되지 않는 현상과 함께 바닥에 침전된다.
일반적인 화장품용기도 사용 전에 일시적이지만 화장품 용기를 흔들어 혼합시킨 후 사용하게 되며 이는 공기중[0005]
의 산소와 내용물이 접촉 혼합되면서 화장품의 안정성과 기능성 저하로 이어진다.
이로 인하여 공기중의 기제와 사용 전 화장품의 접촉에 대한 단절이 가능하여 안정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는 진[0006]
공용기의 사용은 생각조차 할 수 없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전 가능성이 있는 기능성화장품을 공기중의 기제와[0007]
사용 전 화장품의 접촉에 대한 단절이 가능하여 안정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는 진공용기를 사용하는 데에 그 목
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0008]
일반 진공용기(A100) 내부에 있는 진공용기(A101)와 진공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진공작동부(A102)로 구성된 용기[0009]
에 있어서,
진공작동부(A102)를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부(14)의 형태로 변형하여 교반축(16)에 지지되고 화장품을 사용하는[0010]
동작인 토출캡(2)을 누르는 동작에서
토출캡(2)에 결합된 펌프상캡 회전작동축(4a)의 펌프상캡 회전작동면(4b)이 진공용기(13)의 진공용기 회전동작[0011]
경사면(13a)을 따라 미끌어 지다가
진공용기 역회전방지 직각면(13b)에 걸려 진공용기를 밀어줌으로서 펌프 작동시 내부의 진공용기가 회전함으로[0012]
서 고정되어있는 교반부(14)에 화장품이 걸리는 형태로
화장품을 교반이 가능하게 함으로 진공용기를 침전 가능성이 있는 기능성화장품에 사용하여 목적을 달성한다.[0013]
발명의 효과
본 고안은 제품 사용시 내용물을 토출하게 하는 동작인 펌프운동으로 진공용기(13)를 회전시켜 용기 내부에 수[0014]
용된 침전 가능성이 있는 기능성화장품 또는 저점도 화장품 내용물을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부(14)가 교반함으로
써 사용자가 안정적인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면 1은 선행기술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출원번호 10-2015-0004405)의 종래 를 도시[0015]
한 도면이고,
도면 2 , 도면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
등록특허 10-1775776
- 4 -
면이고,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의 펌핑시 접촉하여 회전되는 부분을
설명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0016]
도면2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0017]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는 외부용기캡(1), 토출캡(2), 상부커버(3),[0018]
펌프상캡(4), 펌프부품1(5), 펌프부품2(6), 펌프부품3(7), 펌프부품4(8), 펌프부품5(9), 펌프용기(10), 펌프고[0019]
정패킹(11), 하부커버(12), 진공용기(13),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부(14), 진공용기 고정 패킹(15), 교반축(16),
외부용기(17) 로 구성되어 있다.
진공용기는 진공용기(A101)의 하부에 움직이는 진공작동부(A102)를 결합한 후 화장품을 담아 진공펌프(2~10),[0020]
펌프고정패킹(11), 하부커버(12)을 결합하여 공기를 차단 밀패하여 진공상태를 만들며
토출캡(2)를 통하여 화장품을 배출시 빠져나간 내용물의 공간만큼 진공작동부(A102)가 상승하여 진공상태를 유[0021]
지시켜주는 형태이다.
진공용기(A101)의 하부에 움직이는 진공작동부(A102)는 제품을 사용시 빠져나간 내용물의 공간만큼 진공작동부[0022]
(A102)가 상승하여 진공상태를 유지시켜주는 형태이기 때문에,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의 진공작동부(B201)를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부의 사용중 예제[0023]
(C301)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스프링 형태로 제작한다.
진공용기(13) 회전운동의 구동은 진공용기 상부 회전지지 홈(13d)과 진공용기 하부 회전지지 홈(13e)에 의해 하[0024]
부커버(12)와 외부용기(17)에 완전고정이 아닌 회전이 가능한 지지되는 형태로 조립이 되고,
외부용기(17)에 교반축(16)이 진공용기 고정 패킹(15)을 통하여 고정된 형태로 조립되어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0025]
부(14)와 결합되며,
화장품용기의 작동은 토출캡(2)을 누르면 펌프상캡(4)의 펌프상캡 회전작동축(4a)을 통하여 펌프상캡 회전작동[0026]
면(4b)이 진공용기(13)의 진공용기 회전동작 경사면(13a)을 따라 미끄러져 진공용기 역회전방지 직각면(13b)에
고정되어 밀어 줌으로서 진공용기(13)의 회전운동을 작동하게 하며
펌프상캡 회전작동축(4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펌프상캡 회전작동축 이탈방지부(13c)를 설치하여 회전운동[0027]
을 돕는다.
화장품용기를 사용시 토출캡(2)을 누르면 이와 결합된 펌프상캡 회전작동축(4a)을 통하여 진공용기(13)가 회전[0028]
등록특허 10-1775776
- 5 -
하게 되며 내부에 고정된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부(14)에 의해 내용물이 교반하게 되어 안정화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0029]
제품의 사용으로 인하여 진공작동부가 상승하여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부(14)의 형태가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부[0030]
의 사용중 예제(C301)의 상태가 되어도 교반이 가능함으로 마지막까지 안정화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0031]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0032]
야 한다.
부호의 설명
도면1[0033]
A100 : 일반 진공용기
A101 : 진공용기
A102 : 진공작동부
B200 : 진공교반용기
B201 : 진공교반용기의 진공작동부
C300 : 진공교반용기의 사용중 예제
C301 :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부의 사용중 예제
도면2
1 : 외부용기캡
2 : 토출캡
3 : 상부커버
4 : 펌프상캡
5 : 펌프부품1
6 : 펌프부품2
7 : 펌프부품3
8 : 펌프부품4
9 : 펌프부품5
10 : 펌프용기
11 : 펌프고정패킹
12 : 하부커버
13 : 진공용기
14 : 나선형 접어지는 교반부
15 : 진공용기 고정 패킹
16 : 교반축
17 : 외부용기
등록특허 10-1775776
- 6 -
도면3
4a : 펌프상캡 회전작동축
4b : 펌프상캡 회전작동면
13a: 진공용기 회전동작 경사면
13b: 진공용기 역회전방지 직각면
13c: 펌프상캡 회전작동축 이탈방지부
13d: 진공용기 상부 회전지지 홈
13e: 진공용기 하부 회전지지 홈
도면
도면1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775776
- 7 -
도면4
등록특허 10-1775776
- 8 -
진공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이 가능한 화장품용기(Vacuum Agitation Vessel)
2018. 3. 21. 2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