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1월08일
(11) 등록번호 10-1582641
(24) 등록일자 2015년12월2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65D 8/04 (2006.01) B65D 63/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0113627
(22) 출원일자 2014년08월29일
심사청구일자 2014년08월29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03063530 A*
KR101132956 B1*
JP2011098477 A
KR101079242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정충호
대전 중구 대전천서로 127, B동 401호 (호동, 리
베라빌라트)
(72) 발명자
정충호
대전 중구 대전천서로 127, B동 401호 (호동, 리
베라빌라트)
(74) 대리인
이동모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김홍래
(54) 발명의 명칭 일자형 오크통
(57) 요 약
본 발명은 일자형 오크통에 관한 것으로, 상하측의 지름보다 중간부위의 지름이 넓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기존
오크통과 비교할 때 전체적으로 동일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일자형 오크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직선 형태를 갖는 스터브를 구비하고, 상기 스터브의 상하측으로는 원형의 캡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
하는 한편 측방향으로는 서로 맞물려 끼워지는 결합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스터브를 원통 형태로 모아주어 바디
를 형성한 후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금속밴드를 끼워주는 오크통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로 이루어지는 바디의 중
앙에는 단면이 원형을 갖는 철사로 밴딩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상기 바디의 상하측으로는 원형의 금속밴드를
끼우되 상기 금속밴드는 바디가 끼워지는 쪽이 넓고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
다.
대 표 도 - 도15
등록특허 10-1582641
- 1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일직선 형태를 갖는 스터브를 구비하고,
상기 스터브의 상하부 내측으로는 원형의 캡이 끼워지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한편 스터브의 양쪽 측면은 서로 맞
물리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측면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스터브로 원통형 바디를 구성할 때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끼워진 채로 경사면이 밀착되면서 원통형의 바디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금속밴드를 끼워주는 오크통을 구비하며,
상기 스터브로 이루어지는 바디의 중앙 외측에는 단면이 원형을 갖는 철사를 2회 정도 둘러준 후 철사의 선단을
꼬아서 밴딩이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철사가 바디의 외측을 일부 파고들게 하고,
상기 바디의 상하측으로는 원형의 금속밴드를 끼우되 상기 금속밴드는 바디가 끼워지는 쪽의 내측이 직경이 넓
고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하며 상기 금속밴드의 외측 직경은 바디의 외경보다 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오크통.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일자형 오크통에 관한 것으로, 상하측의 지름보다 중간부위의 지름이 넓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기존[0001]
오크통과 비교할 때 전체적으로 동일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일자형 오크통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오크(Oak)통은 맥주, 사이다, 와인 등의 발효음료를 저장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기존의 오[0002]
크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로 가공되는 스터브(stave:10)를 측방향으로 여러 개를 연결하여 원통형의
바디(20)를 제작하되 상기 바디(20)의 상하측으로 원형의 캡(30)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오크통(50)을 제작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오크통(50)은 바디(20)의 중간 부위의 지름이 상하측의 지름보다 넓은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바디(20)의 외측으로 원형의 금속밴드(40)를 끼움으로써 벌어짐을 방지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오크통(50)은 스터브(10)의 상하측으로 안쪽에 홈(11)을 형성하여 원형의 캡(30)이 끼워지게 하는 한편[0003]
바디(20)의 외측으로 철재밴드(40)를 이용하여 조임을 주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스터브(10)의 중간이 상하측보
다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갖는 것이어서, 스터브(10)로 오크통(50)을 제작할 때 스터브(10)를 휘어주게 되
므로, 스터브(10)에 옹이 등이 있거나 재질의 균일함에 차이가 있을 경우 휘어짐에 의해 파손 또는 누수가 발생
하게 되어,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목재는 옹이가 많아 오크통으로 제작할 경우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
고, 또한 누수가 발생할 확률도 높기 때문에, 가격이 고가이더라도 수입목을 사용하여 오크통을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1582641
- 2 -
상기의 문제는 스터브를 휘어주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내지 도 5에 도[0004]
시된 바와 같이 일자 형태의 원통형으로 오크통(50a)을 제작하고 있으나, 이 경우는 오크통(50a)의 바디(20) 외
측에 설치된 철재밴드(40)가 바디(20)를 단단히 잡아주지 못하여 시간이 지나게 되면 철재 밴드(40)가 바디(2
0)의 외측을 타고 위치가 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일자형의 바디(20)를
갖는 오크통(50a)은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또한 일자형의 오크통은 스터브(10)와 스터브(10) 사이의 밀
착력이 기존 오크통과 비교할 때 떨어지는 것이어서, 도 4와 같이 돌기를 형성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여도
누수가 발생할 확률은 높은 것이었다.
따라서, 고가의 수입목이나 옹이 등이 박히지 않는 고품질의 국내산 목재를 이용하여 오크통을 제작하되 중간[0005]
이 상하측보다 지름이 넓은 형태로 제작하게 되므로, 국내목을 활용하지 못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와
함께 스터브를 휘어주는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079242호(2011.10.27 등록) [0006]
(특허문헌 0002) 일본 공개특허 특개 2004-168412호(2004.06.17 공개)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132956호(2012.03.28 등록)
(특허문헌 0004) 일본 공개실용 실개소 62-275704호(1987.11.30 공개)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중간부위의 직경이 상하부위보다 더 넓은 기존의 오크통은 고품질의 국내목이나 수입목을 사용하지[0007]
않는 한 오크통을 제작한 후 불량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크통 제작에 필요한 목재의 구입에 비용이 많이 들
고, 또한, 중간 부위의 지름이 넓은 형태로 휘어서 제작하는 관계로 제작이 쉽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오크통이 전체적으로 일자 형태를 갖도록 하여 직경의 변화가 없도록 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저렴한 국내목
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은 일직선 형태를 갖는 스터브를 구비하고, 상기 스터브의 상하측으로는 원형의 캡이 끼워지는 걸림홈을[0008]
형성하는 한편 측방향으로는 서로 맞물려 끼워지는 결합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스터브를 원통 형태로 모아주어
바디를 형성한 후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금속밴드를 끼워주는 오크통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로 이루어지는 바디
의 중앙에는 단면이 원형을 갖는 철사로 밴딩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상기 바디의 상하측으로는 원형의 금속밴
드를 끼우되 상기 금속밴드는 바디가 끼워지는 쪽이 넓고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
루어지는 것으로, 일직선 형태의 스터브를 모아서 일자 형태의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중앙에는 철사로
밴딩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바디의 상하측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밴드를
끼워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철사는 적정 간격으로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터브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수단은 결합돌기[0009]
가 결합홈에 끼워지게 하되 오크통의 내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일자형 원통형을 이룰 때
스터브와의 틈새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일자 형태를 갖는 오크통에 관한 것으로, 스터브를 휘지 않아 옹이나 조직이 치밀하지 못한 국내산[0010]
참나무를 사용하더라도 터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저렴한 국내산 목재를 이용할 수 있어 저렴하
게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오크통을 구성하는 바디의 중앙에는 철사로 밴딩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상하측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적어지는 금속밴드를 끼워줌으로써 금속밴드가 바디의 외측에 끼워지면서 스터브
에 밀착하는 형태로 변형되어 금속밴드의 결합력이 떨어지지 않고 바디의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내
등록특허 10-1582641
- 3 -
용물이 담길 경우 스터브의 팽창이 일어나 스터브 사이의 틈새에서 미세한 누수라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터브의 측면으로 경사면이 구비되어 서로 맞닿는 상태로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끼워지면서[0011]
결합이 이루어져, 누수 발생율을 줄이는 한편 비교적 저급한 국내산 목재를 사용하더라도 스터브가 일자 형태로
가공되는 관계로 휠 때 발생하는 터지고, 틀어지거나 갈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오크통을 제작
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기존의 가운데가 볼록한 형태의 오크통 사시도[0012]
도 2는 기존의 일자형 바디 사시도
도 3은 기존의 일자형 오크형 사시도
도 4는 기존 오크통의 일부 평단면도
도 5는 기존 오크통의 일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자형 오크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자형 오크통 실시예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터브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터브 조립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터브 조립 전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금속밴드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요부 측단면도
도 13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은 일자 형태를 갖는 오크통에 관한 것으로, 기존과 같이 중간부위를 휘지 않고 일직선 형태의 스터브를[0013]
이용하여 오크통을 제작함으로써, 국내에서 생산이 가능한 참나무를 이용하는 한편 비교적 저급한 목재도 오크
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오크통은 여러 개의 일자 형태를 갖는 스터브를 원형으로 모아준 후 고정시키는 한편 상하측에는 내[0014]
측에서 걸림홈을 형성하여 원형의 캡을 씌워주는 것으로, 상기 스터브는 외측면의 폭보다 내측면의 폭을 좁게
하여 여러 개의 스터브가 측면을 맞대며 모아졌을 경우 대략적인 원형을 이루게 하고, 상기 스터브의 측면으로
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형성하여 스터브가 서로 끼워지면서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되 그 내외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밀착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 스터브의 상하부에는 내측에서 캡을 설치할 수 있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스터브를 원형으로[0015]
모아서 바디를 형성하면서 스터브의 홈에 캡을 끼워주게 되고, 스터브의 걸림홈에 캡이 끼워진 후에는 스터브의
중앙을 철사로 2회 정도 묶어준 후 단단히 조이면서 비틀어줌으로써 철사가 스터브의 표면 일부를 파고 들면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철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번 묶어주어 결합력을 높이도록 한다.[0016]
그리고, 바디의 상하측에는 원형의 금속밴드를 끼워서 바디의 상하측을 단단히 압착하여 스터브 사이에서 누수[0017]
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밴드는 원형을 이루되 바디가 끼워지는 쪽이 바디에서 멀은 쪽보다 직경
을 작게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바디가 금속밴드의 직경이 넓은 쪽에서 끼워지기 시작하여 직경이 좁은 쪽이
바디의 외측에 끼워지면서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금속밴드는 바디에서 일부가 돌출되게 하여 금속밴드가 바디의 외측을 타고 상하로 이동할 수 없도록[0018]
하는 것으로, 금속밴드의 내측 직경이 외측 직경보다 크나, 금속밴드의 외측 직경은 바디의 외측 직경보다 작아
야 한다.
등록특허 10-1582641
- 4 -
본 발명의 스터브는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결합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결합돌기가[0019]
결합홈에 끼워질 때 경사면에 의한 밀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터브의 결합부위에 대한 결속력을 높여서 누수
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0020]
본 발명은 일자 형태를 갖는 스터브(110)를 이용하여 오크통(100)을 제작하는 것으로, 스터브(110)를 기존과 같[0021]
이 휘지 않으면서 양측면에는 외측의 폭이 내측의 폭보다 넓게 하여 가공함으로써 여러 개의 스터브(110)를 모
아줄 때 원통형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스터브(110)의 측면에는 결합홈(112)과 결합돌기(111)를 양쪽으로 각각
형성하는 한편 내외측으로 경사면(113)을 형성하여, 스터브(110)가 모아질 때 결합돌기(111)가 결합홈(112)에
끼워지면서 경사면(113)이 맞닿으며 원형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스터브(110)는 측면으로 경사면(113)을 형성하는 한편 결합돌기(111)와 결합홈(112)을 형성하게[0022]
되고, 또한 스터브(110)의 상하부에는 내측으로 걸림홈(115)을 형성하여 원형의 캡(1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캡(130)의 결합구조는 공지된 사실이다.
본 발명은 스터브(110)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바디(120)를 제작할 때 바디(120)의 상하측으로 캡(130)을 끼워 오[0023]
크통(100)을 완성시키도록 하되 상기 바디(120)가 일자 형태를 갖게 되므로, 외부에 밴드를 이용하여 단단히 결
합시켜야만 오크통(100)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면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120)의 중앙을 철사(140)로 2회 정도 감아준 후 철사(140)의 끝을 꼬아주어, 철사[0024]
(140)가 바디(120)를 이루는 스터브(110)를 일부 파고 들면서 조여지게 함으로써, 철사(140)가 바디(120)의 중
앙 부분을 단단히 결속하는 한편 바디(120)의 상하측으로 각각 금속밴드(150)를 끼움으로써 바디(120)의 상하부
에서도 단단히 조여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철사(140)는 바디(120)의 외측에서 여러 곳을 묶어줄 수 있도록 한다.[0025]
본 발명의 금속밴드(150)는 도 11과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을 가지면서 바디(120)가 먼저 끼워지는 쪽은 그렇지[0026]
않은 쪽보다 직경이 크게 하되 금속밴드(150)에서 직경이 적은 부분이라도 바디(120)의 외경 보다는 작도록 한
다.
즉, 본 발명의 금속밴드(150)는 내측의 직경이 외측의 직경보다 크게 하되 외측의 직경도 바디(120)의 외경보다[0027]
는 작도록 함으로써, 도 13내지 도 16과 같이 금속밴드(150)가 끼워질 때 직경이 넓은 쪽부터 바디(120)에 끼워
지게 되고, 이와 같이 금속밴드(150)의 내측이 바디(120)의 선단에 끼워지게 되면, 전체적으로 금속밴드(150)를
조금씩 타격하거나 유압장치 등을 이용하여 금속밴드(150)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내측을 향하여 밀어주게 되면,
금속밴드(150)는 서서히 바디(120)의 외측에 끼워지게 되고, 이때 금속밴드(150)는 바디(120)에 끼워질수록 직
경이 넓은 쪽인 내측은 직경이 좁아지면서 끼워지는 한편 직경이 넓은 쪽인 외측은 직경이 벌어지면서 끼워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금속밴드(150)는 바디(120)를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강하게 밀어주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금속밴드(150)는 최초 바디(120)의 선단에 내측의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가 도 14와 같고, 금속밴[0028]
드(150)가 바디(120)의 외측으로 끼워지면 도 16와 같이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금속밴드(150)는 바
디(120)에 끼워지기 전과 끼워진 후의 내측과 외측의 직경이 변화되면서 끼워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금속밴드
(150)는 바디(120)에 단단히 끼워져 움직이지 않는 동시에 결합력을 잃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금속밴드(150)는 바디(120)의 선단에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끼워줌으로써, 장기간 사용 후[0029]
에 금속밴드(150)로 바디(120)를 더욱 고정시킬 수 있어, 장시간 변함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크통(100)의 내부에 액체가 채워지게 되면, 액체와 닿은 스터브(110)가 팽창하면서 스터브(110) 사[0030]
이의 경사면(113)이 밀착력을 높임으로써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첫째, 일자 형태의 오크통(100)을 제작하게 되어 작업이 쉽고, 또한, 일자 형태의 스터브[0031]
(110)를 사용하여 오크통(100)을 제작하게 되므로, 기존과 같이 옹이가 박히거나 조직이 치밀하지 못한 나무를
사용할 경우 휘거나 터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스터브를 기존과 같이 휘어주지 않아 비교적
저렴한 국내산 참나무를 사용하여 오크통(100)을 제작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을 줄이는 한편 국내 목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등록특허 10-1582641
- 5 -
100 : 오크통 110 : 스터브[0032]
111 : 결합돌기 112 : 결합홈
113 : 경사면 120 : 바디
130 : 캡 140 : 철사
150 : 금속밴드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582641
- 6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582641
- 7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582641
- 8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582641
- 9 -
도면8
도면9
등록특허 10-1582641
- 10 -
도면10
도면11
도면12
등록특허 10-1582641
- 11 -
도면13
도면14
도면15
등록특허 10-1582641
- 12 -
도면16
등록특허 10-1582641
- 13 -
일자형 오크통(A WOODEN BARREL)
2018. 3. 31. 1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