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통용 공기방출기(AIR DISCHARGER FOR AIR CYLINDER)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8월08일
(11) 등록번호 10-1054313
(24) 등록일자 2011년07월29일
(51) Int. Cl.
F17C 7/00 (2006.01) F17C 13/04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100533
(22) 출원일자 2009년10월22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10월22일
(65) 공개번호 10-2011-0043832
(43) 공개일자 2011년04월28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363570 B1*
KR1020090099923 A*
KR1019980026400 A
KR200432051 Y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산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송문리 185
(72) 발명자
김종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송문리 187번지
(74) 대리인
고광옥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박상현
(54) 공기통용 공기방출기
(57) 요 약
본 발명은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에 관한 것으로, 커플러(12)가 마련된 방출호스(10); 상기 방출호스(10)에서 방출
되는 공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 및; 상기 소음기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감압됨면 상기 방출호스(10)
를 폐쇄하여, 공기통(AT)에 잔압을 유지시키는 잔압유지밸브(32);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호스(10)와 동일한 복수
의 방출호스(10); 상기 방출호스(10)들에 마련되는 방출방지밸브(34); 상기 방출호스(10)들에서 방출되는 공기를
포집하는 포집챔버(31); 및 상기 포집챔버(31)의 공기를 상기 소음기로 안내하는 안내관(14);을 더 포함하며, 상
기 소음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42); 및 상기 유량제어밸브(42)의 오작동시 상기 안
내관(14)을 차폐하는 차폐밸브(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출호스(10)로 방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인
것을 통보하는 알러트(52); 및 상기 알러트(52)를 작동시키는 스위치(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잔압유지밸브
(32)는, 복수로 구성되고, 체크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포집챔버(31)에 설치되어 유닛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본 발명은, 소음기(20)가 소음을 감쇠시키고, 잔압유지밸브(32)가 공기통(AT)의 잔압을 유지시킨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054313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고압의 공기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키면서 공기통(AT)의 공기를 방출시키는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AT)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커플러(12)가 일측에 마련되어 공기통(AT)에 충전된 고압의 공기를 외부
로 방출하는 방출호스(10);
상기 방출호스(10)에서 방출되는 고압의 공기를 분산식으로 배출시키면서 감압하고, 상기 공기통(AT)에서 방출
되는 공기의 소음을 흡음하여 저감시키는 소음기; 및
상기 소음기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감압됨에 따라 상기 방출호스(10)를 폐쇄하여, 상기 공기통(AT)에 설정
된 잔압을 유지시키는 잔압유지밸브(32);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호스(1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방출호스(10);
상기 방출호스(10)들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방출호스(10)들 중에서 상기 공기통(AT)과 연결되어 공기통(AT)의
공기가 유입되는 방출호스(10)의 공기가 다른 방출호스(10)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출방지밸브(34);
상기 방출방지밸브(34)가 마련된 상기 방출호스(10)들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를 한곳에 포집하는 포집챔버(31);
및
상기 포집챔버(31)에서 포집된 공기를 상기 소음기로 안내하는 안내관(1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관(14)에 마련되어 상기 소음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여 소음기의 용량에 적합한 유량을
제공하는 유량제어밸브(42); 및
상기 유량제어밸브(42)의 오작동으로 과도하게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안내관(14)의 관로를 차
폐하는 차폐밸브(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출호스(10)로 방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 것을 통보하는 알러트(52); 및
상기 방출호스(10)로 방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스위칭되면서 상기 알러트(52)를 작동시키는 스위치(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잔압유지밸브(32)는,
상기 방출호스(10)들을 제각기 폐쇄하도록 복수로 구성되고, 역류가 방지되도록 체크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포
집챔버(3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단일체의 유닛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통용 공기방출기.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방출호스(10)에서 방출되는 공기가 급기되는 급기공(22a')이 일측에 마련되고, 타측에 급기된 공기를 토출
하는 토출공(22b')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급기되는 공기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면서 압력을 감압하여 하우징의 상기 토출공(22b')으
로 배출하는 디스트리뷰터; 및
상기 디스트리뷰터에서 상기 하우징의 토출공(22b')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재(28);를 포함
하는 공기통용 공기방출기.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트리뷰터는,
상기 하우징으로 급기되는 공기를 포집하여 외측으로 분산시키면서 배출하는 스트레이너캡(24);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스트레이너캡(24)을 차폐하고, 스트레이너캡(2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다방면으
로 굴절시키는 볼클러스터(26);를 포함하는 공기통용 공기방출기.
등록특허 10-1054313
- 2 -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호스(10)에서 방출되는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하여 상기 소음기에 제공하는 감압기(60);를 더
포함하는 공기통용 공기방출기.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청구항 7
삭제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공기가 저장된 공기통으로부터 공기를 방출하는데 사용[0001]
되는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공기를 방출하면서 압축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에 관한 것[0002]
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소방관이나 스킨스쿠버와 같은 사람들은 공기통에 저장된 공기로 호흡하면서 유독가스로 오염된 지[0003]
역이나 수중에서 활동한다. 이러한 호흡기용 공기통은 대량의 공기가 충전되도록 공기가 고압으로 압축되어 저
장된다. 이때, 공기는 약 200~300 kgf/cm
2
의 압력으로 압축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염지역이나 수중
에서 장시간 동안 활동할 수 있다.
공기통은 양질의 공기가 항상 충전되어 있도록 일정기간 미사용될 경우 공기를 방출한 후 재충전한다. 소방관이[0004]
나 해양 경찰과 같은 곳은 이와 같은 공기통 재충전 작업을 일정 주기로 실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통은 소구경의 배출구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대기로 방출되므로 고압의 공기에 의해 "쏴[0005]
~~~" 하는 것과 같은 소음이 발생된다. 특히, 실내에서 방출될 경우 그 소음은 더욱 크게 증폭된다. 따라서, 작
업자는 공기의 방출시 발생되는 소음에 의해 청각이 손상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작업자는 소음이 증폭되지 않도록 공기통을 실외로 이동시켜서 공기를 방출한다. 하지만, 이러[0006]
한 경우 작업자가 무거운 공기통을 일일이 외부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공기통
의 이동이 불편하여 경우에 따라 실내에서 공기를 방출시킨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공기통에서 방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저[0007]
감하면서 소음을 흡음하여 공기의 방출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를 감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된 압력
에 도달하면 공기의 방출을 중단시켜서 공기통의 잔압을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여러개의 공기통에
충전된 공기를 한꺼번에 방출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아울러 공기통에서 방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일
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공기를 방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방출이 완료된 것을 자동으로 통보할 수 있으
며, 더욱이 잔압을 유지시키는 다수의 부재가 유니트화되어 구성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등록특허 10-1054313
- 3 -
목적이다.
특히, 공기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면서 공기의 소음을 흡음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 공기를 분산하거[0008]
나 공기를 굴절시키면서 공기의 소음을 감쇠시키는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 공기통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압하여 배출할 수 있는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0009]
다른 목적이다.
삭제[0010]
삭제[0011]
삭제[0012]
과제 해결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고압의 공기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키[0013]
면서 공기통의 공기를 방출시키는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커플러가
일측에 마련되어 공기통에 충전된 고압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호스; 상기 방출호스에서 방출되는 고압
의 공기를 분산식으로 배출시키면서 감압하고, 상기 공기통에서 방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흡음하여 저감시키는
소음기 및; 상기 소음기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감압됨에 따라 상기 방출호스를 폐쇄하여, 상기 공기통에 설
정된 잔압을 유지시키는 잔압유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호스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방출호스; 상기 방출호스들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방출호스들 중에서 상기 공기통과 연결되어 공기통의 공기
가 유입되는 방출호스의 공기가 다른 방출호스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출방지밸브; 상기 방출방지밸
브가 마련된 상기 방출호스들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를 한곳에 포집하는 포집챔버 및; 상기 포집챔버에서 포집된
공기를 상기 소음기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관에 마련되어 상기 소음기로 공급되는 공기
의 유량을 제어하여 소음기의 용량에 적합한 유량을 제공하는 유량제어밸브 및; 상기 유량제어밸브의 오작동으
로 과도하게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안내관의 관로를 차폐하는 차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출호스로 방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 것을 통보하는 알러트 및; 상기 방출호스로 방출되
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스위칭되면서 상기 알러트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며, 상기 잔압유지밸브는, 상
기 방출호스들을 제각기 폐쇄하도록 복수로 구성되고, 역류가 방지되도록 체크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포집챔버
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단일체의 유닛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기는 예컨대, 상기 방출호스에서 방출되는 공기가 급기되는 급기공이 일측에 마련되고, 타측에 급기된[0014]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공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급기되는 공기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면서 압력
을 감압하여 하우징의 상기 토출공으로 배출하는 디스트리뷰터 및; 상기 디스트리뷰터에서 상기 하우징의 토출
공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트리뷰터는 예컨대, 상기 하우징으로 급기되는 공기를 포집하여 외측으로 분산시키면서 배출하는 스트[0015]
레이너캡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스트레이너캡을 차폐하고, 스트레이너캡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다방
면으로 굴절시키는 볼클러스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방출호스에서 방출되는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하여 상기 소음기에 제공하는 감압기;를[0016]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삭제[0017]
삭제[0018]
등록특허 10-1054313
- 4 -
삭제[0019]
효 과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공기통의 고압 공기가 소음기를 통해 방출되므로 공[0020]
기의 배기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잔압유지밸브가 공기통의 잔압을 유지시키므로 공기통에
새로운 공기를 충전할 경우 공기통의 배출구에 응결된 결로가 배출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
러 유량제어밸브를 마련할 경우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원하는 만큼의 공기를 소음기로 공급할 수 있고, 차폐밸브
를 마련할 경우 유량제어밸브의 오작동시 차폐밸브를 통해 공기의 방출을 신속하게 중단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방출호스를 복수개로 구성할 경우 여러개의 공기통에서 한꺼번에 공기를 방출시킬 수 있고, 게다가 공기
방출밸브를 마련할 경우 공기방출밸브를 통해 방출호스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다른 공기통의 공기 방출
을 곧바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치 및 알러트를 마련할 경우 스위치 및 알러트를 통해 공기의 방출
이 완료된 것을 용이하게 통보할 수 있으며, 더욱이 복수의 잔압유지밸브가 포집챔버에 설치되어 단일체의 유닛
형태를 이루므로 콤팩트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삭제[0021]
또, 감압기를 마련할 경우 감압기를 통해 공기의 소음을 보다 많이 감쇠시킬 수 있다.[0022]
또한, 포집챔버와 안내관, 그리고 스트레이너와 볼클러스터 및 흡음재로 이루어진 소음기를 마련할 경우 복수개[0023]
로 구성된 방출호스의 공기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소음기가 스트레이너캡을 통해 공기를 사방으로 분산시키고, 볼클러스터를 통해 공기를 굴절시키면서 공[0024]
기의 압력을 저감하며, 흡음재를 통해 소음을 흡음하므로 공기의 소음을 대폭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삭제[0026]
삭제[0027]
삭제[0028]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0029]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방출기의 공압회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호스(10);[0030]
소음기(20) 및; 잔압유지밸브(32);를 포함한다.
방출호스(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커플러(12)가 마련되고, 타측에 소음기(20)가 연결된다.[0031]
소음기(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가 가능한 소형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소음기(20)는 통상적인 것을 적[0032]
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잔압유지밸브(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2) 및 소음기(20) 사이에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잔압유지밸브[0033]
(32)는 체크밸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방출호스(10)의 커플러(12)를 통해 미도[0034]
시된 공기통의 토출구와 직결된다. 따라서, 방출호스(10)는 커플러(12)에 의해 공기통의 토출구에서 방출되는
고압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방출호스(10)는 유입되는 공기를 소음기(20)로 안내하여 소음기(20)를 통해 공
기를 방출한다.
등록특허 10-1054313
- 5 -
소음기(20)는 방출호스(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소음을 흡음하면서 공기를 방출[0035]
한다. 이때, 소음기(20)는 내장된 배플이나 흡음재를 통해 공기의 압력을 저감시키면서 소음을 흡음한다. 따라
서, 방출호스(10)는 소음이 감쇠된 공기를 배출한다.
잔압유지밸브(32)는 공기통의 공기가 거의 다 방출되어 방출호스(10)의 공기압이 설정된 압력(약 2~3bar)으로[0036]
감압될 경우 자동으로 방출호스(10)의 타측을 차폐한다. 따라서, 방출호스(10)는 더 이상의 공기를 방출할 수
없다.
한편, 공기통은 잔압유지밸브(32)에 의해 방출호스(10)로 공기가 방출되지 않을 경우 미도시된 공기통밸브에 의[0037]
해 토출구가 폐쇄된다. 이러한 공기통은 토출구가 폐쇄된 후 방출호스(10)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공기통은 잔
압이 유지된 상태로 방출호스(10)와 분리된다. 즉, 공기통은 잔압유지밸브(32)에 의해 약 2~3bar의 잔압이 잔존
하는 상태로 방출호스(10)와 분리된다.
이러한 공기통은 공기의 방출시 토출구측에 결로가 발생된다. 결로는 고압의 공기가 팽창되면서 방출됨에 따라[0038]
발생된다. 공기통은 공기를 배출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잔압유지밸브(32)에 의해 약 2~3bar의 잔압이 존재하므
로, 새로운 공기가 충전되기 전에 토출구로 잔압(약 2~3bar)을 갖는 공기가 순간적으로 방출된다. 이때, 잔압
공기는 "팍"하는 소리와 함께 배출되면서 토출구에 응축된 결로를 불어낸다. 따라서, 공기통은 새로운 공기의
충전시 잔압유지밸브(32)에 의해 잔존하고 있는 내부의 잔압 공기가 토출구로 토출되면서 토출구(배출구)의 결
로가 제거됨에 따라 새로운 공기의 충전시 토출구를 통해 결로가 유입되지 못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오직 하나의 공기통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즉,[0039]
전술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여러개의 공기통에 연결될 수 없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공기통의 고압 공기가 소음기(20)를 통해 방[0040]
출되므로 공기의 배기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잔압유지밸브(32)가 공기통의 잔압을 유지시키므로 공기통에 새로운 공기를 충전할 경우 잔존하는 공기가[0041]
토출되면서 공기통의 배출구에 응결된 결로를 불어내어 결로가 배출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의 공압회로도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0042]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구성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감압기(60)가
마련된 것이 차이점이다.
여기서, 전술한 감압기(60)는 공기통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하여 공기호스(10)에 공[0043]
급한다. 이러한 감압기(60)는 소음기(20)의 용량에 적합한 압력으로 공기를 감압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감압기(60)는 공기통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압하므로 공기의 방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보다 확실하
게 감쇠시킬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감압기(60)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제1실시예 보다 더 많이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감압기(60)는 공기압을 감압하므로 과도한 공기압에 의해 방출호스(10)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한다.[0044]
다른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0045]
시된 소음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기방출기의 공압회로도이다. 이러한 제3실시예는 복수의
공기통(AT)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호스(10); 소음기(20); 잔압[0046]
유지밸브(32); 방출방지밸브(34); 포집챔버(31) 및; 안내관(14);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출호스(10), 소음기(20)
및 잔압유지밸브(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CS)에 내장된다.
방출호스(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커플러(12)가 마련되고, 타측에 소음기(20)가 연결된다. 이때, 방출호[0047]
스(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잔압유지밸브(32), 포집챔버(31) 및 안내관(14)을 통해 소음기(20)에 연결된다. 이
러한 방출호스(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방출호스(10)에 의해 복수로 구성된다. 방출호스(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2)가 마련된 일측이 캐비닛(CS)의 외부로 노출된다.
등록특허 10-1054313
- 6 -
소음기(2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방출호스(10)에서 방출되는 고압의 공기를 분산식으로 배출시키면서[0048]
감압하고, 공기통(AT)에서 방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흡음하여 저감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소음기(20)는 복
수의 방출호스(10)에서 방출되는 대량의 공기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용량을 갖는다. 즉, 소음기(20)는 대용량
으로 설계된다.
잔압유지밸브(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호스(10)들의 타측에 마련되며, 방출호스(10)가 복수로 구성되므로[0049]
방출호스(10)들을 제각기 폐쇄하도록 복수로 구성된다. 잔압유지밸브(32)는 매니폴드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즉, 복수의 잔압유지밸브(32)는 단일체의 유닛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잔압유지밸브
(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챔버(31)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출방지밸브(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2)가 마련된 방출호스(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방출방지밸브(3[0050]
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출호스(10)에 각각 설치된다.
포집챔버(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출호스(10)가 연결된다. [0051]
안내관(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 및 타단부가 포집챔버(31) 및 소음기(20)에 제각기 연결된다. 즉, 안내[0052]
관(14)은 포집챔버(31) 및 소음기(20)를 연결한다.
안내관(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제어밸브(42)가 마련될 수 있다. 또, 안내관(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0053]
밸브(44)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안내관(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게이지(GA)가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차폐밸브(44)는 예컨대, 신속한 응답성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054]
한편,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알러트(52) 및 스위치(54)가 마련될 수 있다.[0055]
알러트(52)는 도시된 바와 같은 램프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경보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스
위치(54)는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압력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캐비닛(CS)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R)가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고, 하부에 캐니스터가 마련될 수도 있으[0056]
며, 외부로 공기압을 확인시키는 2차게이지(GA)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대용량의 소음기(2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2a) 및 커버(22b)로 이루어[0057]
진 하우징(22); 디스트리뷰터(DB) 및; 흡음재(2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호스(10)에서 방출되는 공기가 급기되는 급기공(22a')이 일측에 마련되고,[0058]
급기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공(22b')이 타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급기공(2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2
a)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토출공(2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2b)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디스트리뷰터(DB)는 하우징(22)으로 급기되는 공기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면서 압력을 감압하여 하우징의 토출공[0059]
(22b')으로 배출한다. 이러한 디스트리뷰터(DB)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의 급기공(22a')에 연통
상태로 설치되고, 다공을 갖는 스트레이너캡(24) 및; 이 스트레이너캡(24)을 차폐하는 다수의 볼로 구성된 볼클
러스터(2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디스트리뷰터(DB)는 스트레이너캡(24) 및 볼클러스터(26)로 구성
될 수 있다.
흡음재(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의 토출공(22b') 측에 내장된다. 이러한 흡음재(28)는 미세한 다공을[0060]
갖는 스펀지나 조밀하게 직조된 직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부직포로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소음기(20)는 스트레이너캡(24)이 하우징(22)으로 급기되는 공기를 포집하여 외측으로 분산시키면서[0061]
배출하고, 볼클러스터(26)가 스트레이너캡(2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다방면으로 굴절시킨다. 그리고, 흡음재
(28)가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소음을 흡음한다. 따라서, 소음기(20)는 공기의 소음을 대폭적으로 감쇠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복수의 방출호스(10)에서 방출되는 공기가 포집챔버[0062]
(31)에 포집된 후 안내관(14)을 통해 소음기(20)로 방출된다. 소음기(20)는 전술한 스트레이너캡(24) 및 볼클러
스터(26)를 통해 공기의 압력을 감압시키고, 전술한 흡음재(28)를 통해 소음을 흡음한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복수의 공기통에서 방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한꺼번에 감쇠시킨다.
이러한 공기방출기는 공기의 방출이 완료되면 잔압유지밸브(32)에 의해 공기통의 잔압이 유지된다.[0063]
한편, 복수의 방출호스(10)들 중에서 어느 하나만 사용될 경우, 미사용되는 방출호스(10)들은 방출방지밸브(3[0064]
4)에 의해 관로가 폐쇄된다. 따라서, 공기통(AT)과 연결된 어느 하나의 방출호스(10)로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는
등록특허 10-1054313
- 7 -
공기통(AT)과 연결되지 않은 또 다른 방출호스(10)로 유출되지 못하고 포집챔버(31)로 안내된다. 즉, 방출방지
밸브(34)는 어느 하나의 방출호스(10)로 유입되는 공기가 다른 방출호스(10)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한편, 유량조절밸브(42)가 마련될 경우, 유량조절밸브(42)는 소음기(20)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한[0065]
다. 따라서, 소음기(20)는 용량에 적합한 유량의 공기를 공급받는다.
또, 차폐밸브(44)가 마련될 경우, 차폐밸브(44)는 설정된 압력 이상의 공기가 소음기(20)로 공급되는 것을 신속[0066]
하게 차단한다. 물론, 차폐밸브(44)는 안내관(14)을 폐쇄하여 공기의 공급을 차단한다. 따라서, 안내관(14)이나
방출호스(10)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알러트(52) 및 스위치(54)가 마련될 경우, 스위치(54)는 공기통의 공기가 설정된 압력(약 2~3bar)으로 감[0067]
압됨에 따라 알러트(52)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알러트(52)는 스위치(54)에 의해 경고등이나 경보음을 제공하여
공기통의 방출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방출호스(10)는 제2실시예의 감압기(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출호스(10)는[0068]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 공기를 소음기(20)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은 보다 감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는, 복수개로 구성된 방출호스(10)의 공기를 한꺼번에 처리[0069]
할 수 있다.
또, 소음기(20)가 스트레이너캡(24)을 통해 공기를 사방으로 분산시키고, 볼클러스터(26)를 통해 공기를 굴절시[0070]
키면서 공기의 압력을 저감하며, 흡음재(28)를 통해 소음을 흡음하므로 공기의 소음을 대폭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유량제어밸브(42)를 통해 원하는 만큼의 공기를 소음기(20)로 공급할 수 있으며, 설정된 압력에 도달할[0071]
경우 차폐밸브(44)를 통해 공기의 방출을 신속하게 중단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스위치(54) 및 알러트(52)를 통해 공기의 방출이 완료된 것을 용이하게 통보할 수 있다.[0072]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0073]
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의 사시도;[0074]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방출기의 공압회로도;[0075]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의 공압회로도;[0076]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기통용 공기방출기의 종단면도;[0077]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음기의 종단면도; 및[0078]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기방출기의 공압회로도.[0079]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0080]
10 : 방출호스[0081]
20 : 하우징[0082]
32 : 잔압유지밸브[0083]
34 : 방출방지밸브[0084]
60 : 감압기[0085]
등록특허 10-1054313
- 8 -
도면
도면1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054313
- 9 -
도면4
등록특허 10-1054313
- 10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054313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