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9월09일
(11) 등록번호 10-1656270
(24) 등록일자 2016년09월05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4C 5/16 (2006.01) E04B 5/40 (2006.01)
E04C 5/06 (2006.01)
(52) CPC특허분류
E04C 5/168 (2013.01)
E04B 5/40 (2013.01)
(21) 출원번호 10-2016-0006699
(22) 출원일자 2016년01월19일
심사청구일자 2016년01월19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145762 B1*
KR101389113 B1*
KR101503809 B1*
KR101559919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구연진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30 ,205동111호(황
금동,수성지구2차우방타운)
(72) 발명자
구연진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30 ,205동111호(황
금동,수성지구2차우방타운)
정태욱
경상북도 구미시 송동로 128 ,4주공아파트407
동102호(도량동)
(74) 대리인
이용원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이재연
(54) 발명의 명칭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서의 단열재 결합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
스거더형 데크패널
(57) 요 약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서의 스페이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로연결 본체부(21)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마운트(22)를 하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하고, 가로연결 본체부(21)의
상부 양측에는 트러스거더(40)를 올려 임시 거치시키기위한 예비안착부(30)를 구성하며, 예비안착부(30)의 하부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656270
- 1 -
에는 트러스거더(40)를 구성하는 하부철근이 끼워져 안착고정되는 안착홈(26)을 형성하며,
양측 각 마운트(22)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하향연장부(28)를 일체로 형성하며 하향연장부(28)의 하단에는 체결공
(28a)을 형성하여 단열재를 일체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하향연장부(28)의 높이를 단열재(60)의 높이
에 준하도록 함으로써 체결구(50)의 강한 체결에도 단열재(60)가 보호를 받게 되어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단열재(60)가 일체로 형성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간(2)의 결합시 결합의 용이성과 견고한 결합유지가 되도록
한 것이다.
(52) CPC특허분류
E04C 5/0631 (2013.01)
등록특허 10-1656270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서의 스페이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로연결 본체부(21)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마운트(22)를 하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하고, 가로연결 본체부(21)
의 상부 양측에는 트러스거더를 올려 임시 거치시키기위한 예비안착부(30)를 구성하며, 예비안착부(30)의 하부
에는 트러스거더를 구성하는 하부철근이 끼워져 안착고정되는 안착홈(26)을 형성하며,
양측 각 마운트(22)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하향연장부(28)를 일체로 형성하고 하향연장부(28)의 하단에는 체결공
(28a)을 형성하되, 하향연장부(28)의 높이(h)는 단열재의 높이에 준하도록 형성하고 상광하협 형상을 갖는 체결
유도부(29)를 여러 층으로 결합한 형태로 구성하며, 각 체결유도부(29)는 상단 최 외곽단에서 내측으로 단턱지
는 걸림턱부(29a)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서의 단열재 결합용 스페이서.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데크플레이트(10) 상부에 단열재(60)가 위치되고 단열재(60)의 상부에는 상기 청구항 1에 의한 스페이서(20)가
결합되며 스페이서(20)의 상부에는 트러스거더(40)를 결합하여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구성하
되,
스페이서(20)의 하향연장부(28)를 단열재(60)의 결합공(62)에 삽입결합하고 하향연장부(28)의 체결공(28a)에 체
결구(50)를 결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청구항 4
제3항에 있어서,
단열재(60)의 상부에는 결합공(62)의 위치에 준하여 보강편(70)을 결합하되, 단열재(60)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
는 보강편(70)은 보강편(70)의 외측단부가 단열재(60)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가 결
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청구항 5
제4항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10)의 좌우 단부에는 판개부(16)를 형성하되, 데크플레이트(10) 일측단에는 하방으로 경사지는 지
지부(16a)를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겹침홈부(16b)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여 데크패널(2)(2') 간의 결합시 이웃
하는 데크플레이트(10) 간의 지지부(16a)와 겹침홈부(16b)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여 결합 후 지지부(16a)는 스
프링 역할을 하고 상부에 결합된 단열재(60)가 보강편(70)에 밀착되는 상황과 연계하여 견고한 결합을 유지시켜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청구항 6
단열재(60)의 상부에 상기 청구항 1에 의한 스페이서(20)가 결합되며 스페이서(20)의 상부에는 트러스거더(40)
등록특허 10-1656270
- 3 -
를 결합하여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구성하되,
단열재(60)의 상부에는 결합공(62)의 위치에 준하여 보강편(70)을 결합하고, 스페이서(20)의 하향연장부(28)를
단열재(60)의 결합공(62)에 삽입결합하고 하향연장부(28)에는 체결캡(52)을 결합하여 단열재(60)가 고정되게 하
며,
단열재(60)는 일측 단부에는 결합홈부(64)를 타측 단부에는 결합돌부(65)를 형성하여 데크패널(2) 간의 배열시
이웃하는 단열재(60)의 결합홈부(64)와 결합돌부(65) 서로 간의 맞춤 끼움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건물의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거스거더형 데크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0001]
열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가설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자재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건축공법은 지속적 발전해 왔으며 건축물을 구성하는 천장의 시공법에도 많은 발전이 이어져 왔다. [0002]
근래에 들어서 천장의 시공은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건축공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0003]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은 건축물의 천장을 시공함에 있어 거푸집 대용으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이후 거푸집[0004]
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자재를 말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은 널 형태의 플레이트(P)의 상부에 스페이서(S)가 피스나 볼트 등[0005]
과 같은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고정결합되고, 스페이서(S)의 상부에 트러스거더(TG)가 결합된
구조물이다.
이러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은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체인 보와 보 사이에 가설되며 그 위에 콘크[0006]
리트의 타설 및 양생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을 사용하여 천장시공을 하면 바닥 콘크리트 공사용 형틀이 필요 없으므[0007]
로 가설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위 제품을 연속적으로 거치 고정하는 것
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공사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에 단열재가 포함된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공법이 제안되고[0008]
있다. 즉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은 널 형태의 플레이트(P)의 상부와 트러스거더(TG) 사이에 단열
재가 미리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공법은 단열재를 일체화해 후속 단열 공정을 배제하여 공기단축 및 시공
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단열재는 내구성이 약하며 이러한 단열재를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에 안정적으로 결합함에 있어서는[0009]
아직 수준이 낮다. 그 예로 볼트로 체결할 경우 볼트를 조우는 강도에 따라 데트플레이트에 굴곡이 발생할 수
있고 강한 체결에 의해 단열재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양생 후 볼트 체결을 해제하고 플레이트(P)를 제거하면 단열재와 콘크리트 간의 접하는 면이[0010]
서로 접착력이 약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아울러 단열재의 무게의 의해 단열재가 떨어지게 되어 접착제 등
으로 단열재를 다시 콘크리트 하단면에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국내 등록특허 제10-0778269호“트러스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0011]
발명의 내용
등록특허 10-1656270
- 4 -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열재를 일체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면[0012]
서 단열재의 형태가 유지보전되게 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볼트 체결을 해제하고 플레이트를 제거하더라도 단열
재가 콘크리트의 하단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간의 결합 작업이 용이하고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도록 하[0013]
는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서의 스페이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0014]
가로연결 본체부(21)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마운트(22)를 하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하고, 가로연결 본체부(21)[0015]
의 상부 양측에는 트러스거더를 올려 임시 거치시키기위한 예비안착부(30)를 구성하며, 예비안착부(30)의 하부
에는 트러스거더를 구성하는 하부철근이 끼워져 안착고정되는 안착홈(26)을 형성하며,
양측 각 마운트(22)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하향연장부(28)를 일체로 형성하며 하향연장부(28)의 하단에는 체결공[0016]
(28a)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스페이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페이서의 마운트에 하향연장부를 일체로 연장형성하여 단열재를 일체[0017]
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하향연장부의 높이를 단열재의 높이에 준하도록 함으로써 체결구의 강한 체
결에도 단열재가 보호를 받게 되어 손상이 최소화되며, 콘크리트 양생 후 볼트 체결을 해제하고 플레이트를 제
거하더라도 단열재가 콘크리트의 하단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간의 결합시 결합의 용이성과 견고한 결합유지가 되는 장점[0018]
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의 구성도, [0019]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20]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2)(이하 간단[0021]
히 ‘데크패널’이라고도 함)은 데크플레이트(10) 상부에 단열재(60)가 결합되고 단열재(60)의 상부에는 스페이
서(20)가 결합되며, 스페이서(20)에는 트러스거더(40)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스페이서(20)는 체결구(50)를 통하
여 고정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단열재(6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고, 단열재의 형태가[0022]
유지보전되게 하기 위한 스페이서(20)를 제공한다.
먼저 본원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503809“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0023]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선등록특허)에서 이미 스페이서의 구성에 대하여 이미 등록받은 바 있으며, 본 발
등록특허 10-1656270
- 5 -
명은 상기 선등록특허에 제시된 스페이서의 구성에 추가적인 구성이 결합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20)는 가로연결 본체부(21)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마운트[0024]
(22)를 하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한다.
상기 가로연결 본체부(21)의 상부 양측에는 트러스거더를 올려 임시 거치시키기 위한 예비안착부(30)를 구성하[0025]
며, 예비안착부(30)의 하부에는 트러스거더(40)를 구성하는 하부철근이 끼워져 안착고정되는 안착홈(26)을 형성
한다.
상기 예비안착부(30)은 세부적으로 쏠림방지벽부(32), 슬립유도경사부(34), 돌출연장부(36)로 구성되는데 각각[0026]
의 기능에 대해서는 선등록특허에 그 제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로연결 본체부(21)의 중앙에는 관통부(24)을 형성한다. 관통부(24)를 형성함에 따라 스페이서(20) 제작[0027]
에 따른 구조적 강도를 높이고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관통부(24)에 유입되어 양생 후 콘크리트와 스페이
서(20) 간에 일체 구조로 형성되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시켜준다.
특히 본 발명의 스페이서(20)는 양측 각 마운트(22)의 하단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하향연장부(28)를 일체로 형[0028]
성하며 하향연장부(28)의 하단에는 체결공(28a)을 형성한다. 하향연장부(28)는 상광하협 형상을 갖는 체결유도
부(29)를 다단으로 결합한 형태를 가지며, 각 체결유도부(29)는 상단 최 외곽단에서 내측으로 단턱지는 걸림턱
부(29a)가 형성되게 한다. 하향연장부(28)의 높이는 단열재(60)의 높이에 준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의 스페이서(20)를 통하여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2)을 구성시 단열재(60)를 용이하게[0029]
결합하게 된다.
즉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데크플레이트(10) 상부에 위치하는 단열재(60)는 스페이서(20)에 의해 결합[0030]
고정되는바 스페이서(20)를 구성하는 하향연장부(28)를 단열재(60)의 결합공(62)에 삽입한다.
이때 스페이서(20)의 하향연장부(28)는 다단으로 구성되는 상광하협의 체결유도부(29)에 의하여 삽입시에는 단[0031]
열재(60)의 결합공(62)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각 체결유도부(29)의 상단 최 외곽단에서 내측으로
단턱지는 걸림턱부(29a)에 의하여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즉 단열재(60)의 결합공(62) 내경이 하향연장부(28)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는바 스페이서(20)의 하향연장부[0032]
(28) 삽입시 체결유도부(29)에 의해 단열재(60)의 결합공(62) 내벽이 손상되지 않고 스페이서(20)의 하향연장부
(28)를 받아들이며 그 후 단열재(60)의 결합공(62) 내벽의 형상 복원에 의해 체결유도부(29)의 외곽단에 형성된
걸림턱부(29a) 공간부에 채워지게 됨에 따라 단열재가 강하게 결착 걸림되어 차후 콘크리트 타설 후 데크플레이
트(10)를 제거하더라도 쉽게 떨어져 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2)에 방음재를 추가로 결합하고자 할[0033]
경우 단열재(60)를 상하 2단으로 구성되게 하고 그 상하 단열재(60) 사이에 방음재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바,
이때 본 발명 스페이서(20)는 하향연장부(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향연장부(28)의 형상에 의하여 별도
의 접착제나 체결 도구 없이 단열재(60)→방음재→단열재(60)가 순으로 적층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페이서(20)는 하향연장부(28)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후 콘크리트 양생 후 체결구(50) 및[0034]
데크플레이트(10)를 제거하더라도 단열재(60)의 결합공(62) 내에는 스페이서(20)의 하향연장부(28)가 채워져 있
어 단열효과가 있다. 이는 기존 방식에서 본 발명의 체결구(50)에 해당하는 볼트 등의 제거로 단열재(60)의 결
합공(62)에 부분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단열효과가 떨어지고, 냉기와 온기 차이로 인한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로 중공부에 충진재를 채우거나 단열튜브 등으로 채웠던 번거로웠던 작업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체결구(50)는 스페이서(20)의 하향연장부(28) 하단에 형성된 결합공(28a)에 결합하게 되며 그에 따라 데크플레[0035]
이트(10)의 상부와 트러스거더(40) 사이에 단열재(26)가 결합고정된다. 체결구(50)는 타격식으로 구성하여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체결구(50)를 통하여 타격식으로 강하게 결합시키더라도 하향연장부(28)의 높이
(h)가 단열재(60)의 높이에 준함에 의하여 단열재(60)는 하향연장부(28)의 높이(h) 범위 내에서 보호를 받게 되
어 손상이 최소화된다.
한편 단열재(26)의 상부에는 결합공(26a)의 위치에 준하여 보강편(70)을 결합할 수 있는바 보강편(70)은 단열재[0036]
(60)의 상부 부분을 보다 강하게 보호하며 단열재 결합시 발생되는 단차를 방지한다.
즉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2)을 이동시키거나 보 상부에 배열작업시 스페이서(70)가 좌우로 이동[0037]
등록특허 10-1656270
- 6 -
될 수 있으며 이때 스페이서(70) 하부에 위치하는 단열재(60)가 손상되어 단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보강편(70)은 스페이서(20)와 단열재(60) 사이에 위치하여 스페이서(20)의 움직임에 의해 단열재(60)의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단열재 조립시 발생되는 단차를 줄여준다.
보강편(70) 중 단열재(60)의 일측 단부(도면상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보강편(70)은 보강편(70)의 외측단이 단[0038]
열재(60) 보다 좌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하면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는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
더형 데크패널(2)을 보 상부에 좌우로 연결되게 설치시 연결작업과 견고한 결합유지가 되게 한다.
그렇다면 데크패널(2) 간의 결합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0039]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데크패널(2)(2') 간을 결합배열시 좌측 데크패널(2)의 단열재(60) 우측단 상부[0040]
가 우측 데크패널(2')의 보강편(70) 하부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도 6의 (a)와 같이 보강편(70)의 좌측단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단열재(60)가 쉽게 끼워지도록 유도되며 도 6의 (b)와 같이 결합 후에는 단열
재(60)가 보강편(70)의 하부에 밀착결합된다.
한편 단열재(60)의 하부에 위치하는 데크플레이트(10)는 바닥부(11)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2)[0041]
를 좌우로 배열된 형태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2)는 콘크리트 타설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고 좌우로 배
열되는 바닥부(11) 전체에 대하여 상부면이 평탄하도록 해준다.
데크플레이트(10)의 좌우 단부에는 판개부(16)(일명‘연결부’라고도 함)를 형성하여 좌우로 연결배열시 겹침이[0042]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판개부(16)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단에는 겹침홈부(16b)를 형성하고, 우측단에는 하방으로 경사지[0043]
는 지지부(16a)를 형성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데크패널(2)(2') 간의 결합시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 간의 지지부(16a)와 겹침홈부(16b)의[0044]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좌측 데크패널(2)을 우측 데크패널(2')로 밀면, 좌측 데크플레이트(10)의 지지부
(16a)는 경사형성되어 있어 우측 데크패널(2')의 데크플레이트(10) 좌측단 겹침홈부(16b)에 자연스럽게 결합이
이루어진다. 결합 후 지지부(16a)는 스프링 역할을 하게 되며 상부에 결합된 단열재(60)가 보강편(70)에 밀착되
는 상황과 연계하여 견고한 결합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2) 간의 결합구조를 나[0046]
타낸 도면이다.
즉 단열재(60)의 내구성이 확보된다면 하부에 데크플레이트(10)를 결합하지 않을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는 것으[0047]
로 이때 단열재(60)의 결합은 스페이서(20)의 하향연장부(28)에 체결캡(52)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단열재(60)는 일측 단부에는 결합홈부(64)를 타측 단부에는 결합돌부(65)를 형성하여 데크패널(2) 간의 배열시[0048]
이웃하는 단열재(60)의 결합홈부(64)와 결합돌부(65) 서로 간의 맞춤 끼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0050]
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
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2)--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0051]
(10)--데크플레이트 (11)--바닥부
(12)--보강부 (16)--판개부
(16a)--지지부 (16b)--겹침홈부
(20)--스페이서 (21)--본체부
(22)--마운트 (24)--관통부
(26)--안착홈 (28)--하향연장부
(29)--체결유도부 (30)--예비안착부
등록특허 10-1656270
- 7 -
(32)--쏠림방지벽부 (34)--슬립유도경사부
(36)--돌출연장부 (40)--트러스거더
(50)--체결구 (52)--체결캡
(60)--단열재 (62)--결합공
(64)--결합홈부 (65)--결합돌부
(70)--보강편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656270
- 8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656270
- 9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656270
- 10 -
도면6
도면7a
등록특허 10-1656270
- 11 -
도면7b
등록특허 10-1656270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