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일회용 밀폐용기(DISPOSABLE AIRTIGHT CONTAINER)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19. 16:59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11월13일
(11) 등록번호 10-1460757
(24) 등록일자 2014년11월05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65D 81/34 (2006.01) B65D 77/20 (2006.01)
B65D 43/0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130811
(22) 출원일자 2012년11월19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11월19일
(65) 공개번호 10-2014-0063999
(43) 공개일자 2014년05월28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03175939 A*
KR1020040051677 A*
KR2020120002355 U*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배창현
경기 시흥시 진말로 46, 115동 505호 (장곡동, 우
성아파트)
(72) 발명자
배창현
경기 시흥시 진말로 46, 115동 505호 (장곡동, 우
성아파트)
(74) 대리인
이정현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오주
(54) 발명의 명칭 일회용 밀폐용기
(57) 요 약
본 발명은 일회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라면, 국밥, 커피 등관 같은 인스턴트식품을 포장하는 일회용
용기의 조리시 용기와 뚜껑을 밀폐시켜 조리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회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밀폐용기는, 상단이 개방되어 상부에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4
등록특허 10-1460757
- 1 -
어지고, 상단 외주연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뚜
껑;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뚜껑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주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서 상
기 몸체 상부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돌출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몸체 상부의 내측면에 접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
와; 상기 덮개부의 외주연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 내측의 최소 직경은 상기 돌출부의 최대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
부가 상기 돌출부를 잡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 10-1460757
- 2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상단이 개방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외주연에는 외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뚜껑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주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 상부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돌출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몸체 상부의 내측면
에 접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와;
상기 덮개부의 외주연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걸림
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 내측의 최소 직경은 상기 돌출부의 최대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돌출부를 잡아
주며,
상기 덮개부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의 길이는 상기 걸림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덮개부에 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부 내측의 최소 직경이 증가하고,
상기 뚜껑으로 상기 몸체를 덮을 때,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덮개부를 누른 상태로 상기 밀폐부의 외측면이 상기
몸체의 내측에 접하도록 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덮개부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덮개부는
다시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기압과 외부의 기압이 서로 달라지게 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압력유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압력유지공은 종이 또는 필름으로 밀폐되어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면 뚫어지면서 상기 몸체의 내부와 외부
의 기압을 같게 해주고,
상기 걸림부에는 하방향으로 절단한 다수개의 절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는 상기 걸림부가 하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서 상기 뚜껑을 개폐할
때 벌어지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부에 결합하거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밀폐용기.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일회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라면, 국밥, 커피 등관 같은 인스턴트식품을 포장하는 일회[0001]
용 용기의 조리시 용기와 뚜껑을 밀폐시켜 조리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회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10-1460757
- 3 -
배 경 기 술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인스턴트식품의 공급은 필수적인 것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인스턴트식[0002]
품 중 편의점 등지에서 신속한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컵이나 용기라면, 국밥, 각종
커피 등이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식품들을 포장하는 일회용 용기는, 주로 플라스틱 또는 종이 등의 재질로 용기의 형태를 형성하[0003]
고, 그 내부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조하여 섭취할 수 있는 음식물을 투입한 후 그 개방부를 마감하여 밀폐구성
을 유지하게 된다.
이 후, 상기 밀폐구성을 유지하는 일회용 용기의 외면을 비닐 등으로 포장하여 인스턴트식품의 포장제품을 완성[0004]
하게 된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는 일반적으로 외면의 비닐을 벗긴 다음은 용기의 개방부를 일정량 개방한 후, 내부에 뜨거[0005]
운 물을 붓고, 다시 일정량 개방된 부분을 덮어 음식물을 익힌 후 섭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내부에 수용된 뜨거운 물의 수증기에 의해 개방되었던 부분이 다시 개방되게 되고, 이로 인해 내부에 투[0006]
입된 음식물이 덜 익거나, 완전히 익히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이중 뚜껑이 구비된 일회용 용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0562호가[0007]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 뚜껑이 구비된 일회용 용기의 구조도이다.[0008]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 뚜껑이 구비된 일회용 용기는, 몸체(10)는 상부측이 하부로 갈수록 테이[0009]
퍼지게 형성되고, 몸체(10)에 삽입되어 상부측 내주면에 밀착고정되는 밀봉링(30)이 구비되며, 뚜껑(20)의 밑면
에 밀봉링(30)이 접착되어 몸체(10)에서 뚜껑(20)을 개봉할 때에 밀봉링(30)이 뚜껑(20)에 접착된 상태로 뚜껑
을 따라 개봉되게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러한 이중 뚜껑이 구비된 일회용 용기는, 몸체(10)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붓고 뚜껑(20)을 닫게[0010]
되면 밀봉링(30)이 몸체(10)의 내면에 접하여 밀폐되게 되는데, 이때 내부에 수용된 뜨거운 물에 의해 밀폐된
내부의 기체가 순간 팽창하게 되고, 그로 인해 밀폐시킨 뚜껑(20)이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붓고 뚜껑으로 밀폐시켰을 때,[0011]
내부에 수용된 뜨거운 물에 의해 내부의 기체가 순간 팽창하여도 뚜껑이 열리지 않게 하는 일회용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회용 밀폐용기는, 상단이 개방되어 상부에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0012]
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외주연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
체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뚜껑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주는 덮개
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 상부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돌출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몸체 상부의
내측면에 접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와; 상기 덮개부의 외주연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 내측의 최소 직경은 상기 돌출부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돌출부를 잡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하되,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덮개부에 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0013]
상기 걸림부 내측의 최소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에는 압력유지공을 형성하되, 상기 압력유지공은 종이 또는 필름으로 밀폐되어 일정한 외력이[0014]
가해지면 뚫어지면서 상기 몸체의 내부와 외부의 기압을 같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에는 하방향으로 절단한 다수개의 절단부을 형성하되,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뚜[0015]
껑을 개폐할 때 벌어지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부에 결합하거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 10-1460757
- 4 -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밀폐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0016]
상기 걸림부 내측의 최소 직경이 상기 돌출부의 최대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돌출부를 잡아[0017]
줌으로써, 상기 몸체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었을 때, 뜨거운 물에 의해 상기 몸체 내부의 기체가 순간 팽창하여
도 기체팽창에 의해 상기 뚜껑이 임으로 상기 몸체 상단에서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덮개부에 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부 내측의 최소 직경이 증가함으로써,[0018]
상기 뚜껑이 상기 몸체의 상단을 개폐할 때, 상기 덮개부를 누르면 상기 걸림부의 최소직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에 상기 돌출부를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덮개부에는 압력유지공을 형성하고, 상기 압력유지공이 종이 또는 필름으로 밀폐되어 일정한 압력이 가해[0019]
지면 뚫어지면서 상기 몸체의 내부와 외부의 기압을 같게 해줌으로써, 상기 몸체의 내부에 뜨거운 물을 넣고 음
식의 조리가 끝난 후, 상기 압력유지공을 뚫으면, 상기 몸체의 내부와 외부의 기압이 같아지기 때문에 상기 몸
체에 덮여있는 뚜껑을 손쉽게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뚜껑을 개폐할 때 벌어지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부에 결합하거나 결합[0020]
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뚜껑이 상기 몸체의 상단을 개폐할 때, 상기 절단부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상
기 걸림부 내부의 최소지름이 증가하여 상기 걸림부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기가 쉽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이중 뚜껑이 구비된 일회용 용기의 구조도.[002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밀폐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밀폐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밀폐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밀폐용기의 뚜껑을 열 때, 절단부가 변화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밀폐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0022]
른 일회용 밀폐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밀폐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밀폐용기의 뚜껑을 열 때, 절단부가 변화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밀폐 용기는, 몸체(100), 뚜껑(200)으로[0023]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0)는 상단이 개방되어 상부에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0024]
이러한 상기 몸체(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담기게 된다.[0025]
그리고 뜨거운 물을 부어 내부에 있는 음식물을 익히게 된다.[0026]
따라서 상기 몸체(100)는 단열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0027]
이러한 상기 몸체(100)에는 돌출부(101)가 형성된다.[0028]
상기 돌출부(10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상단 외주연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0029]
어 있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101)는 후술하는 상기 뚜껑(200)이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할 때, 임으로 상[0030]
기 뚜껑(200)이 열리지 않도록 상기 뚜껑(200)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뚜껑(200)과 함께 자세히 설명한다.[0031]
등록특허 10-1460757
- 5 -
상기 뚜껑(200)은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한다.[0032]
구체적으로 포장상태일 때에는, 상기 뚜껑(200)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있는 음식물이 변질 되지 않도록 상[0033]
기 몸체(100)의 상단을 밀폐시키고, 상기 몸체(100) 내부의 음식물 조리할 때에는, 상기 뚜껑(200)을 열어서 내
부에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다시 덮어서 상기 몸체(100) 내부를 밀폐시켜 상기 몸체(100) 내부의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상기 몸체(100)의 상단을 개폐한다.
따라서 상기 뚜껑(200)은 단열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0034]
이러한 상기 뚜껑(200)은 덮개부(210), 밀폐부(220), 걸림부(230)로 이루진다.[0035]
상기 덮개부(21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주는 역할을 한[0036]
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210)는 넓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상단 전체를 덮어준다.[0037]
이러한 상기 덮개부(210)에는 압력유지공(211)이 형성된다.[0038]
상기 압력유지공(2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또는 필름(P)으로 밀폐되어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면 뚫[0039]
어지면서 상기 몸체(100) 내와 외부의 기압을 같게 해준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상기 밀폐부(220)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시 상기 몸체(100) 내부가 밀폐되어 내부에 수용된[0040]
뜨거운 물에 의해 상기 몸체(100) 내부의 기압과 외부의 기압이 다르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뚜껑(200)이 잘
열리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유지공(211)을 젓가락 등으로 뚫어서 상기 뚜껑(200)을 쉽게 열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의 내[0041]
부와 외부의 기압을 같게 해준다.
또한, 상기 몸체(100) 상단에서 상기 뚜껑(200)을 열 때, 상기 압력유지공(211)을 통해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게[0042]
하여 보다 쉽게 상기 뚜껑(200)이 열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압력유지공(21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몸체(100) 내부를 밀폐시킨 상기 뚜껑(200)을 상기 몸체[0043]
(100) 상단에서 쉽게 열 수 있다.
상기 밀폐부(220)는 도 3 내지 도 5에 상기 덮개부(210)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100)의 상부의 내측면과 대응되[0044]
게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폐부(22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0045]
(100)의 상단과 대응되게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진 형상으로 상기 덮개부(210)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밀폐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이 상기 몸체(100) 상부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몸[0046]
체(100) 내부를 밀폐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0)이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단을 덮었을 때, 상기 몸체[0047]
(100)의 상단과 대응되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밀폐부(220)의
외측면이 상기 몸체(100) 상단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접하면서 상기 몸체(100)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부(220)의 외측면이 상기 몸체(100) 상단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몸체(100) 내부를 밀폐시킴[0048]
으로써, 포장 상태일 때에는 상기 몸체(100) 내부의 음식물이 변질 되지 않게 외면을 포장하는 포장지와 함께 2
중으로 밀폐시키고, 음식물을 조리시, 뜨거운 물이 외부의 기체와 맞닿아 물의 온도가 떨어지지 않게 하여 음식
물을 빠르게 조리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걸림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210)의 외주연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0049]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상단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101)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230) 내측의 최소 직경(D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01)의 최대 직경(D[0050]
2)보다 작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230) 내측의 최소 직경(D1)이 상기 돌출부(101)의 최대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0051]
기 걸림부(230) 또는/및 상기 돌출부(101)가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변형되어서 상기 돌출부(101)가 상기 걸
등록특허 10-1460757
- 6 -
림부(230)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230)가 상기 돌출부(101)를 잡아 준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부(230)가 상기 돌출부(101)를 잡아 줌으로써, 상기 몸체(100)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었을[0052]
때, 뜨거운 물에 의해 상기 몸체(100) 내부의 기체가 순간 팽창하여도 기체팽창에 의해 상기 뚜껑(200)이 임으
로 상기 몸체(100) 상단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몸체(100) 내부 수용된 음식물이 빠르게 조리되게 된다.[0053]
이러한 상기 걸림부(230)에는 도 2 ,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절단된 다수개의 절단부[0054]
(231)가 형성된다.
상기 절단부(231)는 상기 몸체(100)에서 상기 뚜껑(200)을 개폐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지면서 상[0055]
기 돌출부(101)가 상기 걸림부(230)에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단부(231)는 상기 걸림부(230) 내측의 최소직경(D1)이 상기 돌출부(101)의 최대직경(D2)보다[0056]
작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101) 및/또는 상기 걸림부(23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걸림
부(230)가 상기 돌출부(101)를 잡아 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부(230)가 탄성 변형될 때, 상기 절단부(23
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부(230)가 보다 잘 탄성 변형되게 하여 상기 돌출부(101)가
상기 걸림부(230)에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가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절단부(23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뚜껑(200)이 상기 몸체(100)의 상단을 개폐할 때, 상기 절단[0057]
부(231)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부(230) 내부의 최소지름이 증가하여 상기 걸림부(230)에 상
기 돌출부(101)가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기가 쉽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절단부(231)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걸림부(230)와 상기 돌출부(101) 자체의 탄성복원력[0058]
에 의해 상기 걸림부(230)에 상기 돌출부(101)가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21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다.[0059]
이렇게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덮개부(210)에 하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부(230) 내측의 최소 직경[0060]
(D1)이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덮개부(210)을 외력을 가해 누르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0061]
부(210)에 접하고 있는 상기 밀폐부(220)의 상단이 지렛대 역할을 하여 지렛대작용에 의해 상기 덮개부(210)의
외주연이 상승하면서 상기 덮개부(210)의 외주연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기 걸림부(230)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걸림부(230)의 최소 직경(D1)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덮개부(210)에 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부(230) 내측의 최소 직[0062]
경(D1)이 증가함으로써, 상기 뚜껑(200)이 상기 몸체(100)의 상단을 개폐할 때, 상기 덮개부(210)를 누르면 상
기 걸림부(230)의 최소직경(D1)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230)에 상기 돌출부(101)를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30)에 상기 절단부(2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부(230)의 최소직경(D1)이 보다 잘 증가[0063]
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부(210)를 볼록하게 형성하고. 볼록한 상기 덮개부(210)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절[0064]
단부(231)가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부(230) 내측의 최소직경(D1)이 증가하도록 하였는데, 이와 달리 상기 덮개부
(210)를 볼록하게 형성하지 않고, 상기 뚜껑(200)을 개폐할 때, 상기 걸림부(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 변
형되면서 상기 절단부(231)가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걸림부(230)에 상기 돌출부(101)를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
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걸림부(230)에 상기 절단부(231)를 형성하지 않고, 볼록한 상기 덮개부(210)에 외력을 가해 상[0065]
기 밀폐부(220) 상단에 의한 지렛대작용으로만 상기 걸림부(230)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걸림부(230)에 상기 돌출부(101)가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은, 상기 걸림부(230) 및/또는 상기[0066]
돌출부(101)의 탄성복원력의 의해 또는, 볼록한 상기 덮개부(210)에 외력을 가해서 상기 덮개부(210)와 상기 밀
폐부(220)의 지렛대작용에 의해 또는, 상기 절단부(231)가 벌어지면서 또는, 이를 복합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걸
림부(230)에 상기 돌출부(101)가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부(210)는 볼록하게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230)에는 절단부(231)를 형성하여 상기 걸[0067]
등록특허 10-1460757
- 7 -
림부(230)에 상기 돌출부(101)가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회용 밀폐용기의 사용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0068]
먼저, 일회용 밀폐용기를 포장한 상태일 때에는 겉에 비닐 등으로 1차 포장되어 있고, 상기 밀폐부(220)에 의해[0069]
상기 몸체(100) 내부가 밀폐되어 있어 2중으로 포장 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어 상기 몸체(100) 내부의 음식물이
변질되지 않게 한다.
그로 인해 겉을 포장하고 있는 비닐이 운반도중 손상되어도 상기 밀폐부(220)가 상기 몸체(100) 내부를 밀폐시[0070]
켜 내부의 음식물을 보다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시에는 먼저, 겉을 포장하고 있는 비늘(도시되지 않음)을 제[0071]
거한다.
그런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덮개부(210)에 외력을 가해 누르게 된다.[0072]
이렇게 상기 덮개부(210)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220)의 상단이 지렛대[0073]
역할을 하면서 지렛대작용에 의해 상기 덮개부(210)의 외주연이 상승하고, 그로 인해 상기 덮개부(210)의 외주
연에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부로 갈수록 지경이 작게 형성된 상기 걸림부(230)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걸림부(230) 내측의 최소직경(D1)이 증가하면서 상기 돌출부(101)의 최대직경(D2)보다 증가하여[0074]
상기 걸림부(23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101)의 결합을 해제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뚜껑(200)이 닫힌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30) 내측의 최소직경(D1)은[0075]
상기 돌출부(101)의 최대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부(230)에 상기 돌출부(101)가 결합되어 있
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덮개부(210)를 누르면 상기 걸림부(230)가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부(230) 내[0076]
측의 최소직경(D1)이 상기 돌출부(101)의 최대직경(D2)보다 커지면서 상기 뚜껑(200)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상기 걸림부(230)에 결합된 상기 돌출부(101)가 결합을 해제하여 뚜껑(200)이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30)에는 외측방향으로 절단부(2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부(230)가 벌어질 때, 도 6에[0077]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231)도 함께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부(230) 내측의 최소직경(D1)이 보다 수월하게
증가되어 상기 뚜껑(200)을 보다 쉽게 열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덮개부(210)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230) 및/또는[0078]
상기 돌출부(101)의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230)에 상기 돌출부(101)의 결합을 해제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30)에 상기 절단부(231)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230)가 보다 잘 탄성 변형되게 할 수도[0079]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서 상기 뚜껑(200)을 열고나면, 상기 몸체(100)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붓고, 상기 뚜[0080]
껑(200)으로 닿게 된다.
이때, 상기 뚜껑(200)을 열 때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덮개부(210)를 눌러서 상기 걸림부(230) 내측 최소[0081]
직경(D1)을 증가시켜 상기 돌출부(101)가 삽입되면, 상기 덮개부(210)가 다시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상기
걸림부(230)는 원상태로 돌아와 상기 걸림부(230) 내측 최소직경(D1)은 상기 돌출부(101)의 최대직경(D2)보다
작아지면서 상기 걸림부(230)에 상기 돌출부(101)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220)의 외측면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 상단의 내측에 접하게 되면서 상[0082]
기 몸체(100) 내부를 밀폐시키다.
이때, 상기 밀폐부(220)가 상기 몸체(100)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면, 상기 몸체(100) 내부의 기체는 뜨거운 물에[0083]
의해 순간 팽창하여 상기 몸체(100) 외부의 기압보다 커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뚜껑(200)을 밀어 내게 된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30)에 상기 돌출부(101)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뚜껑(200)이 임[0084]
으로 열리지 않게 된다.
등록특허 10-1460757
- 8 -
삭제[0085]
삭제[0086]
삭제[0087]
또한, 상기 밀폐부(220)에 의해 상기 몸체(100)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가 없어 진공상태가 되면서 상기 몸체[0088]
(100) 내부의 기압과 외부의 기압이 서로 달라 상기 뚜껑(200)이 잘 열리지 않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유지공(211)을 막고 있는 종이 또는 필름(P)을 젓가락 등으로 외력을[0089]
가해 상기 압력유지공(211)을 뚫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력유지공(211)이 뚫리면서 상기 몸체(100) 내부와 외부의 기압이 같아지게 되고, 상기 뚜껑[0090]
(200)을 열 때, 상기 몸체(100)내부로 공기 순환되어 상기 뚜껑(200)은 손쉽게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뚜껑(200)을 열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0)을 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0091]
생략한다.
상기 뚜껑(200)을 열고나면 상기 몸체(100) 내부에 조리된 음식을 먹게 된다.[0092]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0)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었을 때, 뜨거운 물에 의해 상기 몸체(100) 내부의[0093]
기체가 순간 팽창하여도 기체팽창에 의해 상기 뚜껑(200)이 임으로 상기 몸체(100) 상단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
고, 음식의 조리가 끝났을 때, 상기 몸체(100) 내부와 외부의 기압을 같게 하여 상기 뚜껑(200)이 보다 수월하
게 열리게 해 준다.
본 발명인 일회용 밀폐용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0094]
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0: 몸체 101: 돌출부 200: 뚜껑[0095]
210: 덮개부 211: 압력유지공 220: 밀폐부
230: 걸림부 231: 절단부
P: 종이 또는 필름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460757
- 9 -
도면2
등록특허 10-1460757
- 10 -
도면3
등록특허 10-1460757
- 11 -
도면4
등록특허 10-1460757
- 12 -
도면5
등록특허 10-1460757
- 13 -
도면6
등록특허 10-1460757
-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