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8년06월12일
(11) 등록번호 10-0838029
(24) 등록일자 2008년06월05일
(51) Int. Cl.

E01C 1/00 (2006.01) E01C 15/00 (2006.01)
E01C 11/22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023873
(22) 출원일자 2007년03월12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03월12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16092307 A
KR200387387 Y1
(73) 특허권자
이기영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535 탑마을 203-903
(72) 발명자
이기영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535 탑마을 203-903
전체 청구항 수 : 총 20 항 심사관 : 신석효
(54)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57) 요 약
보도(3)의 단차 발생부에 경사구간을 설치하기 위해 보도(3)의 선형과 일치하는 단차경계부(113)를 형성하
고, 상기 단차경계부(113)의 중앙점(112)에 형성되는 내각과 외측의 두 직선외변부(115)에 형성되는 세 외변꼭지
점(116)의 내각 모두가 90도를 형성하는 직사각평면블록판(111)으로 상기 단차경계부(113)의 중앙점(112)을 중심
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내각부(114)의 각도가 보도의 내각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평탄한 평면판(110)과,
상기 평면판(110)의 단차경계부(113)에 연속되며 보도의 선형과 일치하는 단차경계부(132)를 형성하며, 상
기 단차경계부(132) 내부를 상기 평면판(110)의 직선외변부(115)와 접하는 경사시작경계부(134)에서 외측으로 동
일한 구배를 형성하는 상부경사부(133)가 보도(3) 면과 만나는 경사마감경계부(135)로 형성되는 경사진 직사각경
사블록판(131)과,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두개 사이에서,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두 개가 하단에서 만
나는 모서리하단꼭지점(151)에서부터 두 사(斜)방향으로 상기 두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의 측면경사경계부(136)
와 동일한 구배로 형성하며 접하는 모서리측면경계부(152)를 형성하면서 보도(3) 면과 만나는 모서리상부경계부
(153)를 형성하고 상부면이 경사를 이룬 상부경사부(154)를 형성하여, 상기 이격된 두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연결하는 모서리경사블록판(150)으로 형성되어 조립된 경사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이다.
대표도 - 도19
- 1 -
등록특허 10-0838029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보도(3)의 단차 발생부에 경사구간을 설치하기 위해 보도(3)의 선형과 일치하는 단차경계부(113)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경계부(113)의 중앙점(112)에 형성되는 내각과 외측의 두 직선외변부(115)에 형성되는 세 외변꼭지점
(116)의 내각 모두가 90도를 형성하는 직사각평면블록판(111)으로 상기 단차경계부(113)의 중앙점(112)을 중심
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내각부(114)의 각도가 보도의 내각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평탄한 평면판(110)과,
상기 평면판(110)의 단차경계부(113)에 연속되며 보도의 선형과 일치하는 단차경계부(132)를 형성하며, 상기 단
차경계부(132) 내부를 상기 평면판(110)의 직선외변부(115)와 접하는 경사시작경계부(134)에서 외측으로 동일한
구배를 형성하는 상부경사부(133)가 보도(3) 면과 만나는 경사마감경계부(135)로 형성되는 경사진 직사각경사블
록판(131)과,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두개 사이에서,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두 개가 하단에서 만나
는 모서리하단꼭지점(151)에서부터 두 사(斜)방향으로 상기 두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의 측면경사경계부(136)와
동일한 구배로 형성하며 접하는 모서리측면경계부(152)를 형성하면서 보도(3) 면과 만나는 모서리상부경계부
(153)를 형성하고 상부면이 경사를 이룬 상부경사부(154)를 형성하여, 상기 이격된 두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연결하는 모서리경사블록판(150)으로 형성되어 조립된 경사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판(110)의 중앙점(112)을 중심으로 보도(3)의 내각인 90도~270도 범위에 일치하여 상기 평면판(110)의
단차경계부(113)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각부(114)의 각도가 90도~270도를 형성하도록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이 1
개~3개의 범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130) 밖 보도(3) 구간에서 보도(3)의 종방향으로 상부경사부(192)를 형성한 측부경사로(190)을 형
성하여 보도(3)의 단차를 낮게 완화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판(110)과 경사판(130)의 단차경계부(113, 132) 외측 구역에 상기 단차경계부(113, 132)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기 평면판(110)의 평탄한 상부면의 높이로 상부면을 평탄하게 연장 형성한 돌출평면블록판(160)을
포함하여 형성하여 상기 평면판(110)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판(110)과 경사판(130)의 단차경계부(113, 132) 외측 구역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부면이 상기 평면
판(110)의 단차경계부(113) 노출 모서리 상단에서부터 하향한 상부경사부(172)를 형성한 돌출경사블록판(170)을
포함하여 형성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경사면을 2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
립식 경사로.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판(110)과 경사판(130)의 단차경계부(113, 132) 외측 구역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기 평면판(110)의
평탄한 상부면의 높이로 상부면을 평탄하게 연장 형성한 돌출평면블록판(160)과 상기 돌출평면블록판(160)의 외
곽부 상단에서부터 접하여 하향한 상부경사부(172)를 형성한 돌출경사블록판(170)으로 구성된 전방경사로(180)
- 2 -
등록특허 10-0838029
를 포함하여 형성하여 상기 평면판(110)의 면적을 확장시키고 사각 판구조 경사로의 경사면을 2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또는 모서리경사블록판(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블록
으로 분할하여,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이 평면블록(117)으로,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이 경사블록
(137)으로, 상기 모서리경사블록판(150)이 모서리경사블록(155)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
립식 경사로.
청구항 8
삭제
청구항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경사진 기층 면 위에 형성하거나 하부에 경사받침대(141)로 지지하여 상부경사부
(133)가 1/5∼1/20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경사블록판(150)을 경사진 기층 면에 위에 형성하거나 하부에 경사받침대(159)로 지지하여 상부경사
부(154)가 1/5∼1/20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 또는 직사각경사블록판(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곡선 보도의 선형에 맞도록 선
형을 가공한 것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블록(117), 경사블록(137) 또는 모서리경사블록(1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 면에 일정한 홈을
형성하여 다른 재료를 삽입하여 중앙삽입부(118, 138, 15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블록(117), 경사블록(137) 또는 모서리경사블록(1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 면에 다른 재료를
부착하여 상부부착부(119, 139, 15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블록(117), 경사블록(137) 또는 모서리경사블록(1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 면에 일정한 문양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문양부(120, 140, 15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15
제 7항에 있어서,
- 3 -
등록특허 10-0838029
상기 평면블록(117), 경사블록(137) 또는 모서리경사블록(15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옆면에 결각을 형성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1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또는 모서리경사블록판(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
면에 일정한 홈을 형성하여 다른 재료를 삽입하여 중앙삽입부(118, 138, 15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
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1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또는 모서리경사블록판(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
면에 다른 재료를 부착한 상부부착부(119, 139, 15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1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또는 모서리경사블록판(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
면에 일정한 문양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문양부(120, 140, 15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
식 경사로.
청구항 19
삭제
청구항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블록(137)을 경사진 기층 면위에 형성하거나 하부에 경사받침대(141)로 지지하여 상부경사부(133)가
1/5∼1/20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2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경사블록(155)을 경사진 기층 면 위에 형성하거나 하부에 경사받침대(159)로 지지하여 경사진 상부
경사부(154)가 1/5∼1/20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청구항 2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블록(117) 또는 경사블록(1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곡선 보도(3)의 선형에 맞도록 선형을 가공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보도 구간에서 발생하는 낮은 단차(약 10cm-60cm)를 경사화하여 정상인 뿐 아니라 노약자·유아·유<72>
모차·휠체어·손수레 등이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시설에 관해 본 출원인이 등록 및 출원한 종래
의 조립식 경사로에 관한 기술, 예컨대 특허 제10-0644332호의 조립식 경사로, 그리고 특허출원 제10-2006-
- 4 -
등록특허 10-0838029
0115746, 제10-2007-0000137호 및 제 10-2007-0023843의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작이 용이
하도록 하며 블록의 생산원가와 공사비를 저렴하게 하며, 적은 종류의 규격화된 호환성 있는 블록을 이용하여
조립되도록 하고, 이를 위해 경사로의 형상을 보다 간단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블록의 생산·운반·적치·관리
등의 경제성, 조립·시공의 효율성 및 이용의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에 관한 것
이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종래 기술에 의한 네 건의 조립식 경사로(10)인 특허 제10-0644332호, 특허출원 제10-2006-<73>
0115746, 특허출원 제10-2007-0000137 및 특허출원 제 10-2007-0023843에 의한 경사로는, 보행의 안전성 또는
편의성을 위해 낮은 단차(약 5cm~60cm)가 발생하는 곳에서 안전한 대기와 방향 전환을 위해 부채꼴 형상을 지닌
평평한 면을 가진 평면판(11)과 오르내기에 적정한 경사를 유지하는 경사판(30)을 상기 평면판(11)의 외곽에 접
하여 부채꼴로 설치하며, 상기 평면판을 형성하는 조립용 자재인 평면블록(16)과 경사판을 형성하는 조립용 자
재인 경사블록(34)이나 판상형경사블록(35)으로 시공의 편리성과 정확성을 도모하며 도시 미관의 개선을 확보토
록 하고, 정상인 뿐 아니라 보행에 불편이 있는 노약자·임산부·장애인, 보행이 미숙한 유아 및 소형 바퀴가
부착된 휠체어·손수레·유모차 등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보행 공간에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는, 종전까지 설치해 온 경사로의 경사 방식이 경사 구간의 시점에서 종점까<74>
지 하나의 경사구간을 갖도록 하고 있어 경사구간 내에서 바퀴 장착 기구인 휠체어·유모차·손수레 등이 제동
장치가 작동하지 아니하거나 실수로 제동하지 못하는 경우 경사구간 아래로 내려가서 낮은 지면인 차도에서 이
동체와 충돌할 위험 요소를 배제하기 위해서, 경사구간 하단에 참의 역할인 대기, 방향전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
는 평면판(11)을 형성함으로써 평면판(11)과 경사판(30)으로 하는 2개의 구조를 갖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10)의 또 다른 특징은, 상부가 평평한 면을 가진 평면판(11)이 부채꼴 형상을<75>
하고 있고 부채꼴 평면판은 다시 부채꼴 형상의 복수의 판상형인 평면블록(16)들로 조립된다. 그리고 보행면의
높은 지점에서부터 평면판의 낮은 면까지 경사진 부채꼴 형상의 경사판(30)도 종단면이 사다리꼴인 부채꼴의 경
사블록(34)이나 판상형인 부채꼴의 판상형경사블록(35)과 경사용받침블록(40)으로 복수로 하여 조립된다.
이 때, 상기 평면판(11)을 구성하는 개개의 평면블록(16)과 경사판(30)을 구성하는 개개의 경사블록(34)이나 판<76>
상형경사블록(35)이 중앙점(12) 측의 내각이 9도~60도를 이루어 단차경계부(15)의 내각부(13)가 90도~270도에
이르는 다양한 형태의 보도 선형에 범용적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보행로의 폭원이 일정하지 않음에 따라 조립식 경사로를 범용적으로 설치토록 하기 위해서는, 조립식 경<77>
사로(10)의 횡폭과 종길이를 쉽게 연장 가능하도록 횡폭 연장은 평면판(11)의 중앙점(12)을 기준으로 어느 한
방향에서 횡으로 양분하고 양분된 평면판(11)의 사이에 평면연장블록(20)을 경사구간의 횡폭 연장길이에 따라
형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양분된 상기 경사블록(34)이나 판상형경사블록(35)의 상부경사부(36)의 구배와 동일하
도록 형성한 경사연장블록(41)이나 판상형경사연장블록(42) 및 경사용받침블록(46)을 경사구간의 횡폭의 연장길
이에 따라 형성하여 조립식 경사로(10)의 횡폭을 연장하도록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조립식 경사로(10)의 종길이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평면판(11)의 단차경계부(15) 외측으로 상부에 평탄<78>
면을 형성한 사각형태의 평면연장블록(20)을 맞대어 경사구간의 종길이 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하며, 경사판
(30)의 양끝에서 접하며 상기 평면연장블록(20)의 단차경계부(15)에 연속하고 보도의 선형에 일치하는 단차경계
부(31)를 갖으며 경사블록(34)이나 판상형경사블록(35)의 상부경사부(36)와 같은 구배를 갖도록 형성한 경사연
장블록(41)이나 판상형경사연장블록(42)을 종길이 방향으로 연장시켜 조립식 경사로(10)의 종길이를 연장하도록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조립식 경사로(10)를 설치할 구간의 단차가 약 25cm~60cm 정도로 높은 경우에 경사블록(34)이나 판상형<79>
경사블록(35)의 길이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보도(3)의 폭이 약 1.5m 내외로 좁은 경우 조립식 경사로(10) 밖
보도(3) 구간에서 보도면의 단차를 완화시켜 경사판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완만하게 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할
수 있도록 상부의 구배가 1/5~1/20로서 종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띤 사각형의 측부경사블록(51)이나 판상형측
부경사블록(52)으로 형성된 측부경사로(50)를 형성하여 보도(3)면에서 일차적으로 단차를 완화하고 조립식 경사
로(10)와 함께 2중의 경사시설을 설치하도록 하여 경사판(30)의 규모를 축소시키고 쾌적한 이용을 도모하고 있
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도의 단차가 약 25cm~60cm 정도로 높은 경우, 평면판과 경사판의 단차경계부(15, 31)에 접<80>
한 돌출경사판(70)이나 돌출평면판(60)과 돌출경사판(70)으로 구성하는 전방경사로(80)를 형성하여 2중의 경사
- 5 -
등록특허 10-0838029
시설로 단차를 완화하거나 경사판의 규모를 축소하여 시공비를 절약, 쾌적한 이용을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평면판(11)을 복수개의 평면블록(16)이나 평면연장블록(20)으로, 경사판(30)을 복수개의 경사블록(34)<81>
이나 경사연장블록(41) 또는 판상형경사연장블록(42)으로, 측부경사로(50)를 복수개의 측부경사블록(51)이나 판
상형측부경사블록(52)으로 조립되도록 하여 제작·운반·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이들 블록을 동일 유형의
블록으로 하는 경우 대량생산과 조립이 쉽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평면판(11)의 단차경계부(15)를 형성하는 평면블록(16)과 평면연장블록(20) 및 상기 경사판(30)의<82>
단차경계부(31)를 형성하는 경사블록(34), 경사연장블록(41), 판상형경사블록(35), 판상형경사연장블록(42) 및
경사용받침블록(40, 46)이 곡선형인 보도(3) 구간에 놓이는 경우, 보도(3)의 선형에 맞도록 상기 블록(16, 20,
34, 35, 40, 41, 42, 46)의 형태를 곡선으로 가공한 것으로 설치하여 시공성을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판(11)의 평면블록(16)과 평면연장블록(20), 상기 경사판(30)의 경사블록(34)·경사연장블록<83>
(41)·판상형경사블록(35)·판상형경사연장블록(42), 측부경사로의 측부경사블록(51)과 판상형측부경사블록
(52), 돌출평면판(60)의 돌출평면블록(61) 및 돌출경사판(70)과 전방경사로(80)의 돌출경사블록(71) 상부에 탄
력있는 연성부재와 대리석 같은 블록과 다른 재질을 일정한 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삽입하는 중앙삽입부(17, 21,
37, 43, 54, 62, 72)를 형성하거나, 상부에 부착하여 상부부착부(18, 22, 38, 44, 55, 63, 73)를 형성함으로써
재료비를 절약하거나,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미끄럼을 방지, 하거나, 보행 시 탄성을 주는 작용을 하도록 하
고 있다.
또한, 상기 평면판(11)의 단차경계부(15)를 형성하는 평면블록(16)과 평면연장블록(20), 상기 경사판(30)의 단<84>
차경계부(31)를 형성하는 경사블록(34), 경사연장블록(41), 판상형경사블록(35), 판상형경사연장블록(42), 측부
경사로의 측부경사블록(51)과 판상형측부경사블록(52), 돌출평면판(60)의 돌출평면블록(61) 및 돌출경사판(70)
과 전방경사로(80)의 돌출경사블록(71)의 상부에 일정한 문양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한 문양부(19, 23, 39,
45, 56, 64, 74)를 형성하여 공기 단축, 공사비 절감 및 미려한 시공을 도모하며 보행에 안전성과 인식성을 향
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단차경계부(15)에 놓이게 되는 평면블록(16) 및 평면연장블록(21)은 차도(2)와 같은 낮은 지면보다 2-<85>
3cm 정도 이내로 높게 설치하고 상기 평면블록(16)과 평면연장블록(20)이 노출되는 모서리를 둔각모서리(24)로
하여 평면판(11)에 고이는 빗물 등이 낮은 지면으로 쉽게 배제되게 하고 낮은 지면에서 빗물 등이 평면판으로
역류되지 않게 하며 노출되는 상기 블록의 모서리를 둔각 처리하여 휠체어·유모차·손수레 등이 오르내리기에
편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평면판(11)을 단차경계부(15, 31) 외측으로 평면판을 확장한 돌출평면판(60)을 형성하여 평면판의 기능을<86>
강화하여 원활한 방향전환, 안전한 대기 및 평면판에서의 이용자 간의 상충을 해소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부채꼴 형상의 경사판(30) 외곽이 원형이거나 다각형이어서 보도의 마감 자재와의 접촉면이 다양한 각<87>
도로 만남으로써 부실시공을 방지하고 자재 절단의 용이성을 보완하여 접촉면을 보다 더 깔끔해 지도록 외곽마
감용블록(47)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경사판이 커지거나 길어지는 경우 제작 및 시공에 어려움 또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그리고 재료 원가를<88>
줄이기 위해 경사판의 단면을 판상화하고 다단화하여 약 20단의 범위인 판상형경사블록(35)으로 구성하도록 하
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판상형경사블록(35)을 다단으로 구성된 경사판의 기능미를 제고하기 위해 판상형경사블록(35)을<89>
등변사다리꼴 판상형경사블록, 이등변삼각형 판상형경사블록 및 평행사변형 판상형경사블록 세가지로 구성하여
이들 간의 13가지 조합 방식을 제시하여 경사판이 아름답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10)가 부채꼴 형상임에 따라, 구성하는 자재 즉 조립 단위인 평면블록(16), 경사<90>
블록(34), 판상형경사블록(35) 등의 형상도 블록의 내부 각도가 9도~60도인 부채꼴이어서 형상이 단순한 직사각
형, 정삼각형,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이등변삼각형보다 형틀의 제작, 생산·적치·적재·운반·조립에 이르는
공정에서 상대적인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나타난다.
그리고,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10)는 전체 형상이 부채꼴 즉 반원형, 다각형, 타원형의 일부 형상 등 정형적 형<91>
태를 갖게 됨으로써 중앙점(12)을 중심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사각과 경사판의 길이를 형성하여야 하여, 중
앙점을 중심으로 경사도를 크게 달리하는 경우 타원형 이외의 방법이 결여되어 도로의 여러 상황에 적용하기 어
려운 문제점이 나타난다. 즉 중앙점을 기준으로 경사도를 달리하는 경사판(3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 6 -
등록특허 10-0838029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평면판(11)과 경사판(30)이 다단인 경우 각 단을 구성하는 블록 간의 형상이 상이하여 생산·적치·적재<92>
·운반·조립에 이르는 공정에서 각각의 서로 다른 공정관리가 요구되며 블록 분류 등 관리 면에서도 번거로움
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10)의 전체 형상이 부채꼴이므로 경사판(30)의 경사내경부(32)에서 경사외경부<93>
(33)에 이르는 종방향의 경사도는 일정하지만 경사외경부(33) 쪽과 경사내경부(32) 쪽의 곡률 반경이 서로 상이
하여 휠체어 등 바퀴가 부착된 이동체가 종·횡방향 및 사(斜)방향으로 이동시에 회전반경이 달라 바퀴 간의 구
동 횟수가 달라져 이동체가 자유롭게 이동하는데 다소간의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10)의 전체 형상이 부채꼴이어서 외곽 형상이 원형이거나 경사블록(34) 또는 판상<94>
형경사블록(35)의 내각이 작은 경우 갯수가 많고 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의 형상을 갖게 되어 보도의 마감재와의
깔끔한 마감을 위해서는 섬세한 시공을 요하거나 별도의 외곽마감용블록(47)을 설치하여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
는 단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10)의 평면판(11) 형상이 부채꼴, 말굽형 등이 됨에 따라 상기 형상의 가로 및<95>
세로 폭은 동 칫수의 직사각형에 비해 평면판의 유효 사용 면적이 적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10)에서는 경사용받침블록(40, 46) 없이 건식공법이나 습식공법으로 부채꼴의 경사<96>
판을 정확히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층의 경사면이 일정하게 경사지면서 동시에 곡면을 이루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야 하는데 이러한 곡면 기층을 시공하기에는 평탄하게 경사진 면보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10)에서는 블록의 종류가 평면블록(16), 평면연장블록(20), 경사블록(34), 판상<97>
형경사블록(35), 경사연장블록(41), 판상형경사연장블록(42) 등으로 구성되며 평면판(11)과 경사판(30)이 다단
이 되는 경우 각 단을 구성하는 경사블록(34) 또는 판상형경사블록(35)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여 블록의 종류가
더욱 많아지는 단점이 발생하여 제작·조립·관리 등에서 비효율성이 나타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낮은 단차(약 5cm~60cm)에 설치하는 종래의 조립<98>
식 경사로보다 소요되는 자재를 용이하게 양산하고 제작·시공·관리 공정을 경제적·효율적 하게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함이다.
즉,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의 평면판과 경사판을 구성하는 평면블록, 평면연장블록, 경사블록, 판상형경사블록,<99>
경사연장블록 및 측부경사블록 등을 제작·설치·시공·관리함에 있어서, 첫째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의 평면판
과 경사판의 형상과 구조 및 이들을 구성하는 블록의 형상과 구조를 개선하고 또 경량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양산을 용이하게 하고 자재 절감, 제조원가 및 시공원가를 낮추며 블록의 제조·적치·적재·운반·조립 등 취
급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둘째 블록의 조합위치·기능·단차변화에 지장 없이 사용토록 블록 종류를
최소화하고 상호 호환성을 높이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발명의 목적을 위해, 종래의 평면판(11)과 경사판(30)의 구조와 형상이 부채꼴인 것을 직사각형으로 바<100>
꾸고 평면판과 경사판과 구성하는 블록도 사각형 또는 삼각형으로 하여 제작·적치운반조립이 용이하고 정확하
게 시공되도록 획기적인 개선을 모색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시공법이 건식공법이나 습식공법 모두 적합하<101>
도록 블록화하고 블록을 포설하기에 알맞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면판의 규격과 경사판의 구조 즉 길이와 경사각의 변경을 용이하도록 함에<102>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평면판(11)의 동일 규격보다 유효면적이 큰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개<103>
선하여 대기, 방향전환 등의 평면판의 기능을 개선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경사판(30)이 부채꼴 형상을 형성하여 경사내경부와 경사외경부의 곡<104>
률반경이 달라 양 바퀴의 구동 횟수가 상이하여 바퀴 구동에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어 이를 개선하여 바퀴 달린
이동체가 종방향, 횡방향 또는 사방향으로 이동 시 경사판의 곡률 반경이 동일하도록 하여 편리성과 쾌적성을
증진시키자 함에 있다.
- 7 -
등록특허 10-0838029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판의 외곽 형상이 원형, 다각형 등의 일부이었으나 이를 더욱 단순화한<105>
직선으로 개선하여 다른 포장 재료와 접촉하는 면처리 부분이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조립경사로의 평면판과 경사판을 구성하는 블록 간 형상이 서로 상이하<106>
고, 또한 평면판과 경사판이 다단인 경우 각 단을 구성하는 평면블록, 경사블록 및 판상형경사블록의 형상이 각
단별로 서로 상이하고 블록 종류가 많아 져 제작·관리상의 비효율성이 있고, 종래의 평면블록, 평면연장블록,
경사블록, 경사연장블록, 판상형경사블록, 판상형경사연장블록, 측부경사블록 등의 형상을 통일하여 블록의 종
류를 최소화하고 호환성을 높이며 생산·적치·운반 및 시공의 경제성과 관리의 효율성을 한층 높이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에서 기층의 경사면을 곡면으로 정확히 시공하기 어려<107>
운 것을 평면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으로 개선하여 보다 쉽게 경사면을 형성하고 건식공법 또는 습식공법으로
보다 쉽게 조립식으로 경사로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의 기능인 블록에 부가하여 경제성·안전성·미관성 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상부부착<108>
부, 중앙삽입부 및 문양부의 도입과, 평면판의 기능인 안전한 대기, 방향전환 및 구동력 증진 등을 위한 돌출평
면판과, 그리고 높은 단차와 좁은 폭의 보도에 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인 측부경사로, 돌출경사판, 전방경사
로의 기능을 부가하여 직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기능을 강화하고자 함에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평면판과 경사판으로 이루어진다.<109>
평면판은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구성되고 경사판은 직사각경사블록판과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모서리경사블록판은 이격된 두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사이에서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
단위인 직사각평면블록판, 직사각경사블록판과 모서리경사블록판은 판상형 형상인 블록구조로 구성되어 기층면
위에 건식 공법으로 또는 모르터르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한 습식공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의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보도의 단차 발생부에 경사구간을 설치하기 위해 보도의 선형과 일치하는 단차<110>
경계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경계부의 중앙점에 형성되는 내각과 외측의 두 직선외변부에 형성되는 세 외변꼭
지점 내각 모두가 90도를 형성하는 블록 구조의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상기 단차경계부의 중앙점을 중심으로 내
부에 형성되는 내각부의 각도가 보도의 내각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평탄한 평면판과,
상기 평면판의 단차경계부에 연속되며 보도의 선형과 일치하는 단차경계부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경계부 내부를<111>
상기 평면판의 직선외변부와 접하는 경사경계시작부에서 외측으로 동일한 구배를 형성하는 상부경사부가 보도면
과 만나는 경사경계마감부로 형성되는 경사진 블록 구조의 직사각경사블록판과,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 두개 사
이에서,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 두 개가 하단에서 만나는 모서리하단꼭지점에서부터 두 사(斜)방향으로 상기 두
직사각경사블록판의 측면경사경계부와 동일한 구배를 형성하며 접하는 모서리측면경계부를 형성하면서 보도 상
부면과 만나는 모서리상부경계부를 형성하고 상부면이 일정한 경사를 이룬 상부경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이격된
두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연결하는 블록 구조의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형성하여 조립된 경사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경사블록판의 모서리하단꼭지점의 내각은 평면도상으로 90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112>
다.
또한, 평면판은 90도로 꺾인 보도에서는 중앙점을 중심으로 1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180도인 직선 보도는<113>
중앙점을 중심으로 2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270도로 꺾인 보도에서는 중앙점을 중심으로 3개의 직사각평면
블록판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경사판의 직사각경사블록판과 모서리경사블록판의 경사길이와 경사면 폭이 좁은 경우 직사각경사블록판<114>
과 모서리경사블록판을 각기 한 개로 형성할 수 있으나, 경사면이 긴 경우나 경사면의 폭이 넓은 경우 상기 직
사각경사블록판을 형성하는 경사블록과 모서리경사블록판을 형성하는 모서리경사블록을 복수로 형성하며, 일반
적인 블록의 규격인 약 20cm 내외인 것과, 낮은 단차가 30cm인 것과, 기울기를 1/20인 것을 기준으로 하면 경사
수평길이가 600cm이므로 경사판을 형성하는 다단의 수는 약 30단(=600cm/20c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90도로 꺾인 보도에 설치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평면판의 내각부가 90도이므로 중앙점을 중<115>
심으로 한 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평면판이 구성되고,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의 두 직선외변부에 접하는 두
직사각경사블록판과 상기 두 직사각경사블록판 사이에서 두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연결하는 한 개의 모서리경사블
- 8 -
등록특허 10-0838029
록판으로 경사판이 구성되어, 이와 같은 평면판과 경사판으로 조립되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도의 내각이 180도의 직선인 보도에 설치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내각부의 각도가 180도<116>
이므로 중앙점을 중심으로 측면으로 2개가 나란하게 연접되는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평면판이 구성되고, 상기
두 직사각평면블록판이 연접하여 형성된 네 직선외변부에 접하는 네 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과 상기 네 직사각경
사블록판 중 상호 이격된 두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연결하는 두 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경사판이 형성되어,
이와 같이 형성된 평면판과 경사판이 조립되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또한, 270도로 꺾인 보도에 설치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중앙점을 중심으로 내각부의 각도가 270도<117>
가 되므로 한 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양 측면으로 한 개씩 연접하여 내각부의 각도가 270
도를 형성한 세 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평면판이 구성되고, 상기 세 직사각평면블록판 외측에 형성된 여섯
직선외변부에 접하는 여섯 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과 상기 여섯 직사각경사블록판 중 상호 이격된 두 직사각경사
블록판을 연결하는 세 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경사판이 형성되어, 이와 같은 평면판과 경사판으로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평면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직사각평면블록판은 설치하는 장소와 목적에 따라 상<118>
기 직사각평면블록판의 단차경계부 폭을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달리 형성하는 것과 복수의 직사각평면블록판을
평면판의 형태, 규격, 제작방법에 따라 한 개로 형성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경사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직사각경사블록판은 설치하는 장소와 목적에 따라 상기<119>
직사각경사블록판의 상부경사부와 측면경사경계부의 길이를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상이하게 하여 경사판의
경사도와 규격을 서로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두 직사각경사블록판사이에서 연결기능을 하는 모서리경사블록판의 평면도상의 전체 형상을 직사각형,<120>
삼각형 또는 부채꼴 형상 일부로 형성하여 모서리경사블록판을 블록화 하기에 쉽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조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에서 경사판을 구성하는 직사각경사블록판과 모서리경사블록판의 경사<121>
각과 경사길이를 각기 달리하는 경우, 상기 판을 지지하는 경사받침대의 높이를 달리하거나 기층면의 경사를 달
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도의 단차가 높은 경우(약 25~30cm) 경사판의 길이가 길어지고, 폭이 좁은 경우(약 1.5m 이내)에 경<122>
사로의 경사각이 급하여 쾌적한 이용에 제한이 있게 되어, 상기 경사판 밖 보도 구간 내에서 보도의 종방향으로
상부경사부를 형성하는 측부경사로를 형성하여, 단차를 일차적으로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면판과 경사판의 단차경계부 외측 구역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기 평면판의 평탄한 상부면의 높<123>
이로 평탄한 상부면을 연장 형성한 돌출평면블록판을 포함하여 형성하여 평면판에서의 원활한 방향전환, 바퀴
장착기구의 쾌적한 구동력 확보 및 평면판 이용자 간의 상충 해소를 위해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평면판
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평면판과 경사판의 단차경계부 외측 구역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부면이 상기 평면판의 단차경계<124>
부 노출 모서리 상단에서부터 하향한 상부경사부를 형성한 돌출경사블록판을 포함하여 형성하여 경사판의 규모
를 축소시키거나 높은 단차(약 25cm~60cm)에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경사면을 2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면판과 경사판의 단차경계부 외측 구역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기 평면판의 평탄한 상부면의 높<125>
이로 평탄한 상부면을 연장 형성한 돌출평면블록판과 상기 돌출평면블록판의 외곽부 상단에 접하면서 하향한 상
부경사부를 형성한 돌출경사블록판으로 구성된 전방경사로를 포함하여 형성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평면판의 면적을 확장시키고 2중의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돌출평면블록판, 돌출경사블록판, 전방경사로 및 측부경사로의 규격<126>
이 작은 경우 한 개씩의 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고, 규격이 큰 경우 제작·운반·조립·관리의 경제성과 효율성
을 위해 블록화하고 블록 형상을 단순화시켜, 직사각평면블록판을 복수의 평면블록으로, 직사각경사블록판을 복
수의 경사블록으로, 측부경사로를 복수의 측부경사블록으로, 돌출평면블록판을 복수의 돌출평면블록으로, 돌출
경사블록판을 복수의 돌출경사블록으로, 그리고 전방경사로를 복수의 돌출평면블록과 복수의 돌출경사블록으로
구성하며, 상기 블록의 형상을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변사다리꼴과 같은 사각형으로 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단순한 형상의 블록으로 용이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블록의 제작·운반·조립·관리 및 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평면블록, 경사블록, 측부경사블록, 돌출평<127>
- 9 -
등록특허 10-0838029
면블록, 돌출경사블록 및 모서리경사블록판의 모서리경사블록의 형상을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변사다리꼴과 같
은 사각형과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이등변삼각형과 같은 삼각형으로 형성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단
순한 형상을 다양한 패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직사각경사블록판, 모서리경사블록판, 돌출경사블록판, 전방경사로<128>
의 돌출경사블록판 및 측부경사로를 포설하는 기층면의 기울기를 1/5~1/20를 형성하여 상부경사부가 1/5~1/20이
되어 쾌적한 등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직사각경사블록판, 모서리경사블록판, 돌출경사블록판, 전방경사로의<129>
돌출경사블록판 및 측부경사로의 상부경사부 기울기를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 모서리경사블록판, 돌출경사블록
판, 전방경사로 및 측부경사로를 하부에서 서로 다른 높이의 경사받침대로 지지하여 1/5~1/20 형성하여 쾌적한
등판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구성하는 직사각평면블록판, 직사각경사블록판의 단차경계부 형태를<130>
보도가 곡선인 선형에 맞도록 곡선으로 가공한 것으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 평면블록, 직사각경사블록판, 경사블록, 모서리경사블록판, 모서리경사블록, 돌<131>
출평면블록판, 돌출평면블록, 돌출경사블록판, 돌출경사블록, 측부경사로 및 측부경사블록의 상부면에 일정한
문양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문양부를 형성하여 시각정보, 미적기능, 안전성, 시공기능 등을 도모한 것을 특징으
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 평면블록, 직사각경사블록판, 경사블록, 모서리경사블록판, 모서리경사블록,<132>
돌출평면블록판, 돌출평면블록, 돌출경사블록판, 돌출경사블록, 측부경사로 및 측부경사블록의 상부면에 상기
판이나 블록과 다른 재료를 부착한 상부부착부를 형성하여 재료비 절감, 안전성, 미적 기능의 향상을 강화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 평면블록, 직사각경사블록판, 경사블록, 모서리경사블록판, 모서리경사블록, 돌<133>
출평면블록판, 돌출평면블록, 돌출경사블록판, 돌출경사블록, 측부경사로 및 측부경사블록의 상부면에 일정한
홈을 형성하여 상기 판이나 블록과 다른 재질의 물질을 삽입한 중앙삽입부를 형성하여 재료비 절감, 미적 기능,
안전성 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평면블록, 경사블록, 모서리경사블록, 돌출평면블록, 돌출경사블록, 측부경사블록의 블록간 결착<134>
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블록의 옆면에 결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135>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보도의 내각이 90도, 180도 및 270도인 곳에 일치하여 형<136>
성한 여러 유형의 사시도와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로서, a-1에서부터 a-4까지는 직사각평면블록판, 직사각경
사블록판 및 삼각형의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구성된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로서 경사진 기층면에 경사받침
대를 사용하지 않은 사시도이며, b-1에서부터 b-4까지는 상기 a-1에서부터 a-4까지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
로를 하부에 경사받침대로 지지하여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c-1부터 c-4까지는 사각평면블록판,
사각경사블록판 및 삼각형 두 개로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을 형성한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형성한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사시도이며, d-1에서부터 d-4까지는 상기 c-1에서부터 c-4까지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하부에서 경사받침대로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a-3, b-3, c-3 및 d-3는 두 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
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을 하나로 통합한 상태로 형성한 사시도이며, e-1은 상기 a-1 또는 b-1을 보도에 설치한 사
용상태도이고, e-2는 상기 c-2 또는 d-2를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이며, e-3은 상기 a-2 또는 b-2를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이고, e-4는 상기 c-4 또는 d-4를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90도인 보도에 설치한 상태로서, 직사각형인 복수 개의<137>
평면블록이 직사각평면블록판을 형성하고,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은 복수 개의 직사각형인 경사블록으로 구성되
며, 모서리경사블록판은 복수 개의 직사각형과 삼각형인 모서리경사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연결하고, 상기 평면블록과 경사블록 상부에 점자블록을 문양부로 형성하여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며,
도 11는 본 발명에 따라, 보도의 내각이 180도를 형성하여 중앙점을 중심으로 2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형성<138>
된 평면판과,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연접하는 4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과 이격된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연
- 10 -
등록특허 10-0838029
결하는 두 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형성된 경사판으로 구성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로서, 상기 직사
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을 구성하는 평면블록과 경사블록은 동일 규격이며,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 사
이에서 이를 연결하는 모서리경사블록판의 전체 형상은 직사각형이며 모서리경사블록의 형상은 삼각형과 사각형
이고, 평면판과 경사판이 보도에서의 보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며, 경사판의 상부경사부가 곡률 반경이
없는 상태를 형성하여 보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라, 보도의 내각이 270도인 곳에 중앙점의 내각부를 중심으로 3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139>
형성된 평면판과, 상기 3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접한 6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과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 사이
에서 이격된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연결하는 3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형성된 경사판을 포함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로서,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은 동일 규격의 직사각형의 평면블록과 경사블록으로
형성되고 모서리경사블록판은 사각형과 삼각형인 모서리경사블록으로 형성된 상태와, 평면블록과 경사블록 상부
에 점자블록을 각인한 상태로 조합되어 보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보도의 내각이 180도인 곳에 두 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을 복수 개의 직사각형의 평면<140>
블록으로 형성하고, 세 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을 평면블록과 동일 규격의 복수 개의 직사각형인 경사블록으로
형성하며, 두 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의 전체 형상은 부채꼴이며 상기 모서리경사블록판을 복수의 삼각형과 사각
형의 모서리경사블록으로 형성한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폭이 좁은 보도에 응용하는 사례로서, 보도의 종방향과<141>
횡방향의 경사도를 달리 형성하고자 중앙점을 중심으로 양쪽 두 직사각경사블록판의 상부경사도보다 중앙점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사각경사블록판의 상부경사도가 급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도의 종방향 통행에 유리
하도록 하고 평면블록과 경사블록에 점자문양을 형성하여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하부에서 지지하는 경사받침대로 형성한 경사판의 상부경사부가 서로 다른 상기 도 14<142>
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일부 블록을 해체한 사시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에서 평면판의 기능인 대기 및 방향전환의 기능을 강화하기<143>
위해 평면판에 연접하여 돌출된 돌출평면판을 형성하여 보도에 설치한 상태와 평면블록, 경사블록, 모서리경사
블록 및 돌출평면블록의 중앙부에 상기 블록과 다른 재료를 삽입하여 미관 기능과 안전 기능을 강화시켜 보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16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경사판을 구성하는 직사각경사블록판과 모<144>
서리경사블록판을 하부에서 경사받침대로 지지한 상태와,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을 구성하
는 평면블록, 경사블록 및 모서리경사블록과 상기 블록의 중앙삽입부 일부를 해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고,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로 높은 단차를 이중으로 완화하기 위해 평면판에 연접하여<145>
돌출경사판을 형성하여 2중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보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의 내각이 180도를 형성하여 중앙점을 중심으로 2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형성<146>
된 평면판과,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연접하는 4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과 이격된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연
결하는 두 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형성된 경사판으로 구성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로서, 상기 직사
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을 구성하는 평면블록과 경사블록은 동일 규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경사
블록판 사이에서 이를 연결하는 모서리경사블록판의 전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모서리경사블록의 형상은 삼각형
과 사각형이며, 평면판과 경사판이 보도에서의 보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고, 경사판의 상부경사부가 곡
률 반경이 없는 상태로 형성되며, 평면판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돌출평면블록판과 높은 단차를 이중으로 완화
하기 위해 상기 돌출평면블록판에 연접한 돌출경사블록판으로 구성된 전방경사로를 포함하여 보도에 설치한 상
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높은 단차를 2중으로 완화하기 위해 측부경사로를 포함한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47>
에서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삼각형과 사각형의 동일 규격의 평면블록과 경사블록으로, 모서리
경사블록판를 동일 규격의 삼각형의 모서리경사블록으로, 측부경사로를 동일 규격의 삼각형인 측부경사블록으로
구성하여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보도 내각이 180도인 곳에 설치한 사용상태도이
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구성하는 평면블록, 경사블록 및 모서리경사블록의 측면<148>
에 결각을 형성하여 직사각평면블록판, 직사각경사블록판 및 모서리경사블록판이 결각에 의해 구조적으로 강화
- 11 -
등록특허 10-0838029
된 상태로 조립되어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구성하는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의 형상을<149>
곡선인 보도의 선형에 일치하여 선형으로 형성하여 설치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23a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가 기층이 경사진 곳에서 형성된 단면도이고, <150>
도 23b는 경사판과 돌출경사블록판이 기층이 평평하게 형성된 곳에 경사받침대에 의해 지지된 사각 판구조 조립<151>
식 경사로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2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보도(3)의 단차 발생부에 경<152>
사구간을 설치하기 위해 평면판(110)과 경사판(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평면판(110)은 직사각평면블록판(111)으
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판(130)은 직사각경사블록판(131)과 모서리경사블록판(150)으로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보도(3)의 선형과 일치하는 단차경계부(113)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경계부(113)의 중앙점(112)에 형<153>
성되는 내각과 외측의 두 직선외변부(115)에 형성되는 세 외변꼭지점(116)의 내각이 모두 90도를 형성하는 블록
구조의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이 상기 단차경계부(113)의 중앙점(112)을 중심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내각부(11
4)의 각도가 보도의 내각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평탄한 평면판(110)과,
상기 평면판(110)의 단차경계부(113)에 연속되며 보도의 선형과 일치하는 단차경계부(132)를 형성하며, 상기 단<154>
차경계부(132) 내부를 상기 평면판(110)의 직선외변부(115)와 접하는 경사시작경계부(134)에서 외측으로 동일한
구배를 형성하는 상부경사부(133)가 보도(3) 면과 만나는 경사마감경계부(135)로 형성되는 경사진 블록 구조의
직사각경사블록판(131)과,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두 개 사이에서,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두 개가
하단에서 만나는 모서리하단꼭지점(151)에서부터 두 사(斜)방향으로 상기 두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의 측면경사
경계부(136)와 동일한 구배를 형성하며 접하는 모서리측면경계부(152)를 형성하면서 보도(3) 면과 만나는 모서
리상부경계부(153)를 형성하고 상부면이 일정한 경사를 이룬 상부경사부(154)를 형성하여, 상기 이격된 두 직사
각경사블록판(131)을 연결하는 블록 구조의 모서리경사블록판(150)으로 형성하여 조립된 경사판(110)을 포함하
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경사블록판(150)의 모서리하단꼭지점(151)의 내각은 평면도상으로 90도를 형성한다.<155>
또한, 상기 평면판(110)의 내각부(114)는 중앙점(112)을 중심으로 보도(3)의 내각인 90도~270도 범위에 일치하<156>
여, 상기 평면판(110)의 단차경계부(113)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각부(114)의 각도가 90도~270도를 형성되도록 직
사각평면블록판(111)이 1개~3개의 범위로 조립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판(130)은 직사각경사블록판(131)과 모서리경사블록판(150)의 경사길이와 경사면 폭이 좁은 경우<157>
한 개 또는 한 단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경사길이가 길어지는 경우나 경사면 폭이 넓은 경우 제작과 설치 등의
효율화를 위해,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복수의 경사블록(137)으로 구성하고, 모서리경사블록판(150)을
복수의 모서리경사블록(155)으로 구성하여 경사판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일반적인 건식공법
및 습식공법에 사용되는 블록의 규격을 약 20cm 내외인 것과,낮은 단차를 30cm인 것과, 기울기를 1/20인 것을
기준으로 하면 경사수평길이가 600cm이므로 경사판(130)을 형성하는 다단의 수는 약 30단(=600cm/20cm) 이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도(3)의 내각이 90도로 꺾인 경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은, 평면판(110)의 내각부(114)가<158>
90도가 되므로 중앙점(112)을 중심으로 한 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111)과,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의 두 직
선외변부(115)에 접하는 두 직사각경사블록판(131)과, 상기 두 직사각경사블록판(131) 사이에서 상기 두 직사각
경사블록판(131)을 연결하는 한 개의 모서리경사판(150)으로 조립되어 구성한다.
그리고, 보도(3)의 내각이 180도인 곳에서는 상기 내각부(114)가 180도가 되므로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59>
(100)는, 중앙점(112)을 중심으로 측면으로 2개가 나란하게 연접되는 직사각평면블록판(111)으로 평면판(110)을
구성하고, 상기 두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이 연접하여 형성된 네 직선외변부(115)에 접하는 네 개의 직사각경사
블록판(131)과, 상기 네 직사각경사블록판(131) 중 상호 이격된 두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연결하는 두 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150)으로 경사판(130)을 형성하여 조립되어 구성된다.
또한, 보도(3)의 내각이 270도로 꺾인 곳에서는 평면판(110)의 내각부(114)가 270도이므로 사각 판구조 조립식<160>
경사로(100)는,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의 중앙점(112)을 중심으로 양측 면에 한 개씩 연접하여 내각부(114)의
각도를 270도를 형성한 세 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111)으로 평면판(110)을 구성하고, 상기 세 직사각평면블록판
- 12 -
등록특허 10-0838029
(111) 외측에 형성된 여섯 개의 직선외변부(115)에 접하는 여섯 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131)과, 상기 여섯 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131) 중 상호 이격된 두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연결하는 세 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150)으
로 구성된 경사판(130)으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내각부(114)의 각도가 180도 또는 270도이어서 2개 또는 3개로 형성되는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의<161>
크기는 각 2개 또는 각 3개를 모두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나, 보도의 형태와 이용 여건에 따라 각기 단차경계부
(113)의 길이를 달리 구성하여 편리성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을 평면판(110)의 형태, 규격, 이용여건, 제작방식에 따라 한 개로 통합하<162>
여 제작·설치·이용의 용이성과 편의성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서로 연결하는 모서리경사블록판(150)의 전체 형상은 블록화 하기에 용<163>
이하도록 사각형, 삼각형 및 부채꼴의 일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조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에서 경사판(130)을 구성하는 직사각경사블록판(131)과 모서리경<164>
사블록판(150)의 경사각과 경사길이를 각기 달리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판(131, 150)을 지지하는 경사받침대
(141, 159)의 높이를 달리하거나 기층면의 경사를 달리 형성하여 시공 장소에 적합한 구조와 규격을 갖도록 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예가 적용되어야 할 바람직한 사례는 도 14에서와 같이, 보도 경계석(4)과 평행방향으로 통행량이<165>
많은 직선 보도(3)의 폭이 좁은 경우(약 1.5m 이내)에, 경계석(4)과 직각인 방향으로는 자연히 경사각이 급하게
형성되나 경계석과 평행인 방향으로는 오르내리기에 완만한 경사도인 1/12 정도로 형성할 필요가 발생되므로,
중앙점(112)을 중심으로 양측 방향의 두 직사각경사판(131)은 1/12 정도의 상부경사부(133)를 형성하고 중앙점
(112) 반대측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의 상부경사부(133)는 1/12 보다 급하게 형성되는 것처럼 직사각경사블록판
(131)과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연결하는 모서리경사블록판(131)의 상부경사부(133)의 경사각을 달리 조
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도(3)의 단차가 높은 경우(약 25cm~30cm)에 경사판(130)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보도(3)가 좁은 경우<166>
(약 1.5m이내)에 경사가 급해지거나 하는 경우 경사판(130) 밖 보도(3) 구간에서 보도(3)의 종방향으로 상부경
사부(192)를 형성한 측부경사로(190)을 형성하여 보도(3)의 단차를 낮게 완화하여 2중의 경사면을 설치하여 사
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의 설치와 이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면판(110)과 경사판(130)의 단차경계부(113, 132) 외측 구역에, 보다 편리한 대기 구역을 확보하<167>
거나, 용이한 방향전환을 위하거나, 바퀴의 구동력의 원활화를 기하거나, 이용자 간의 상충을 해소하기 위해서
는 상기 단차경계부(113, 132)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기 평면판(110)의 평탄한 상부면의 높이로 평탄한 상부
면을 연장 형성한 돌출평면블록판(160)을 포함하여 형성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의 평면판(110)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차가 높은 곳(약 25cm~60cm)에서 2중으로 단차의 높이를 해소하거나, 상기 측부경사로(190)에 의한<168>
단차 완화 방식보다 저렴한 시공비로 동일 효과를 얻기 위해서, 상기 평면판(110)과 경사판(130)의 단차경계부
(113, 132) 외측 구역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부면이 상기 평면판(110)의 단차경계부(113) 노출 모서리 상단에
서부터 하향한 상부경사부(172)를 형성한 블록 구조의 돌출경사블록판(170)을 포함하여 형성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의 경사면을 2중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면판(110) 밖에서 평면판(110)의 기능인 대기, 방향전환과 상기 경사판(130)의 기능인 경사로 기<169>
능을 추가적으로 형성하고 측부경사로(190)를 설치하기에 곤란한 경우 또는 측부경사로(190)의 공사비를 절약하
기 위해, 상기 평면판(110)과 경사판(130)의 단차경계부(113, 132) 외측 구역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기 평면
판(110)의 평탄한 상부면의 높이로 평탄한 상부면을 연장 형성한 돌출평면블록판(160)과 상기 돌출평면블록판
(160)의 외곽부 상단에서부터 접하여 하향한 상부경사부(172)를 형성한 돌출경사블록판(170)으로 구성된 전방경
사로(180)를 포함하여 형성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의 평면판(110)의 면적을 확장시키고 2중의 경
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가 건식 또는 습식공법으로 조립되도록 직사각평면블록판(111),<170>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모서리경사블록판(150), 돌출평면블록판(160), 돌출경사블록판(170), 전방경사로(180)
의 돌출평면블록판(170)과 돌출경사블록판(170) 및 측부경사로(190)를 구성하는 상기 판상의 부재(111, 131,
150, 160, 170, 190)의 단위 길이가 소규모 인력으로 다루기에 적합한 길이(약 1.5m 내외)와 중량(약 100kg 내
외)인 작은 규모로 설치하는 경우 상기 판상의 부재(111, 131, 150, 160, 170, 190)를 한 개의 판상(板狀)으로
- 13 -
등록특허 10-0838029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판상의 부재(111, 131, 150, 160, 170, 190)의 규격이 크거나 단위 중량이 무거운 경우, 직사각형, 정사각<171>
형, 등변사다리꼴, 정삼각형, 직사각형, 이등변삼각형과 같은 사각형이나 삼각형의 형상으로 블록화하여 복수의
블록으로 상기 판상의 부재(111, 131, 160, 150, 170, 19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을 복수의 평면블록(117)으로,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복수의 경사블록(137)으로,<172>
모서리경사블록판(150)을 복수의 모서리경사블록(155)으로, 돌출평면블록판(160)을 복수의 돌출평면블록(161)으
로, 돌출경사블록판(170)을 복수의 돌출경사블록(171)으로, 전방경사로(180)의 돌출평면블록판(170)과 돌출경사
블록판(170)을 각기 복수의 돌출평면블록(161)과 돌출경사블록(171)으로, 그리고 측부경사로(190)을 복수의 측
부경사블록(191)으로 블록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면블록(117), 경사블록(137), 돌출평면블록(161), 돌출경사블록(171) 및 측부경사블록(191)을 정<173>
사각형, 직사각형, 등변사다리꼴과 같은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정형의 형상인 직사각평면판(111), 직사각경사판
(131), 돌출평면판(160), 돌출경사판(170), 전방경사로(180) 및 측부경사로(190)의 단순미를 형성하기에 적합하
도록 하고 상기 블록(117, 137, 161, 171, 191)이 상호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면블록(117), 경사블록(137), 모서리경사블록(150), 돌출평면블록(161), 돌출경사블록(171) 및<174>
측부경사블록(191)을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등변사다리꼴과 같은 사각형과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및 이등변삼
각형과 같은 삼각형으로 형성하여 정형의 형상인 직사각평면블록판(111),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모서리경사블
록판(150), 돌출평면블록판(160), 돌출경사블록판(170), 전방경사로(180) 및 측부경사로(190)를 간단한 형상의
블록으로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에 적합하도록 하고 상기 블록(117, 137, 150, 161, 171, 191)이 상호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의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모서리경사블록판(150), 돌출경사블록판<175>
(170), 전방경사로(180)의 돌출경사블록판(170) 및 측부경사로(190)를 포설하는 기층면의 경사도를 1/5~1/20로
형성하고 상기 기층면 위에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모서리경사블록판(150), 돌출경사블록판(170), 전방경사로
(180)의 돌출경사블록판(170) 및 측부경사로(190)의 상부경사부(133, 154, 172, 192)가 1/5~1/20을 형성되도
록 하여 등판에 쾌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층면을 평평하게 형성하는 곳에서는,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모<176>
서리경사블록판(130), 돌출경사블록판(170), 전방경사로(180)의 돌출경사블록판(170) 및 측부경사로(190)의 상
부경사부(133, 154, 172, 192) 기울기를 하부에서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모서리경사블록판(150), 돌출경
사블록판(170), 전방경사로(180) 및 측부경사로(190)를 높이를 달리하는 경사받침대(141, 159, 176, 196)로 지
지하여 1/5~1/20로 형성하여 경사면을 쾌적하게 오르내리고 조립에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도(3)의 단차 발생부가 곡선인 곳에서는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를 구성하는 직사각평<177>
면블록판(111)과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의 단차경계부(113, 132)의 형태를 보도의 선형에 맞도록 선형으로 가공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 평면블록(117), 직사각경사블록판(131), 경사블록(137), 모서리경사블록판<178>
(150), 모서리경사블록(155), 돌출평면블록판(160), 돌출평면블록(161), 돌출경사블록판(170), 돌출경사블록
(171), 측부경사로(190) 및 측부경사블록(191)의 상부면에 일정한 홈을 형성하여 고무, 대리석, 조명기구 등과
같이 상기 판(111, 131, 150, 160, 170, 190)이나 블록(117, 137, 155, 161, 191)과 다른 재질의 물질을 삽입
한 중앙삽입부(118, 138, 156, 162, 173, 193)를 형성하여 재료비를 절약하거나, 시각미를 제공하거나, 쾌적한
이용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 평면블록(117), 직사각경사블록판(131), 경사블록(137), 모서리경사블록<179>
판(150), 모서리경사블록(155), 돌출평면블록판(160), 돌출평면블록(161), 돌출경사블록판(170), 돌출경사블록
(171), 측부경사로(190) 및 측부경사블록(191)의 상부면에 상기 판(111, 131, 150, 160, 170, 190)이나 블록
(117, 137, 155, 161, 191)과 다른 재료를 부착한 상부부착부(119, 139, 157, 163, 174, 194)를 형성하여 재료
비의 절약, 쾌적한 이용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 평면블록(117), 직사각경사블록판(131), 경사블록(137), 모서리경사블록판<180>
(150), 모서리경사블록(155), 돌출평면블록판(160), 돌출평면블록(161), 돌출경사블록판(170), 돌출경사블록
(171), 측부경사로(190) 및 측부경사블록(191)의 상부면에 일정한 문양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문양부(120, 140,
- 14 -
등록특허 10-0838029
158, 164, 175, 195)를 형성하여 인식기능, 표지기능 및 미적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면블록(117), 경사블록(137), 모서리경사블록(155), 돌출평면블록(161), 돌출경사블록(171) 및<181>
측부경사블록(191)의 블록간의 결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블록(117, 137, 155, 161, 171, 191)의 옆면에 결
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82>
먼저,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는, 보도(3)의 단차 발생부(약10cm~60cm)에 경사구간을 설치하<183>
기 위해, 보도(3)의 선형과 일치하는 단차경계부(113)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경계부(113)의 중앙점(112)을 중심
으로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을 1~3개의 범위에서 보도의 내각에 따라 90도~270도에 일치하도록 형성하여 조립된
평면판(110)과,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의 직선외변부(115)에 접하여 형성되는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이
2~6개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131) 중 이격된 두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중간에서 연결하는
모서리경사블록판(150)이 1~3개 범위로 형성되어 조립된 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의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여, 종래의 부채<184>
꼴 조립식 경사로에 비해 휠체어, 유모차 등의 회전반경에 용이한 형상과 추가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단일의
판상형 구조로 형성하기에 용이하고 또한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변사다리꼴형과 같은 사각형이나 이들 형상과
조합된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이등변삼각형과 같은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을 복수로 하여 직사각평면
블록판(111)과 평면판(110)을 구성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한다.
또한, 직사각형상인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은 상기와 같은 정형적 형상인 사각형이나 삼각형의 블록으로 제작<185>
시 형틀 제작 비용 및 공정관리 상에서 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운반·적치·조립·관리 상에도 효율화를
기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평면판(110)을 구성하는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복수로 된 직<186>
사각평면블록판(111)의 규격을 서로 달리 정하여 평면판(110) 규격의 가변성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이 직사각경사블록판(131)과 동일 폭으로 그리고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사람<187>
의 통행 방향 특히 직선방향 이동을 주로 하는 바퀴 장착 기구의 이동방향에 직각으로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형성하는 구조가 되어 이동에 편리한 작용을 도모하고, 상부면이 평탄하게 형성됨으로써 제동 장치 없이도 안전
한 대기를 보장하고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참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한다.
또한, 직사각경사블록판(130)은 직사각형의 형상이며 상부경사부(133)가 곡률반경이 없는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188>
하고 경사방향이 보도의 종방향인 보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고, 보행 및 바퀴 장착기구가 어느 방향으
로의 이동 시에도 바퀴의 회전 수가 동일하여 쾌적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의 형상이 직사각형이므로 단일의 판상형 구조로 형성하기에 용이하고 또한 직사<189>
각형, 정사각형, 등변사다리꼴과 같은 사각형이나 이들과 조합된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이등변삼각형과 같은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을 복수로 하여 직사각평면블록판(111)을 구성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한다.
또한, 직사각 형상인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은 상기와 같은 정형적인 사각형이나 삼각형의 블록으로 제작 시 형<190>
틀 제작 비용 및 공정관리 상에서 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운반·적치·조립·관리 상에도 효율화를 기하
게 한다.
그리고, 상기의 직사각평면블록판(111)과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이 모두 직사각형이므로 형상과 규격을 통일하<191>
기가 용이하고 상기 판(111, 131)을 구성하는 평면블록(117)과 경사블록(137)의 형상과 규격도 통일하기가 용이
하여 상호 호환 작용과 제작·적치·운반·조립 등 공정을 단일화하여 효율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격된 두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을 연결 작용을 하는 모서리경사블록판(150)의 전체 형상을 삼각형, 사<192>
각형 또는 부채꼴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판상형 구조로 형성하거나 블록화 하여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변사다리꼴과 같은 사각형과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이등변삼각형 등과 같은 삼각형의 모서리경사
블록(155)으로 형성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상기 평면블록(117)이나 경사블록(137)과 호환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130) 밖 보도(3) 구간에서 보도(3)의 종방향으로 상부경사부(192)를 형성한 측부경사로<193>
(190)을 형성하여 보도(3)의 단차를 낮게 완화하여 2중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높은 단차에서도 쾌적한 경사면 이
용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평면판(110)과 경사판(130)의 단차경계부(113, 132) 외측 구역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기 평면판<194>
- 15 -
등록특허 10-0838029
(110)의 평탄한 상부면의 높이로 평탄한 상부면을 연장 형성한 블록 구조의 돌출평면블록판(160)을 형성하여 평
면판(110)에서의 안전한 대기, 원활한 방향전환, 바퀴의 쾌적한 구동력 확보 및 이용자간의 상충해소 작용을 하
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판(110)과 경사판(130)의 단차경계부(113, 132) 외측 구역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부면이 상<195>
기 평면판(110)의 단차경계부(113) 노출 모서리 상단에서부터 하향한 상부경사부(172)를 형성한 블록 구조의 돌
출경사블록판(170)으로 2중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를 높은 단차(약 25~60cm)에
적용 가능하게 하며, 쾌적하게 오르내리게 하는 작용과 경사판의 규격을 축소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평면판(110)과 경사판(130)의 단차경계부(113, 132) 외측 구역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기 평면판<196>
(110)의 평탄한 상부면의 높이로 평탄한 상부면을 연장 형성한 돌출평면블록판(160)과 상기 돌출평면블록판
(160)의 외곽부 상단에서부터 접하여 하향한 상부경사부(172)를 형성한 돌출경사블록판(170)으로 구성된 전방경
사로(180)를 포함하여 형성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의 평면판(110)의 기능을 확장시키고 경사판
(130)의 면적을 축소시키면서 높은 단차(약 20~60cm)에도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설치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의 직사각경사블록판(131)과 모서리경사블록판(150), 돌출경사블<197>
록판(170), 전방경사로(180)의 돌출경사블록판(170) 및 측부경사로(190)를 포설하는 기층면의 경사도를
1/5~1/20로 형성하거나, 하부에서 지지하는 경사받침대(141, 159, 176, 196)로 직사각경사블록판(131), 모서리
경사블록판(150), 돌출경사블록판(170), 전방경사로(180)의 돌출경사블록판(170) 및 측부경사로(190)의 상부경
사부(133, 154, 172, 192)가 1/5~1/20이 되도록 형성하여 쾌적하게 경사면을 오르내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를 구성하는 직사각평면블록판(111)과 직사각경사블록판(131)의 단<198>
차경계부(113, 132) 형태를 보도의 선형에 맞도록 선형을 가공한 것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
식 경사로의 범용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 평면블록(117), 직사각경사블록판(131), 경사블록(137), 모서리경사판<199>
(150), 모서리경사블록(155), 돌출평면판(160), 돌출평면블록(161), 돌출경사블록판(170), 돌출경사블록(171),
측부경사로(190) 및 측부경사블록(191)의 상부면에 일정한 홈을 형성하여 연성재료, 조명, 대리석 등과 같은 재
질의 물질을 삽입한 중앙삽입부(118, 138, 156, 162, 173, 193)를 형성하여 원가절감, 안전 기능, 시각 기능,
미적 기능의 강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 평면블록(117), 직사각경사블록판(131), 경사블록(137), 모서리경사판<200>
(150), 모서리경사블록(155), 돌출평면판(160), 돌출평면블록(161), 돌출경사블록판(170), 돌출경사블록(171),
측부경사로(190) 및 측부경사블록(191)의 상부면에 연성재료, 대리석, 점자블록 등을 부착한 상부부착부(119,
139, 157, 163, 174, 194)를 형성하여 원가절감, 안전성 확보, 미적 기능 및 시각 강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111), 평면블록(117), 직사각경사블록판(131), 경사블록(137), 모서리경사판<201>
(150), 모서리경사블록(155), 돌출평면판(160), 돌출평면블록(161), 돌출경사블록판(170), 돌출경사블록(171),
측부경사로(190) 및 측부경사블록(191)의 상부면에 점자블록, 조각, 로고 등 일정한 문양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문양부(120, 140, 158, 164, 175, 195)를 형성하여 인지 기능, 원가절감, 시각 기능, 미적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평면블록(117), 경사블록(137), 모서리경사블록(155), 돌출평면블록(161), 돌출경사블록(171) 및 측<202>
부경사블록(191)의 블록간의 결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블록(117, 137, 155, 161, 171, 191)의 옆면에 결각
을 형성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의 구조적 안정 작용을 도모한다.
상기의 직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100)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203>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하여도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속하는 것입니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종전에 부채꼴인 경사로의 형태를 직사각형 구조를<204>
갖는 평면판과 경사판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여러 효과를 창출하게 되는 바, 이들을 구성하는 직사각평면블
록판, 평면블록, 직사각경사블록판 및 경사블록의 형상이 단순해 지고, 모서리경사블록판의 형상도 직사각형,
직각삼각형과 같은 단순 형태로 형성하기 쉬워 모서리경사블록의 형상도 단순한 형상으로 제작하기가 용이하여
상기 블록의 형틀 제작과 블록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자재의 적치·운반과 조립·보수 등 전 공정이 단순해져
효율성과 경제적 효과를 유발시킨다.
- 16 -
등록특허 10-0838029
그리고,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종전의 부채꼴 조립식 경사로의 평면판과 경사판을 다단으로<205>
구성 시 각 단의 평면블록과 경사블록 또는 판상형경사블록 간의 형상이 상이하며, 평면연장블록, 경사연장블록
등 각종 블록의 종류가 많았으나, 본 발명의 평면블록, 경사블록 또는 모서리경사블록을 동일 형상, 동일 규격
또는 동일 모듈(module, 기본 칫수)로 통일 가능하므로 제작 공정을 단일화할 수 있어,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고
공정관리의 효율화와 원가절감의 효과를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구성된 평면판이 종래의 동일 폭의 부채<206>
꼴 평면판보다 유효 사용면적이 크며, 보도의 종방향인 통행 방향과 직선방향 이동을 주로 하는 바퀴 장착 기구
(휠체어, 손수레 유모차 등)의 접근성과 방향전환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상부면이 평탄하게 형성됨으로써 제동
장치 없이도 안전한 대기를 보장하고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하여 편리성을 증진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직사각평면블록판의 형태가 직사각형인 단위로 구성된 평면판<207>
으로 형성됨으로써 규격의 조정이 매우 수월하며, 서로 다른 직사각평면블록판의 단차경계부 폭을 서로 달리하
여 규격 조정이 용이하여 종전의 부채꼴 조립식 경사로에 비해 제작의 용이성을 가져다준다.
또한,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종전의 부채꼴형 조립식 경사로는 중심점을 중앙으로 하는 정다<208>
각형, 원형 또는 타원 등의 일부인 부채꼴 형태를 갖게 됨으로써 경사판의 경사각이나 길이를 방향에 따라 달리
하는 경우 타원형의 방법만을 제시하고 있으나 경사각과 경사길이를 크게 달리하는 경우 전체 형상의 정형미가
결여되는 단점과 제작의 어려움이 있는 반면, 본 발명처럼 평면판과 경사판을 직사각형으로 함으로써 전체 형상
을 정형미의 손상 없이 경사판의 폭과 길이 그리고 경사판의 경사각을 이용 방식에 따라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
정할 수 있어 설치 장소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난 효과를 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통행방향에 평행과 직각으로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209>
블록판이 형성됨으로써 보행약자를 위해 보도면에 설치하는 점자블록을 직선방향 또는 직각방향으로 설치하는
기준에 맞도록 점자블록의 시공을 용이하게 해 주며 이들의 통행에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의 상부경사부 경사가 일정하면서 곡률반<210>
경이 없는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보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설치하게 되어, 보행 및 바퀴 장착기구의 이동
시 곡률 반경이 없는 평탄한 경사면을 이용하고 경사면 위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시에도 곡률 반경이 없어 한층
더 편리성을 증진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경사판이 곡률이 없는 블록화된 구조이므로 경사판을 지지하<211>
는 기층면을 형성하기가 용이하여 경사받침대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건식공법이나 습식공법으로 용이하게 사
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설치하여 원가 절감을 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단차경계부 외측 구역에 직<212>
사각평면블록판의 평탄한 상부면의 높이로 평탄한 상부면을 연장 형성되는 돌출평면블록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으
로써 평면판에서의 안전대기, 방향전환 및 바퀴의 구동력 증진을 강화시키고 휠체어 등 바퀴 장착의 기구의 이
용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단차경계부 외측 구역에<213>
연접하여 돌출경사블록판을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2중의 경사를 형성시켜 높은 단차(약 25cm~60cm)에 사각 판
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설치할 수 있고, 경사판의 규격을 축소시킴으로써 시공 면적을 줄이며 이에 따른 원가절
감과 용이한 시공 효과를 유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상기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단차경계부 외측 구역에 상<214>
기 단차경계부에 연접하여 돌출되며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의 평탄한 상부면의 높이로 평탄한 상부면을 돌출시
켜 형성되는 돌출평면블록판과 상기 돌출평면블록판 외곽에 돌출경사블록판으로 구성된 전방경사로를 포함하여
형성하여 평면판의 기능을 강화하고 2중의 경사를 형성시켜 높은 단차(약 25cm~60cm)에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
사로를 설치할 수 있고, 경사판의 시공 면적을 줄이는 경제성과 용이한 시공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경사판 외측 보도 구간에 측부경사로를 포함하여 형성시켜 높<215>
은 단차를 보도 구간에서 일차적으로 경사를 완화하여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설치와 경사면 이용을 용이
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는,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 직사각경사블록판, 모서리경사블록판,<216>
돌출평면블록판, 돌출경사블록판 , 전방경사로 및 측부경사로와 상기 판을 구성하는 평면블록, 경사블록, 모서
- 17 -
등록특허 10-0838029
리경사블록, 돌출평면블록, 돌출경사블록 및 측부경사블록의 상부에 일정한 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판 또는
블록의 재질과 다른 고무, 대리석 등을 삽입한 중앙삽입부 형성하거나, 상부에 상기 판이나 블록과 다른 재료나
재질을 부착한 상부부착부를 형성하거나, 상부면에 음각 또는 양각을 형성한 문양부로 재료비 절약, 안전성, 미
관, 쾌적성, 식별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평면블록, 경사블록, 모서리경사블록, 돌출평면블록, 돌출경사블록 및 측부경사블록의 옆면에 결각을<217>
형성하여 직사각평면블록판, 직사각경사블록판, 모서리경사블록판, 돌출평면블록판, 돌출경사블록판 및 측부경
사로의 구조를 강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곡선인 도로에서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을 곡선인 도로 형상에 일치하여 형성함으로써 기<218>
능미를 발휘하게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부채꼴의 조립식 경사로의 횡폭과 종길이를 연장하고 블록 내에 문양부를 형성하여<1>
직선보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도 1a의 조립식 경사로의 단면이 사다리꼴인 경사블록과 경사연장블록, 그리고<2>
평면블록과 평면연장블록으로 형성되어 조립된 일부를 해체한 분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부채꼴 조립식 경사로를 보도의 단차를 완화하기 위해 측부경사로를 포함하여 설치한<3>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부채꼴 조립식 경사로의 평면블록과 판상형경사블록의 중앙부에 상기 블록과 다른 재<4>
료를 삽입한 중앙삽입부를 형성하여 직선 보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도 3a의 조립식 경사로의 일부 블록을 해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5>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경사로의 경사판이 등변사다리꼴인 판상형경사블록과 이등변삼각형인 판상형경<6>
사블록을 조합하여 경사판에 기능미를 부여한 상태와, 평면연장블록과 판상형경사연장블록을 사용하여 횡폭과
종길이를 확장한 상태와, 블록 상부에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각인한 문양부를 형성하여 직선인 보도에 설치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경사로의 하부에 경사용받침블록으로 지지된 판상형경사블록과 판상형경사연장<7>
블록의 상부경사부를 형성하여 조립된 조립식 경사로의 일부 블록을 해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경사로의 평면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평면판과 연접한 돌출평면판을 헝성한<8>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경사로에 단차를 2중으로 완화하기 위해 평면판에 연접하여 돌출된 돌출경사판<9>
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경사로의 평면판 기능을 강화하고 2중으로 단차를 완화하기 위해 돌출평면판과<10>
상기 돌출평면판에 연접한 돌출경사판을 형성한 전방경사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보도의 내각이 90도, 180도 및 270도인 곳에 일치하여 형<11>
성한 여러 유형의 사시도와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로서, a-1에서부터 a-4까지는 직사각평면블록판, 직사각경
사블록판 및 삼각형의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구성된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로서 경사진 기층면을 형성하여
경사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은 사시도이며, b-1에서부터 b-4까지는 상기 a-1에서부터 a-4까지의 사각 판구조 조
립식 경사로를 하부에 경사받침대로 지지하여 상부경사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c-1부터 c-4까
지는 직사각평면블록판, 직사각경사블록판 및 삼각형 두 개로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을 형성한 모서리경사블록판
으로 구성된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사시도이며, d-1에서부터 d-4까지는 상기 c-1에서부터 c-4까지의 사
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하부에서 경사받침대로 지지하여 상부경사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a-3, b-3, c-3 및 d-3는 두 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을 하나로 통합한 상태로 형성한 사시도
이며, e-1은 상기 a-1 또는 b-1을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이고, e-2는 상기 c-2 또는 d-2를 보도에 설치한 사
용상태도이며, e-3은 상기 a-2 또는 b-2를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이고, e-4는 상기 c-4 또는 d-4를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90도인 보도에 설치한 상태로서 직사각형인 복수 개의 평<12>
- 18 -
등록특허 10-0838029
면블록이 직사각평면블록판을 형성하고, 직사각경사블록판은 복수 개의 직사각형인 경사블록으로 구성되며, 모
서리경사블록판은 복수 개의 직사각형과 삼각형인 모서리경사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연결
하고, 상기 평면블록과 경사블록 상부에 점자블록을 문양부로 형성하여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1는 본 발명에 따라, 보도의 내각이 180도를 형성하여 중앙점을 중심으로 2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형성<13>
된 평면판과,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연접하는 4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과 이격된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연
결하는 두 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형성된 경사판으로 구성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로서, 상기 직사
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을 구성하는 평면블록과 경사블록은 동일 규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직사각경사
블록판 사이에서 이를 연결하는 모서리경사블록판의 전체 형상은 직사각형이며 모서리경사블록의 형상은 삼각형
과 사각형이고, 평면판이 보도에서의 보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며, 경사판의 상부경사부가 곡률 반경이
없는 상태를 형성하여 보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라, 보도의 내각이 270도인 곳에 중앙점의 내각부를 중심으로 3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14>
형성된 평면판과, 상기 3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접한 6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과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 사이
에서 이격된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연결하는 3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형성된 경사판을 포함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로서,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은 동일 규격의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블록과 경사블록
으로 형성되고 모서리경사블록판은 사다리꼴 사각형과 직삼각형인 모서리경사블록으로 형성된 상태와, 평면블록
과 경사블록 상부에 점자블록을 각인한 상태로 보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보도의 내각이 180도인 곳에 두 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을 복수의 직사각형인 평면블록<15>
으로 형성하고, 세 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을 평면블록과 동일 규격인 복수의 직사각형인 경사블록으로
형성하며, 두 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의 전체 형상은 부채꼴이며 상기 모서리경사블록판을 복수의 삼각형과 사각
형의 모서리경사블록으로 형성한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폭이 좁은 보도에 응용하는 사례로서, 보도의 종방향과<16>
횡방향의 경사도를 달리 형성하고자 중앙점을 중심으로 양쪽 두 직사각경사블록판의 상부경사도보다 중앙점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사각경사블록판의 상부경사도가 급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도의 종방향 통행에 유리
하도록 하고 평면블록과 경사블록에 점자문양을 형성하여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하부에서 지지하는 경사받침대로 형성된 경사판의 상부경사부가 서로 다른 상기 도 14<17>
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일부 블록을 해체한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에서 평면판의 기능인 대기 및 방향전환의 기능을 강화하기<18>
위해 평면판에 연접하여 돌출된 돌출평면판을 포함하여 보도에 설치한 상태와 평면블록, 경사블록, 모서리경사
블록 및 돌출평면블록의 중앙부에 상기 블록과 다른 재료를 삽입하여 미관 기능과 안전 기능을 강화시켜 보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16의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경사판을 구성하는 직사각경사블록판과 모<19>
서리경사블록판을 하부에서 경사받침대로 지지된 상태와,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을 구성하
는 평면블록, 경사블록 및 모서리경사블록과 상기 블록의 중앙삽입부 일부를 해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로 높은 단차를 이중으로 완화하기 위해 평면판에 연접하여<20>
돌출경사판을 형성함으로써 2중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보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의 내각이 180도를 형성하여 중앙점을 중심으로 2개의 직사각평면블록판으로 형성<21>
된 평면판과, 상기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연접하는 4개의 직사각경사블록판과 이격된 상기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연
결하는 두 개의 모서리경사블록판으로 형성된 경사판으로 구성하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로서, 상기 직사
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을 구성하는 평면블록과 경사블록은 동일 규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경사
블록판 사이에서 이를 연결하는 모서리경사블록판의 전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모서리경사블록의 형상은 삼각형
과 사각형이며, 평면판과 경사판이 보도에서의 보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고, 경사판의 상부경사부가 곡
률 반경이 없는 상태로 형성되며, 평면판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돌출평면블록판과 높은 단차를 이중으로 완화
하기 위해 상기 돌출평면블록판에 연접한 돌출경사블록판으로 구성된 전방경사로를 포함하여 보도에 설치한 상
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높은 단차를 2중으로 완화하기 위해 측부경사로를 포함한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22>
에서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을 삼각형과 사각형의 동일 규격의 평면블록과 경사블록으로, 모서리
경사블록판를 동일 규격의 삼각형의 모서리경사블록으로, 측부경사로를 동일 규격의 삼각형인 측부경사블록으로
- 19 -
등록특허 10-0838029
구성하여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보도 내각이 180도인 곳에 설치한 사용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구성하는 평면블록, 경사블록 및 모서리경사블록의 측면<23>
에 결각을 형성하여 직사각평면블록판, 직사각경사블록판 및 모서리경사블록판이 결각에 의해 구조적으로 강화
된 상태로 조립되어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를 구성하는 직사각평면블록판과 직사각경사블록판의 형상을<24>
곡선인 보도의 선형에 일치하여 선형으로 형성하여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
도 23a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가 기층이 경사진 곳에서 형성된 단면도.<25>
도 23b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의 경사판과 돌출경사블록판이 기층이 평평하게 형성된 곳<26>
에 경사받침대에 의해 지지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27>
1: 횡단보도 2: 차도 3: 보도<28>
4: 경계석 5: 건물 <29>
10: 종래의 조립식 경사로 <30>
11 : 평면판 12 : 중앙점 13 : 내각부 <31>
14 : 외경부 15 : 단차경계부 16 : 평면블록<32>
17 : 중앙삽입부 18 : 상부부착부 19 : 문양부<33>
20 : 평면연장블록 21: 중앙삽입부 22: 상부부착부<34>
23: 문양부 24: 둔각모서리<35>
30 : 경사판 31 : 단차경계부 32 : 경사내경부<36>
33 : 경사외경부 34 : 경사블록 35 : 판상형경사블록<37>
36 : 상부경사부 37 : 중앙삽입부 38 : 상부부착부<38>
39 : 문양부 40 : 경사용받침블록 41: 경사연장블록<39>
42: 판상형경사연장블록 43: 중앙삽입부 44: 상부부착부<40>
45 : 문양부 46 : 경사용받침블록 47: 외곽마감용블록<41>
50 : 측부경사로 51 : 측부경사블록 52 : 판상형측부경사블록<42>
53 : 상부경사부 54 : 중앙삽입부 55: 상부부착부<43>
56: 문양부 57 : 경사용받침블록<44>
60돌출평면판 61: 돌출평면블록 62: 중앙삽입부<45>
63: 상부부착부 64: 문양부<46>
70: 돌출경사판 71: 돌출경사블록 72: 중앙삽입부<47>
73: 상부부착부 74: 문양부 <48>
80: 전방경사로<49>
100: 사각 판구조 조립식 경사로 <50>
110: 평면판 111: 직사각평면블록판 112: 중앙점 <51>
113: 단차경계부 114: 내각부 115: 직선외변부<52>
116: 외변꼭지점 117: 평면블록 118: 중앙삽입부 <53>
119: 상부부착부 120: 문양부<54>
- 20 -
등록특허 10-0838029
130: 경사판 131: 직사각경사블록판 132: 단차경계부 <55>
133: 상부경사부 134: 경사시작경계부 135: 경사마감경계부<56>
136: 측면경사경계부 137: 경사블록 138: 중앙삽입부<57>
139: 상부부착부 140: 문양부 141: 경사받침대 <58>
150: 모서리경사블록판 151: 모서리하단꼭지점 152: 모서리측면경계부<59>
153: 모서리상부경계부 154: 상부경사부 155: 모서리경사블록<60>
156: 중앙삽입부 157: 상부부착부 158: 문양부<61>
159: 경사받침대 <62>
160: 돌출평면블록판 161: 돌출평면블록 162: 중앙삽입부<63>
163: 상부부착부 164: 문양부<64>
170: 돌출경사블록판 171: 돌출경사블록 172: 상부경사부<65>
173: 중앙삽입부 174: 상부부착부 175: 문양부<66>
176: 경사받침대<67>
180: 전방경사로<68>
190: 측부경사로 191:측부경사블록 192: 상부경사부<69>
193: 중앙삽입부 194: 상부부착부 195: 문양부<70>
196: 경사받침대<71>
도면
도면1a
- 21 -
등록특허 10-0838029
도면1b
도면2
도면3a
- 22 -
등록특허 10-0838029
도면3b
도면4
도면5
- 23 -
등록특허 10-0838029
도면6
도면7
- 24 -
등록특허 10-0838029
도면8
도면9
- 25 -
등록특허 10-0838029
도면10
도면11
- 26 -
등록특허 10-0838029
도면12
도면13
도면14
- 27 -
등록특허 10-0838029
도면15
도면16
- 28 -
등록특허 10-0838029
도면17
도면18
도면19
- 29 -
등록특허 10-0838029
도면20
도면21
- 30 -
등록특허 10-0838029
도면22
도면23a
도면23b
- 31 -
등록특허 10-0838029

+ Recent posts