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Shutter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04월21일
(11) 등록번호 10-1387794
(24) 등록일자 2014년04월15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G07F 19/00 (2006.01) G07D 9/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129503
(22) 출원일자 2007년12월13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11월30일
(65) 공개번호 10-2009-0062327
(43) 공개일자 2009년06월1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40038768 A
JP07257805 A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여의도동)
(72) 발명자
이승종
인천광역시 남동구 운연로140번길 3 (운연동)
(74) 대리인
서교준
전체 청구항 수 : 총 8 항 심사관 : 배성주
(54) 발명의 명칭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체가 집적되기 위한 집적공간(34)이 형성
되는 집적프레임(30)과; 상기 집적프레임(30)의 상부에 형성된 매체입구(31)를 통해 상기 집적공간(34)에 매체를
인입시키는 인입롤러(36)와; 상기 집적프레임(3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42)와; 상기 인입롤
러(36)에 의해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고, 매체의 장수에 따라 상기 고정플레이트(42)에 대해 상대이동하면서 매체
가 안정적으로 집적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44)와; 상기 매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매체입구(31)와의 거리를 조
절하여 매체를 상기 집적프레임(30)의 내측면에 정렬시키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진 매체가 인입되더라도 가이드판에 충돌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진
매체와 일단이 일치하도록 정렬되므로 매체가 고르게 집적되는 효과가 있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387794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매체가 집적되기 위한 집적공간이 형성되는 집적프레임과;
상기 집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매체입구를 통해 상기 집적공간에 매체를 인입시키는 인입롤러와;
상기 인입롤러에 의해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고, 매체의 장수에 따라 이동하면서 매체가 안정적으로 집적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매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매체입구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매체를 상기 집적프레임의 내측면에 정렬시키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매체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매체입구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
집적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집적부는,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매체입구와의 거리가 조절되고, 전면에는 매체의 충격을 완
화시키기 위한 댐퍼가 구비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집적부는,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가이드판으로 전달하기 위한 연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매체자동
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청구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구동원의 구동축에 구비된 구동풀리에 걸어지는 구동벨트와;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벨트가 걸어지는 구동풀리가 구비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에 구비되는 구동링크를 포함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청구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롤러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롤러축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롤러와 협력하여 상기
매체를 인입시키며, 상기 시트롤러축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날개가 구비되어 매체의 상면을 쳐주는 시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에는 슬롯롤러가 슬롯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롯롤러는 상기 가이드브라
켓에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따라 안내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등록특허 10-1387794
- 2 -
청구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링크에는 상기 슬롯롤러축에 삽입되는 연동공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
적장치.
청구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가 정렬된 일단에 인접한 상기 집적프레임의 하부에는 매체출구가 형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
적장치.
청구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프레임에서 상기 매체입구 및 매체출구에 해당하는 부분은 라운드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매체자동지
급기의 매체집적장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자동지급기 내에 구비되는 일시집적부 및 지폐[0001]
저장부 등에 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매체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매체자동지급기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지폐 등의 매체를 취급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매체자동지급기는 은행,[0002]
관공서, 학교 등에 설치되어 다양한 매체를 취급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Media)라는 용어는 예
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
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매체자동지급기의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매체자동지급기에는 고객이 지폐를 입출금할 수 있는 입출금[0003]
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입출금부에 입금된 지폐를 이송하는 매체이송부가 구비되고, 상기 매체이송부를
통과한 매체는 인식부에서 지폐의 권종과 크기 등이 인식된다. 상기 인식부에서 이상이 발견된 지폐는 매체이송
부를 통하여 고객에게 반환되거나 회수부로 이동하여 보관하게 된다. 한편, 정상적인 지폐는 다시 매체이송부를
거쳐 일시집적부에 임시로 보관되거나 지폐저장부로 저장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매체집적장치는 일반적으로
상기 일시집적부 및 지폐저장부에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0004]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집적장치의 외관은 집적프레임(1)이 형성한다. 본 도면에는 내부 구성을 도시하[0005]
기 위해 집적프레임(1)의 일부만 도시한 것이고, 도시된 집적프레임(1)의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별도의 집적
프레임(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이 부분을 측면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이라 명명한다.
상기 집적프레임(1)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는 라운드부(1')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적프레임(1)의 상부 일측에는 매체가 인입되는 매체입구(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적프레임(1)의[0006]
하부 일측에는 매체가 배출되는 매체출구(3)가 형성된다. 상기 집적프레임(1)의 내부에는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
공간(4)이 형성된다. 상기 집적공간(4)은 상기 매체입구(2) 및 매체출구(3)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매체입구(2)에 인접한 부분에는 인입롤러(6)가 설치된다. 상기 인입롤러(6)는 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되는[0007]
인입롤러축(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인입롤러(6)는 매체에 밀착되어 매체가 상기 집적공간(4)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인입롤러(6)의 하부에는 시트롤러(8)가 설치된다. 상기 시트롤러(8) 또한 상기 인입롤러(6)와 마찬[0008]
등록특허 10-1387794
- 3 -
가지로 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되는 시트롤러축(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시트롤러(8)는 아래에서 설
명될 지지플레이트(14)에 매체가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롤러축
(8')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날개(10)가 와선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날개(10)는 상기 인입롤러(6)에 인입된 매
체가 지지플레이트(14)에 집적될 수 있도록 매체의 상면을 쳐주게 된다.
상기 집적프레임(1)의 상부에는 고정플레이트(1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2)는 상기 집적프레임(1)에[0009]
고정되게 설치되어 매체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집적프레임(1)의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14)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는[0010]
실질적으로 매체가 인입되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는 상기 집적프레임(1)중 상기 매체입구
(2)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2)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와[0011]
고정플레이트(12)의 거리는 매체가 인입되어 지지플레이트(14)에 떨어져 안착될 때 매체가 일정각도이상으로 회
전되지 않을 정도로 설계된다. 이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매체의 인입되는 장수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매
체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0012]
우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폐에서 상대적으로 긴 부분을 길이라고 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을 폭이라고 정[0013]
의한다. 기존에 국내에서 사용되는 지폐(구권)중에 만원권의 경우 그 폭은 대략 76㎝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구권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신권이 발매되면서 구권과 신권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신권 중에 만원권의 경
우 대략 그 폭은 대략 68㎝이다.
상술한 매체집적장치는 구권의 크기에 맞추어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신권이 인입될 경우 고르게 지폐가 집적되[0014]
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구권 사이에 신권이 집적될 때 신권이 좌우방향으로 틀어진 상태로 집적되
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예로 설명한 신권뿐만 아니라 외화의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
진 지폐는 안정적으로 집적되지 않아 지폐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지폐가 좌우가 과도하게 틀어진 상태로 집적되는 것을 스큐(Skew) 현상이라고 하는데, 스큐현상이 일어날[0015]
경우 배출시에 지폐가 정확하게 인식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0016]
진 매체가 고르게 집적될 수 있는 매체집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매체가 집적되기 위한 집적공간이[0017]
형성되는 집적프레임과; 상기 집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매체입구를 통해 상기 집적공간에 매체를 인입시키는
인입롤러와; 상기 집적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인입롤러에 의해 인입된 매체
가 집적되고, 매체의 장수에 따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이동하면서 매체가 안정적으로 집적되도록 하
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매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매체입구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매체를 상기 집적프레임의 내
측면에 정렬시키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매체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되는 동력을[0018]
전달받아 상기 매체입구와의 거리가 조절하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집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가변집적부는,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동수단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설[0019]
치되어 상기 연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매체입구와의 거리를 조절하고, 전면에는 매체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댐퍼가 구비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구동원의 구동축에 구비된 구동풀리에 걸어지는 구동벨트와;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회전[0020]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벨트가 걸어지는 구동풀리가 구비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에 구비되는 구
등록특허 10-1387794
- 4 -
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롤러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롤러축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롤러와 협력하여 상기[0021]
매체를 인입시키며, 상기 시트롤러축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날개가 구비되어 매체의 상면을 쳐주는 시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에는 슬롯롤러가 슬롯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롯롤러는 상기 가이드브라[0022]
켓에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따라 안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링크에는 상기 슬롯롤러축에 삽입되는 연동공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0023]
상기 매체가 정렬된 일단에 인접한 상기 집적프레임의 하부에는 매체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0024]
상기 집적프레임에서 상기 매체입구 및 매체출구에 해당하는 부분은 라운드부가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0025]
다.
효 과
본 발명에서는 인입되는 매체의 크기에 따라 가이드판이 매체입구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매체의 선단이 충돌하는[0026]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진 매체가 인입되더라도 가이드판에 충돌하여 상대적
으로 큰 크기를 가진 매체와 일단이 일치하도록 정렬되므로 매체가 고르게 집적되는 효과가 있다. 이는 결국 매
체가 정상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0027]
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0028]
구성하는 가변집적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집적장치의 외관은 집적프레임(30)이 형성한다. 본 도면에는 내부 구성을[0029]
도시하기 위해 집적프레임(30)의 일부만 도시한 것이고, 도시된 집적프레임(30)의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별도
의 집적프레임(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적프레임(3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매체집적장
치의 외곽틀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이 부분을 측면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이라 명명한다.
상기 집적프레임(30)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는 라운드부(30')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3[0030]
0')에 인접한 상기 집적프레임(30)의 상부에는 매체(m)가 인입되는 매체입구(31)가 형성되고, 상기 집적프레임
(30)의 하부 일측에는 매체(m)가 배출되는 매체출구(3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매체출구(32)는 상기 매체(m)
가 정렬된 일단에 인접한 상기 집적프레임(30)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는 매체(m)가 집적된 상태에서 배출될 때
픽업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집적프레임(30)의 내부에는 매체(m)가 집적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집적공간(34)이 형성된다. 상기 집적공간[0031]
(34)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매체입구(31) 및 매체출구(3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매체입구(31)에 인접한 부분에는 인입롤러(36)가 설치된다. 상기 인입롤러(36)는 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0032]
되는 인입롤러축(3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인입롤러(36)는 매체(m)에 밀착되어 매체(m)가 상기 집적
공간(34)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인입롤러(36)의 하부에는 시트롤러(38)가 설치된다. 상기 시트롤러(38) 또한 상기 인입롤러(36)와[0033]
마찬가지로 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되는 시트롤러축(3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시트롤러(38)는 상기
인입롤러(36)와 협력하여 매체(m)의 인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롤러축(38')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날개
(40)가 와선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날개(40)는 상기 인입롤러(36)에 인입된 매체(m)가 지지플레이트(44)에 집적
될 수 있도록 매체(m)의 상면을 쳐주게 된다.
상기 집적프레임(30)의 상부에는 고정플레이트(4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2)는 상기 집적프레임(30)[0034]
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매체(m)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집적프레임(30)의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44)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4)는[0035]
실질적으로 매체(m)가 인입되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4)는 상기 집적프레임(30)중 상기 매체
등록특허 10-1387794
- 5 -
입구(31)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4)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2)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매[0036]
체(m)가 인입된다는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44)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2)와 일정 거리만큼 떨어지
게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4)와 고정플레이트(42)의 거리는 매
체(m)가 인입되어 지지플레이트(44)에 떨어져 안착될 때 매체(m)가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설계
된다. 이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매체(m)의 인입되는 장수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매체(m)가 안정적으로 안
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집적프레임(30)의 상부에는 개구부(46)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46)를 관통하여[0037]
이동되도록 가변집적부(50)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집적부(50)는 인입되는 매체(m)의 크기에 따라 상기 매체입구
(31)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매체(m)가 보다 깔끔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가변집적
부(5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변집적부(50)의 외관은 가이드브라켓(52)이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52)은 상기 집적프레임(30)의[0038]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략 두 개의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가이드브라켓(52)에는 가이드슬롯(54)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54)은 매체(m)의 인입방향과 같[0039]
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5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롯롤러(60)가 삽입되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브라켓(52)에는 가이드판(56)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판(56)은 매체입구(3[0040]
1)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판(56)은 매체(m)가 인입될 때 매체
(m)의 선단이 충돌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46)를 관통하여 상기 집적공간(34)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구체
적으로, 상기 가이드판(56)은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모터(66)의 구동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데, 매체(m)의 크기에
따라 이동되면서 매체(m)가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판(56)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5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56a)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0041]
(56a)는 한 쌍이 상기 가이드브라켓(52)의 내측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
(56a)의 선단에는 전면부(56b)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부(56b)는 상기 이동부(56a)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56)의 전면부(56b)의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각각 댐퍼(58)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0042]
(58)는 매체(m)가 상기 가이드판(56)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플라스틱판
과 플라스틱판의 배면에 구비된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56)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슬롯(54)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슬롯롤러(60)가 회전가능하게[0043]
구비된다. 상기 슬롯롤러(60)는 상기 가이드판(56)에 구비된 슬롯롤러축(6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
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판(56)의 양측에 각각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롯롤러(60)
중에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슬롯롤러(60)의 슬롯롤러축(6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링크(64)가 회전가능
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52)에는 가이드축(6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축(62)은 구동모터(66)의 동력[0044]
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축(62)에는 구동링크(6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축(62)이
구동모터(66)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구동링크(64)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판(56)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링크(64)에는 상기 슬롯롤러축(60')이 삽입되는 연동공(65)(도 4에 점선으로 표시)
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브라켓(52)의 하방에는 구동모터(66)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66)는 상기 가이드판(56)의[0045]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이다. 상기 구동모터(66)는 매체(m)의 인입 전에 인식부나 센서부 등에
의해 매체(m)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판(56)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
동모터(66)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진 매체(m)가 인입되면 작아진 폭만큼 상기 가이드판(56)이 전방으로 즉,
매체입구(31)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66)에는 구동축(68)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66)가 구동되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0046]
축(68)의 일단에는 구동풀리(68')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풀리(68')에는 구동벨트(70)가 걸어진다. 상기 구동벨
트(70)는 상기 가이드축(62)의 일단에 구비된 구동풀리(62')에 함께 걸어져 상기 구동모터(66)의 동력을 가이드
축(62)에 전달하게 된다.
등록특허 10-1387794
- 6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0047]
한다.
도 4는 지폐중에 상대적으로 폭이 큰 구권이 집적되는 것을 예로 보인 것이다. 우선, 매체(m)가 인입되기 전에[0048]
구동모터(66)는 매체(m)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제어된다. 구권과 같은 매체(m)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66)는 구동을 하지 않게 된다. 물론, 구권이 인입되기 전에 신권이 인입된 경우에는 상기 매체입
구(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판(56)이 이동되도록 구동될 것이다. 매체(m)는 상기 인입롤러(36)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인입된다. 즉, 매체(m)는 상기 인입롤러(36)에 밀착되어 상기 집적공간(34)으로 한 장씩
집적된다. 상기 집적공간(34)으로 인입된 매체(m)는 상기 시트롤러(38)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40)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44)에 고르게 집적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44)는 일정 높이만큼 상승한 상태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4)는 매체(m)가 인입되어[0049]
낙하하는 동안에 매체(m)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높이까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
이트(44)는 매체(m)가 인입될 때마다 하강되면서 매체(m)가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입롤러(36)에 의해 매체(m)가 인입될 때 매체(m)의 선단은 가이드판(56)의 전면에 구비된 댐퍼(58)에 충[0050]
돌하면서 인입되는 힘이 완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44)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매체(m)가 계속하여 인입되
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4)가 상기 집적프레임(30)의 하단까지 하강하게 되면 매체(m)의 집적이 완료된다. 그리
고, 가장 하단에 집적된 매체(m)부터 화살표방향을 통해 집적프레임(30)의 외부로 방출된다.
다음으로, 도 5는 지폐중에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신권이 집적되는 것을 예로 보인 것이다. 우선, 매체(m)가 인[0051]
입되기 전에 구동모터(66)는 매체(m)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제어된다. 신권과 같은 매체(m)가 인입되
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66)는 일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66)가 회전되면 구동축(68), 구동벨
트(7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축(62)이 회전된다. 도 5에서 상기 가이드축(62)은 초기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축(62)이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판(56)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가이드판(56)은 슬롯롤[0052]
러(60)가 가이드슬롯(54)에 안내되면서 상기 매체입구(31)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56)은 구권 및
신권의 폭의 차이만큼 이동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매체(m)는 상기 인입롤러(36)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인입된다. 즉, 매체(m)는 상기 인입롤러(36)에 밀[0053]
착되어 상기 집적공간(34)으로 한 장씩 집적된다. 상기 집적공간(34)으로 인입된 매체(m)는 상기 시트롤러(38)
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40)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44)에 고르게 집적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56)이 상기 매체입구(31)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매체(m)가 인입되기 때문에 매체[0054]
(m)가 상기 지지플레이트(44)에 좌우방향으로 틀어지게 집적되지 않고 상기 집적공간(34)에 고르게 집적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m)의 선단은 상기 댐퍼(58)에 완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4)에 안정적으로 집적된다. 이
와 같이, 매체(m)가 계속하여 인입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4)가 상기 집적프레임(30)의 하단까지 하강하게 되
면 매체(m)의 집적이 완료된다. 그리고, 가장 하단에 집적된 매체(m)부터 화살표방향을 통해 집적프레임(30)의
외부로 방출된다.
마지막으로, 도 6에는 신권과 구권이 임의로 집적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기가 서로 다른 매[0055]
체(m)가 임의로 집적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66)가 매체(m)가 인입되기 전에 미리 매체(m)의 크기와 같은 정보
를 전달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이드판(56)의 이동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매체(m)의 선
단이 충돌하는 지점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적프레임(30)의 내면에 매체(m)의
후단이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매체(m)는 매체출구(32)에 해당하는 집적프레임(30)에 밀착되도록 집적되므로 매체(m)가 배출될 때[0056]
에도 밀착된 후단부터 한 장씩 픽업롤러(도시되지 않음)등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0057]
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
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0058]
등록특허 10-1387794
- 7 -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0059]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0060]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에 의해 구권이 집적되는 것을 보인 측면도.[0061]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에 의해 신권이 집적되는 것을 보인 측면도.[0062]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에 의해 매체가 집적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006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064]
30 : 집적프레임 31 : 매체입구[0065]
32 : 매체출구 34 : 집적공간[0066]
36 : 인입롤러 38 : 시트롤러[0067]
40 : 날개 42 : 고정플레이트[0068]
44 : 지지플레이트 50 : 가변집적부[0069]
52 : 가이드브라켓 54 : 가이드슬롯[0070]
56 : 가이드판 58 : 댐퍼[0071]
60 : 슬롯롤러 62 : 가이드축[0072]
64 : 구동링크 66 : 구동모터[0073]
68 : 구동축 70 : 구동벨트[0074]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387794
- 8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387794
- 9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387794
- 10 -
도면6
등록특허 10-1387794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