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11월09일
(11) 등록번호 10-1081491
(24) 등록일자 2011년11월02일
(51) Int. Cl.

G07F 19/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094719
(22) 출원일자 2009년10월06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10월06일
(65) 공개번호 10-2011-0037322
(43) 공개일자 2011년04월13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60125287 A*
KR1020070032241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엘지엔시스(주)
서울 마포구 공덕동 275
(72) 발명자
최홍식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7동 1353 SK북한산시티
138-2303
(74) 대리인
특허법인남촌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백형열
(54)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계원용 표시패널 제어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계원용 표시패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10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기기하우징(114)과 상기 기기하우징(114)의 후면에 장착되는 계원용 도어(110)가 구
비된다. 상기 계원용 도어(110)의 상부 일측에는 투명창부재(1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기하우징(114) 내
부에 설치되고, 상기 계원용 도어(110)가 차폐될 때 상기 투명창부재(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계원용
표시패널(16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계원용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20)와, 상기 감지결과
에 따라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이 모니터링화면 또는 계원조작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모니터링화면에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현재 동작상태정보(160a)(160b)(160c)를 포
함하고, 상기 계원조작화면에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현재 동작상태정보(160d)와, 점검 및 설정 조작을 위한
조작명령키버튼(160e)(160f)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모니터링
화면에는 보다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대 표 도 - 도3b
등록특허 10-1081491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외관을 형성하는 기기하우징;
상기 기기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계원용 도어;
상기 계원용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는 투명창부재;
상기 기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계원용 도어가 차폐되었을 때 상기 투명창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계원용 표시패널;
상기 계원용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계원용 도어가 차폐된 경우에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이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계원용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이 계원조작화면을 표시하도록 제
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은 입력기능과 표시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터치스크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청구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은 상기 계원용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부재에 의해 상기 기기하우징의 내면 일측과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화면에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수표, 명세표 및 저널의 현재 잔량 매수 및 과부족정보와, 기기
장애정보와, 기기사용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동작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청구항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계원조작화면은 상기 모니터링화면에서 표시되는 동작상태정보와, 금융자동화기기의 점검 및 설정을 위한
각종 조작키버튼을 표시하는 화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청구항 6
계원용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투명창부재와 대응되게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계원용 표시패널이 설치된 상태
에서, 상기 계원용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이 서로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구성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단계에서,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계원용 도어가 차폐된 경우에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이 모니터
링화면을 표시하고, 반면 상기 계원용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이 계원조작화면을 표시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계원용 표시패널 제어방법.
청구항 7
삭제
등록특허 10-1081491
- 2 -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계원용 표시패널을 통해 도어 개폐 여부에[0001]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계원용 표시패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의 출납계원을 대신하여 현금/수표의 수납 및 출납, 조회/이체, 지로용지의 수납과 같은[0002]
각종 금융거래를 수행한다.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고객의 요구에 응답하기 위하여,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외에도 사람의 유동이 많은 지점, 예컨대 지하철역이나 백화점, 편의점, 공공기관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이 블록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0003]
도 1을 살펴보면, 금융자동화기기(10)에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의 후면을 개폐하는 계원용 도어(11)가 구비[0004]
된다.
그리고 상기 계원용 도어(11)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3)가 구비된다. [0005]
또한 상기 감지부(13)의 출력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계원용 도어(11)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0006]
따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계원용 표시패널(23) 및 보조표시패널(25)을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1
5)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대응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카드(Video Graphics Array[0007]
Card)(17)가 구비된다.
또 상기 비디오카드(17)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각각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23)과 보조표시패널[0008]
(25)이 지원하는 형태의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신호변환 보드(Analog-
Digital Board, 이하 'AD 보드'라 함)(19)(2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AD 보드(19)(21)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계원용 표시패널(23)과 보조표시[0009]
패널(25)이 구비된다.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23)은 상기 계원용 도어(11)의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계원용 도어(11)가 개방되면 상기[0010]
금융자동화기기(10)의 점검 및 설정을 위한 계원조작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계원에 의해 각종 조작명령을 입력
받는다.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23)은 표시 및 입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다.
상기 보조표시패널(25)은 상기 계원용 도어(11)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계원용 도어(11)가 차폐되면 상기 금[0011]
융자동화기기의 동작상태, 예컨대 지폐/수표/명세표의 과부족 등을 계원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보조표시패널(25)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간단한 형태의 표시소자를 이
용한 패널로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에 포함된 표시패널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0012]
일단, 전원공급시 금융자동화기기(10)의 초기상태가 계원용 도어(11)가 개방된 상태라면, 상기 제어부(15)는 감[0013]
지부(13)로부터 해당 출력신호를 전달받고, 계원용 표시패널(23)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1제어신호를 비디오
카드(17)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는 보조표시패널(25)이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비디오 카드(17)는 상기 전달된 제1제어신호에 따라 계원조작화면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0014]
를 제1 AD 보드(19)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1 AD 보드(19)는 상기 전달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계원용 표시패널[0015]
(23)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23)은 상기 전달된 디지털 영상신호, 즉 계원조작화면을 화면에 표시하고, 계[0016]
등록특허 10-1081491
- 3 -
원에 의해 금융자동화기기(10)의 점검 및 설정명령 등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계원용 도어(11)가 차폐되면, 상기 제어부(15)는 감지부(13)로부터 해당 출력신호를 전[0017]
달받고, 계원용 표시패널(23)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보조표시패널(23)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2제어신호를 비디오 카드(17)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비디오 카드(17)는 상기 전달된 제2제어신호에 따라 모니터링화면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0018]
를 제2 AD 보드(21)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2 AD 보드(21)는 상기 전달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보조표시패널[0019]
(25)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표시패널(25)은 상기 전달된 디지털 영상신호, 즉 모니터링화면을 화면에 표시한다.[0020]
이와 같은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에 따르면, 상기 계원용 도어(11)가 차폐되더라도 보조표시패널(25)을 통해 모[0021]
니터링화면을 표시함으로써, 계원이 지폐/수표/명세표의 과부족 등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계원용 표시패널(23) 및 보조표시패널(25)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10)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0022]
점이 있다.
먼저,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23) 이외에도 상기 계원용 도어(11)가 차폐되었을 때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하기 위[0023]
한 보조표시패널(25)을 구비해야 하고, 상기 보조표시패널(25)에 연결되는 제2 AD 보드(21)를 구비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비디오카드(17)에 제1 및 제2 AD 보드(19)(21)를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 난이도가 높아짐에 따라 제조[0024]
과정에서의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두 개의 AD 보드(19)(21)를 설치함으로 인해 제품 내부 공간이 복잡해져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표시패널(25)은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간단한 형태의 표시소자를 이용함에 따라 각종 정[0025]
보를 표시하는 데 있어 그 표시되는 정보가 제한적이고, 또한 시각적 효과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계원용 표시패널 및 보조표시패널이 구비되는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는 가격경쟁력 및 제품만족도가 저[0026]
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계원용 표시패널[0027]
을 이용하여 계원조작화면 및 모니터링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할 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0028]
과제 해결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외관을[0029]
형성하는 기기하우징; 상기 기기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계원용 도어; 상기 계원용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는
투명창부재; 상기 기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계원용 도어가 차폐되었을 때 상기 투명창부재와 대응
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계원용 표시패널; 상기 계원용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
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이 모니터링화면 또는 계원조작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은 입력기능과 표시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터치스크린이다.[0030]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은 상기 계원용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0031]
부재에 의해 상기 기기하우징의 내면 일측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링화면에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수표, 명세표 및 저널의 현재 잔량 매수 및 과부족정보와, 기기[0032]
장애정보와, 기기사용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동작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상기 계원조작화면은 상기 모니터링화면에서 표시되는 동작상태정보와, 금융자동화기기의 점검 및 설정을 위한[0033]
등록특허 10-1081491
- 4 -
각종 조작키버튼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계원용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투명창부재와 대응되게 금융자동화기기[0034]
의 내부에 계원용 표시패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계원용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그리고 상
기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이 서로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구성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
함한다.
상기 표시단계에서, 상기 감지결과 상기 계원용 도어가 차폐된 경우에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이 모니터링화면[0035]
을 표시하고, 반면 상기 계원용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이 계원조작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계원 또는 관리자가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수치 또는 그래프 중[0036]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들을 표시한다.
효 과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몸체부 내부에 계원용 표시패널을 설치하되 계원용 도어의 일측에 형성된 투명창[0037]
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계원용 표시패널은 계원용 도어가 개방될 때는 계원조작화면을 표시
하고, 반면 계원용 도어가 차폐될 때는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되면, 계원 또는 관리
자는 계원용 도어가 차폐되더라도 투명창부재를 통해 계원용 표시패널이 표시하는 모니터링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두 개의 표시패널이 아닌 하나의 표시패널을 구비하고, 그에 연결 구성되는 AD 보드도[0038]
하나만이 구비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그에 따른 부피도 줄어들어 공간활용이 극
대화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화면을 계원용 표시패널, 즉 액정표시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이 해상도가 높은[0039]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아울러 다양한 비주얼을 제공하여 시각적
효과도 극대화시키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는 동종제품과 대비하여 가격경쟁력 및 제품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를[0040]
기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계원용 표시패널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0041]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이 블록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0042]
도 2를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100)에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후면을 개폐하는 계원용 도어(110)가[0043]
구비된다. 상기 계원용 도어(110)는 계원이나 관리자를 제외한 일반인이 임의로 조작할 수 없도록 상기 금융자
동화기기의 후면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계원용 도어(110)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계원용 표시패널(160)을 계원이 투시하여 볼 수 있도록 투명창부재(112)가
구비된다. 상기 투명창부재(112)는 계원용 도어(110)의 상부 일측, 대략 계원 또는 관리자의 눈높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계원용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부(120)는 상기 계원[0044]
용 도어(110)가 개방되면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키고, 반면 상기 계원용 도어(110)가 차폐되면 도어차폐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감지부(120)로부터 발생된 도어개방신호 또는 도어차폐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이 계[0045]
원조작화면 또는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금융
자동화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달하는 비디오 카드(Video Graphics[0046]
Array Card)(1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비디오 카드(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계원조작화면 또
는 모니터링화면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비디오 카드(140)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변[0047]
등록특허 10-1081491
- 5 -
환 보드(Analog-Digital Board, 이하 'AD 보드'라 함)(150)가 구비된다.
또 상기 AD 보드(15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계원용 표시패널(160)이 구[0048]
비된다.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계원용 도어(110)에
설치된 투명창부재(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0)
의 점검 및 설정을 위한 계원조작화면을 표시하여 계원으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금융자동화
기기(100)의 현재 동작상태, 예컨대 지폐/수표/명세표/저널의 현재 잔량 매수 및 과부족정보, 장애정보 및 기기
사용여부정보 등을 안내하는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한다. 즉,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계원용 도어(110)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계원조작화면을 표시하고, 반면 상기 계원용 도어
(110)가 차폐된 경우에는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계원용 표시패널(160)은 표시 및 입력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은 1024*768 픽셀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15인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나 플라즈
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로 구비되어 선명한 화질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도 3a에는 도 2의 계원용 도어가 차폐된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이 배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0049]
2의 계원용 도어가 개방된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이 배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하우징은 기기하우징(114)과 상기 기기하우징(114)의[0050]
후면에 장착되는 계원용 도어(110)로 구성된다.
상기 투명창부재(112)는 상기 계원용 도어(110)의 상부 일측, 즉 상기 계원용 도어(110)의 상부 경첩(H1)에 가[0051]
깝게 설치된다. 이는 계원 또는 관리자의 눈높이를 고려함과 동시에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이 설치될 수 있
는 위치를 고려한 것이다. 그래서 상기 투명창부재(112)의 설치 위치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기 기기하우징(114)의 내부에는 금융자동화기기(100)에 필요한 각종 제어보드 및 카세트 등이(도면에 미도시)[0052]
설치되는 내부공간(S)이 구비된다.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은 상기 내부공간(S)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계원
용 표시패널(16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계원용 도어(110)가 차폐되었을 때 상기 계원용 도어(110)에
형성된 투명창부재(1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설치방법은,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의
스크린(162)을 보호하는 패널하우징(164)에 연결 구성되는 연결부재(H2)를 매개하여,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
(160)이 금융자동화기기(100)의 기기하우징(114)의 일측 내면에 연결 구성된다. 물론 상기 내부공간(S)에 설치
되는 각종 제어보드 및 카세트(도면에 미도시)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은 상기 연결부재(H2)를 매개하여 상기 계원용 도어(110)의 내면 일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H2)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이 좌우로 회동되게 경첩과 같은 회동
가능한 부재인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이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내부공간(S)에 설치
되기 때문에, 계원 또는 관리자가 지폐/수표/명세표의 과부족 등을 해결시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을 내부공간(S)에서 개방된 계원용 도어(110) 측으로 회동시키기만 하면, 계원 또는
관리자는 계원용 표시패널(160)에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계원용 표시패널 제어방법을 도 4 내지 도 5b를 참[0053]
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계원용 표시패널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0054]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a에는 도 4의 모니터링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
에는 도 4의 계원조작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 개시되면(S100), 감지부(120)는 상기 계원용 도[0055]
어(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S102).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계원용 도어(110)가 차폐된 경우, 상기 감지부(120)는 제어부(130)에게 도어차폐신[0056]
호를 전달한다(S104).
상기 도어차폐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계원용 도어(110)가 차폐되어 있음을 판단[0057]
하고, 계원용 표시패널(160)이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하도록 비디오 카드(140)를 제어한다(S106). 상기 모니터링
화면은 지폐/수표/명세표/저널의 현재 잔량 매수 및 과부족정보, 기기장애정보 및 기기사용상태정보 등을 안내
하는 화면이다.
등록특허 10-1081491
- 6 -
그러면, 상기 비디오 카드(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모니터링화면을 위한 영상신호를 아날로그[0058]
신호로서 AD 보드(150)로 전송하고, 상기 AD 보드(15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계원용
표시패널(160)로 전달한다(S108).
이에 따라,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은 상기 전달된 디지털 영상신호에 따라 모니터링화면을 스크린(162)에[0059]
표시한다(S110). 이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를 보면, 계원용 표시패널(160)은 현금/수표의 잔량정보를
표시하는 제1영역(160a)과, 현금/수표/명세표/저널의 부족정보 및 기기장애정보 등을 표시하는
제2영역(160b)과,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사용상태정보(160c)를 표시하는 제3영역을 포함하여 제공한다. 특히,
제1영역(160a)과 같이 현금/수표의 잔량정보를 수치와 함께 비주얼적으로 표시하게 되면, 계원 또는 관리자는
현금/수표의 잔량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영역(160b)에 표시되는 저널 및 명세표 등의 잔량정보도 그래프 등과 같은 비주얼적인 요소로 표
시하게 되면, 계원 또는 관리자가 저널 및 명세표 등의 교체 시점을 미리 예상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한 모니터링
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도 4를 설명하면, 이와 같은 모니터링화면이 표시되면, 계원 또는 관리자는 계원용 도어(110)를 개방하지[0060]
않고서도 투명창부재(112)를 통해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에 표시되는 모니터링화면을 확인하여 각종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120)는 계원용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S112).[0061]
상기 감시결과 계원용 도어(110)가 개방되면(S114), 상기 감지부(120)는 도어개방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30)[0062]
에게 전송한다(S116). 여기서 상기 계원용 도어(110)가 개방되는 경우는, 예컨대 계원 또는 관리자가 모니터링
화면을 확인결과 현금부족정보가 표시되어 부족한 현금을 보충하기 위해 계원용 도어(110)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을 통해 표시되는 모니터링화면을 정지하도록 제어하[0063]
고, 동시에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이 계원조작화면을 표시하도록 비디오 카드(140)를 제어한다(S118).
그러면, 상기 비디오 카드(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계원조작화면을 위한 영상신호를 아날로그[0064]
신호로서 AD 보드(150)로 전송하고, 상기 AD 보드(15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계원용
표시패널(160)로 전달한다(S120).
상기 해당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달받은 계원용 표시패널(160)은 계원조작화면을 스크린(162)에 표시한다(S122).[0065]
상기 계원조작화면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자동화기기(100)의 현재 동작상태, 예컨대 현금/수표의
잔량매수 및 그 과부족정보와, 명세표 및 저널의 부족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영역(160d)이 구비된다. 상기 표
시영역(160d)은 상기 모니터링화면에서 표시되는 정보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현금/
수표/명세표의 보충/회수, 각종 모듈을 점검하기 위한 계원조작, 고객 서비스요원(Customer Engineering) 조작,
리셋, 수표등록과 같은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제1조작영역(160e)이 구비된다. 이와 함께, 전면카메라 또는 고객
용 표시패널(도면에 미도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제2조작영역(160f)이 구비된다.
다시 도 4를 설명하면, 상기 제122단계에서 표시된 계원조작화면에 따라 계원 또는 관리자는 기기 점검 등의 작[0066]
업을 수행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160)을 금융자동화기기(100)의 내부공간(S)에서 개
방된 계원용 도어(160) 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계원 또는 관리자가 작업 수
행시 계원용 표시패널(160)에 의해 방해를 받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계원 또는 관리자는 계원용 도어(110)를 차폐함으로써 작업을 완료한다. 물론,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0067]
(160)이 회동된 상태라면 원래 위치로 다시 회동시킨 다음 계원용 도어(110)를 차폐해야할 것이다. 이에 따라
감지부(120)는 도어차폐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30)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계원용 표시패널
(160)이 계원조작화면을 중지하는 동시에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과정은 앞서 설명한
제106단계 내지 제110단계에 해당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실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계원용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계원용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계원조작화[0068]
면 및 모니터링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종래에 두 개의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것에 비해 제조비용을 최
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니터링화면을 계원용 표시패널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아울러 비주[0069]
얼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0070]
등록특허 10-1081491
- 7 -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된 계원용 표시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계원조작화면 및 모니터링화면은 금융자동[0071]
화기기의 동작이나 기능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블록 구성도.[0072]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블록 구성도.[0073]
도 3a는 도 2의 계원용 도어가 차폐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배면도.[0074]
도 3b는 도 2의 계원용 도어가 개방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배면도.[0075]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 설치된 계원용 표시패널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0076]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는 도 4의 모니터링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0077]
도 5b는 도 4의 계원조작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0078]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079]
100 : 금융자동화기기 110 : 계원용 도어[0080]
112 : 투명창부재 114 : 기기하우징[0081]
S : 내부공간 H1 : 상부경첩[0082]
120 : 감지부 130 : 제어부[0083]
140 : 비디오 카드 150 : AD 보드[0084]
160 : 계원용 표시패널 162 : 스크린부[0085]
164 : 패널하우징 H2 : 연결부재[0086]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081491
- 8 -
도면2
도면3a
등록특허 10-1081491
- 9 -
도면3b
도면4
등록특허 10-1081491
- 10 -
도면5a
등록특허 10-1081491
- 11 -
도면5b
등록특허 10-1081491
- 12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